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10/24 00:03:28
Name 안할란다
Subject [질문] [LOL] 주말에 학교에서하는 대회나가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이번 주말에 학교에서 하는 대회 나갈려고하는데요

저희팀 멤버 구성은
탑 골3
정글 다4 본인
미드 골5
원딜 골3
서폿 골3

이렇게됩니다.

참가자들중 짤린저 있다는 얘기도 있고 평균티어로 봤을때 저희보다 훨씬 높은팀들도 많아서 현실적으로 우승하기는 힘들거 같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보려고하는데요, 내일 모여서 연습하려고하는데 어떤방향으로 나가야할지 감을 잘 못잡겠습니다

일단 탑하는애는 장점으로 라이즈,마오카이,문도같은 대세챔이 되고, 기복이 심하지만 잘할땐 저보다도 잘합니다. 단점은 씨에스욕심이 많고 스플릿을 좋아해서 혼자 짤리는경우가 많습니다.  맵보는 능력도 떨어지구요
제가 정글인데 일단 제가원래 정글유저가 아닙니다ㅜ 챔프도 리신,자르반,이블린 외에는 아예 못하는수준이구요, 정글수준은 플3정도될거같습니다

미드는 그냥 완전 무난한 골드유저.. 그래도 오리아나는 1인분씩 하는편이라 오리아나만 시킬예정이구요

원딜은 스타 준프로출신이라서 메카닉적인 부분은 굉장히좋은데 혼자들가서 짤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멘탈도 되게 약하구요..
서폿은 여자애인데 생각보다 잘합니다. 아마 이중에선 저다음으로 잘하는 거 같아요. 나미, 잔나같은 전형적인 서폿 시키려구하고요

지금 생각은 그냥 스왑해서 3버프컨톨하고 탑 다이브 이후 라인관리를 통해서 글골벌리고 용싸움에서 이긴다음 스노우볼 굴리는걸 기본전략으로 하려고하는데, 골드수준인 애들을 가지고 내일 하루연습해서 이게 쉽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머리속으로는 어떻게 해야지라는걸 구상은 되는데 실전에서 그게 될지도 모르겠고,  실전 오더에서 한명한명 라인관리시키는게 힘들거 같기도 합니다

힘들거 같지만 어떻게든 되는데까지 해보려고합니다. 16팀중에서 4강만이라도 들고싶은데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장야면
14/10/24 00:16
수정 아이콘
일반인 스왑에 핵심은 다이브입니다. 다이브 좋은 정글 챔프로 다이브하시고 정글 장악하시면 됩니다. 상대 정글 깊숙히 들어가서 와드 잘 박으셔서 스노우볼 키우세요.
14/10/24 00:16
수정 아이콘
컨셉잡고 필살픽(조합)을 하나 연구해보시는것도 좋을거 같네요.
챔쁜이
14/10/24 00:30
수정 아이콘
바텀 4인갱 탑 3인갱!
세이밥누님
14/10/24 00:37
수정 아이콘
왠지 우리 학교 같은 스멜이...크크
아저게안죽네
14/10/24 00:38
수정 아이콘
크크크 탑분은 전형적인 탑솔로네요.
스타트
14/10/24 01:23
수정 아이콘
음.. 호흡 많이 맞춰봤으면 생각보다 높은 티어 이기기 쉽습니다. 제가 학교 대회 나갈 때 플골골골에 저 다이아까지 하고 제가 정글가서 전부다 오더하고 호흡 맞추니까 다다플플플까지 이겨봤네요. 다야 둘은 1,2 였구요. 팀게임은 생각보다 손가락이 중요하지 않아요.정글이시면 특히나 탑과 호흡이 제일 중요하구요.
14/10/24 02:16
수정 아이콘
대학교 스타대회 우승해본 경험으로는 스타크래프트도 그렇고, 일반적인 아마추어게임은 정석에만 능하지 흐름을 가져올줄 모릅니다. 왜냐하면 다들 프로선수들 하는 거 보고 베꼈지, 왜 그렇게 하는지에 대한 이해도가 낮거든요. 임요환선수가 공군에서 기량이 많이 떨어졌을때도 승률 50은 나온다고 했던 것 처럼 흐름을 가져오는 게 중요하다봐요. 결국 팀 호흡이 잘 맞아야 하고.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게임을 이끌어 나가는거죠. 버프컨트롤이면 컨트롤, 스왑이면 스왑, 일종의 공식을 짜야 된다고 봅니다. 우선적으로 게임 흐름의 선택은 우리가 먼저 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하고(스왑이든 갱이든) 그 다음 상대 반응을 모두 예상해서 연습하는게 최곤데, 기간이 짧네요 ^^;;

스타의 대표적인 예시는 역시나 한조킴인데... 투팩 시즈업 노마인 속업벌쳐 이후 트리플 같이 완전히 자기가 쥐고 흔들었던 것 처럼요. 근데 롤은 저도 잘 몰라서 흐흐
1종보통
14/10/24 02:47
수정 아이콘
일단 두가지 정도를 확실히 하셔야 됩니다.

1. 님의 오더에 확실하게 반응하고 서로 확실하게 콜하기.
일단 오더 하는사람 말을 무조건 듣는 식으로 해야됩니다. 그리고 상대 라이너, 정글 위치에 본인이 할 행동까지 확실하게 콜해서 인지하는게 좋죠.

