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5/08 15:03
프리랜서로 뛰는 제 친구 말을 들어보면
한달에 500 정도 번다고 했을 때 연봉 6000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일이 없을 때를 계산해서 보통 10달 정도만 곱한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5000 정도 이렇게 잡던데요. 비슷한 직종에 있는 비슷한 경력의 다른 친구와 비교하면 연봉이 10~20% 이상 높았습니다. 한 친구가 4000일 때 프리랜서인 친구는 4500~5000 정도였달까요. 뭐 그렇더라고요. 아마도 원하시는 답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만...
14/05/08 15:03
직장인들 연봉도 거의 세전으로 말하지 않나요? 여기에 필요에 따라 실수령액을 따로 덧붙이고요.
전 어디에 소득 쓸 일 있으면 그냥 그해 종합소득세 신고 때 나온 소득 기준으로 씁니다. 어차피 세전으로 하나 세후로 하나 3.3퍼센트 차이라 그게 그거지만요.( '-') 그런데 여기서 국민연금 빠져나가고, 지역의보 빠져나가고..Orz
14/05/08 15:06
http://www.career.co.kr/tools/salary_calculator.asp
이런 계산기로... 월급 + 공제합계 - 소득세 해서 비슷하게 맞춰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직장인으로는 4300+ 정도인거 같네요. 근데 의미가 있나요? 350 * 12 해도 되고, 이게 아니라 실수령액 기준으로해서 직장인 연봉 얼마일때 실수령액과 같다는 거 확인할게 아니라면 별 의미 없어 보입니다.
14/05/08 15:11
일단 연봉은 낮게 말하는게 좋은거 같습니다. 낮은데 꽁돈 생긴 느낌? 과 예상했던 부분에 비하여 적은거랑 느낌이 다르니까요^^;
저는 보통 월 500씩 번다고 하면 400번다고 이야기 하는 편입니다
14/05/08 15:41
세전 350이면 3.3%띠고 335가 아니죠.
퇴직금 없으니까 그거 별개로 제하면 300정도 국민연금이랑 지역보험 따로 내야되고요. (국민연금 안내시면 노후에 받게되면 직장다녔던 분들과 엄청난 차이가...) 그럼 270~80정도, 그럼 연봉 4천정도랑 비슷하지요. 여기다가 1년 내내 꾸준히 일 구하면 다행인데 못 구하면 OTL
14/05/08 16:01
계산하기 귀찮다 싶으면 연봉으로 따졌을때 월 급여 * 10 해서 비교하면 됩니다. 복지없고 보험 자신이 부담해야 하고 이런 것들 생각하면 얼추 비슷합니다. 세전 350 이면 정규직 3500 정도 생각하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