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7/15 14:14
지구 모래알의 최대 개수는 쉽게(..) 추정 가능합니다.
단순 지구의 무게 / 기준 모래알 무게 = 최대 모래알 개수 그러니까 대충 퉁 쳐서 지구의 무게는 10^31 g 정도.. 되고, 모래알을 1나노 라고 해도 10 ^-9 g, 피코라고 치면 10 ^ - 12 g 기준 단위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추정 개수는 10 ^40 ~ 10 ^ 43 안에 들어오겠네요. (그러니까 이건 지구를 모래알로 갈기갈기 분해 했을대 추정되는 최대 개수.. 실제 모래알은 표면에만 존재하니 훨씬~~~ 적을 테고요) 별은 최대 몇개 일지 추정을 못합니다. 동양에서 셈하는 가장 큰 단위인 무량대수만 해도 10^68승
14/07/15 15:23
우주는 무한이라고 답이 나왔습니다
더 충격적인것은 우주가 하나가 아니라 더있다는 것이고 우주의 수는 또 얼마나 되는지 가늠을 할수도 없다는 겁니다. 사실 우주자체가 존재하는지 안하는지 모르는 신의 영역일지도 모르겠습니다
14/07/15 15:37
우주가 무한인가요? 우주는 지금도 계속 가속 팽창중으로 알고 있는데.. 그럼 유한한 크기를 갖고 있는게 아닐까요?
유니버스가 아니 멀티버스 라는 것도 아직은 하나의 이론에 불과하지 않나요?(M 이론에서 나온 개념으로 알고 있습니다)
14/07/15 17:35
자, 상상가능한 가장 거대한 크기를 상상합니다..
그것보다 우주는 큽니다.. 상상가능한 가장 큰 수를 생각해 봅시다.. 그것보다 별은 더 많습니다..
14/07/15 18:31
어디 다큐에서 교수님이 지구 모래알이 약 1천조개 있고.. 우주에는 약 2천억개 은하가 있고 각 은하마다 또 약 2천억개 항성이 있어서 더 많다네요
14/07/15 18:54
대충 우주의 별 갯수를 흔히 말하는 대로 셈해보면 우리 은하에는 약 천억개의 별이 있고, 우주에는 그런 은하가 천억개 정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10^22개쯤 되네요.
시리우스님의 계산과는 좀 다르게 저는 지각의 부피를 계산해서 모래알의 갯수를 추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구의 반지름은 약 6400km이며, 그 중 해양지각의 두께는 약 10km, 대륙지각의 두께는 약 33km라고 합니다. 해양지각쪽이 더 넓으니까 대충 지각 전체의 평균 두께를 20km라고 합시다. 지각의 부피는 약 1.05*10^10km^3 입니다. 여기서 모래알 하나의 부피를 1*10^-3mm^3 라고 가정한다면, 지각에는 1.05*10^31개의 모래알이 있네요. 이 중 SiO2의 비율만 따져야 하니까 *0.6 해도 6.01*10^30 개 정도가 나올 듯... 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