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5/02 19:31
우유가 제조 후 45일 정도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http://w3.sbs.co.kr/news/newsEndPage.do?news_id=N1002171971 오래전부터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에서는 사용기한, 판매기한, 최상 품질기한, 최소 보존일, 포장일자 등으로 다양하게 식품의 신선도 및 안전성을 표기해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식품에 유통기한만 일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일부 식품에 한해 ‘제조일자’와 ‘품질유지기한’을 표기하기도 하지만 이를 잘 모르는 소비자들도 많다. ‘제조일자’는 설탕, 소금 등 일부 첨가물에 대해 적용하는 것으로 말 그대로 식품을 제조한 날짜를 뜻한다. 반면 ‘품질유지기한’은 일부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제품군들에 적용하는 제도인데, 소비기한과 비슷하면서도 미묘하게 다르다. ‘식품의 품질이 최상으로 유지되는 기간’을 뜻하기 때문이다. 즉, 품질유지기한이 지나면 최상의 품질은 아니지만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으니 먹어도 된다는 뜻이다. 품질유지기한이 적용되는 식품에는 잼류, 당류, 멸균 음료, 간장, 인삼제품, 김치•절임 식품, 전분, 벌꿀, 밀가루, 레토르트 식품, 통조림 식품 등이 있다.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094&contents_id=41108 이런 내용도 있네요. 솔직히 저라면 먹습니다. 이미 다량의 방부제가 들어있을테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