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1/06 17:30
뭐 아는선에서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공부 할만한 여유가 되고 그 자격증을 무기로 취업을 더 잘하기 위해서라면 말리진 않겠고, 노무사로 필드에 뛰어드시는거라면 말리고 싶네요. 레드오션입니다. 시험난이도야 케바케에 다른 시험들의 난이도가 어느정도인지 알수가 없으니 답변드리기 힘들겠구요.
14/01/06 17:34
동생도 뭐 아무래도 자격증 하나로만 먹고 살 수 있는 시대는 끝났다고 보기는 하던데요...
그래도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을 좀 더 쉽게 골라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더라구요 그렇다고 자격증이 너무 쓸모가 없거나 따기에 힘만 들면 소용이 없기에 고민하는 것 같았습니다.. 동생에게 잘 전해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4/01/06 17:33
로스쿨 도입으로 유사법조계 자체가 매우 애매한 상황입니다. 기존의 자리잡은 사람들은 잘 모르겟으나 이제 신규로 따나오는 사람들은 앞날을 가늠을 못하겠네요.
윗분처럼 자격정도로 쓴다면 실망안할텐데 왕년의 그런 시절을 생각하면 매우매우 실망할 가능성이 큽니다. 시험난이도는 1차는 거의 그냥다붙는 편이고 2차 다른 유사법조직보다는 좀 쉬운편입니다.
14/01/06 17:49
노무사는 보통 노무법인에 취업하거나 노동위원회에서 지정노무사로 일합니다. 법무사나 노무사 같은 유사법조직렬은 로스쿨 문제로 통합하자는 얘기도 있습니다만 어쨌든 장래에 어떻게 유지될지 모르고, 기본적으로 주된 업무는 결국 고객관리이기 때문에 필드에서 일하는 것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면 재고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자격증 우대로 기업취직을 목표로 하기에는 적합합니다. 법정직에서 채용할 때는 아무래도 자격증이 있는 것이 훨씬 나으니까요.
요즘은 로스쿨 입학을 위한 스펙용으로 노무사 자격증 공부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결코 붙기 쉬운 시험은 아니고 철저하게 준비하셔야 합니다. 사법시험이나 법무사시험과 같은 난이도는 아니나 결국 민법, 노동법 마스터하지 못 하면 장수되기 쉽더군요. 사법시험 준비하다가 넘어오시는 분들이 많아서인지 2차에서 민사소송법 선택하시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결국 법 과목을 정복해야 빠른 시간내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필드에서 근무하시는 분들 얘기 들어보면 결국 고객관리, 접대가 있기 때문에 여성이 하기에는 쉽지 않고, 자격증 우대로 기업취직을 목표로 노무사 준비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