2. 시야장악 및 페이스체크
아예 상위팀랭 가면 시야장악이 빽세고 잘라먹는게 엄청납니다. 상위 팀랭으로 갈수록 한타는 해보지도 못하고 겜 끝나는 경우가 많아요.
와드 요소요소에 잘 박고 시야장악을 하는게 첫번째고, 무리한 와딩 페이스체크를 안하도록 팀원들한테 주지시켜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대회 나가기 전까지 팀랭 많이 뛰어보시는게 좋겠네요.
Helix Fossil
14/10/24 03:14
수정 아이콘
다전제면 전판에 강력했고, 대처 못할픽은 꼭 밴하세요.
Aragaki Yui
14/10/24 03:36
수정 아이콘
상대 주력챔을 빠르게 파악해서 카운터챔이나 밴을 생각해놓는게 제일 좋아요
방민아
14/10/24 03:36
수정 아이콘
fow와 op적극 활용하세요 사용가능하다면요
불가능할것 같지도 않지만... 상대가 다이아급아니면 필밴챔보다 주력챔프 밴하는게 더 효율적이기도 합니다. 필밴챔 내주고 카운터조합 가져가도 되구요.
RedDragon
14/10/24 08:15
수정 아이콘
의외로 팀랭 할 때 다이아 조합 종종 이깁니다.
핵심은 완벽한 팀 운영으로 인해 라인전 페이즈 보다는 운영에 집중하는거죠.
정글러이시니 초중반 라인 운용을 주도하실텐데 일일이 세심하게 오더 해 주셔야 합니다.
나머지 팀원들이 본인을 믿고 따라 오면 팀이 어찌됬든 한몸으로 움직이고, 그러면 좋은 시너지 효과가 나기도 하죠.
ELLEGARDEN
14/10/24 08:59
수정 아이콘
상대방팀에게 소환사명이 공개된 상황이면 최근전적창 잘 보고, 관리조금 해두시는것도 방법이 될수있습니다
미드가 아예 오리아나만 하면 간단히 밴으로 망해버리는 수도있을것같아요
랜드로드
14/10/24 09:02
수정 아이콘
단시간에 승률 높이기 좋은게 상대팀 검색해서 맞춤 카운터 준비해가는거죠.
안할란다
14/10/24 10:2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확실한 씨나리오를 짜가는게 중요하겠네요
14/10/24 10:34
수정 아이콘
흑흑 부럽다 저는 솔랭전사라 티모 벨코즈만 하는데 이런대회는 못나가겠죠 ㅠㅠ
다빈치
14/10/24 15:26
수정 아이콘
대회에서 이기기 제일 좋은 조합은 포킹조합입니다.

상대가 아무것도 못하고 당황만 하다가 당하거든요.

포킹으로 미드에서 압박하고 정글러가 운영으로 흔들어주면 쉽게 이길 수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5091 [질문] [LOL] 삼성 화이트 예전 경기 질문입니다 [4] Vibe1100 15/07/27 1100
64284 [질문] [LOL] LCS EU 일정및 장소 질문.. [3] 월을릇1227 15/07/14 1227
63494 [질문] [모든 스포츠] 이미 명성이 대단한 팀이나 선수일경우 [9] SKY92925 15/07/02 925
59681 [질문] [LOL] MSI 일정이 궁금합니다!! [4] 리니시아1016 15/05/10 1016
59669 [질문] 슬램덩크 보다 궁금한 부분 있습니다. [12] GodQn1699 15/05/09 1699
58255 [질문] (뻘글) 직장인 분들 일요일은 좀 일찍 주무시나요? [12] 기억의습작1748 15/04/19 1748
57741 [질문] 우리나라 초중고야구팜이 어떻게되나요? [12] 바위처럼1855 15/04/12 1855
56228 [질문] 댄스배틀대회 질문입니다. [1] 향냄새664 15/03/21 664
54846 [질문] [스타1] 이영호vs정명훈 빅파일 MSL 4강 1경기 질문입니다 [5] SKY921561 15/03/01 1561
53335 [질문] [스타1] 티빙 스타리그 4강 정명훈 vs 이영호 선수 경기 질문입니다. [6] 돌아보다1949 15/02/07 1949
52178 [질문] [스타1] 지속을 위해 어떤 사건(?)이 도움이 되었을까요? [19] 기억의습작1498 15/01/21 1498
50006 [질문] [스타1] 이제동> 마재윤 이면 이윤열>이영호 아닌가요? [53] kien6338 14/12/21 6338
49278 [질문] [스타1] 이제동 vs 이윤열은 결론이 난 상황인가요? [65] 모쏠로메테오4483 14/12/11 4483
48888 [질문] [스타2] 내일 핫식스컵 직관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오승아578 14/12/06 578
48119 [질문] 라이어게임 여배우 [15] 오하영1384 14/11/26 1384
46156 [질문] [LOL] 만약에 나진이나 진에어였으면 선수이탈 줄었을까요? [4] Tad1372 14/11/01 1372
45514 [질문] [LOL] 주말에 학교에서하는 대회나가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17] 안할란다1404 14/10/24 1404
45099 [질문] [LOL] 롤드컵 MD샵 관련 질문 [5] 시네라스1104 14/10/18 1104
45071 [질문] [LOL]롤드컵 결승전, 상품을 안정적으로 사려면 언제 도착해야 할까요? [2] 엔하위키795 14/10/18 795
45067 [질문] [LOL] 롤드컵 챔프,스킨 코드 언제 나누어주나요? [1] BBok906 14/10/18 906
45045 [질문] [LOL] 이번 롤드컵 결승전도 현장판매 소량 하나요? [4] Galaxia926 14/10/18 926
45025 [질문] 광안리 해운대쪽에 싼 숙박업소나 찜질방좀 알려주세요ㅠ [1] iloveus685 14/10/17 685
44976 [질문] [LOL] 롤드컵 결승전 식사 질문 [8] w.A1208 14/10/17 12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