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1/05 15:53
연봉협상의 기본 전략은 세가지라고 봅니다.
1. 내 말 안 들어주면 너에게 피해가 갈거야 (예: 더 많이 주는 다른 직장 갈래; 신고할거야) 2. 내 말 들어주면 너도 좋아 (예: 내가 기분 좋아야 더 열심히 일 할거고 그럼 너도 더 좋겠지) 3. 이쪽 업계 다 이정도하니깐 인간적으로 이거 맞춰줘 머리를 잘 굴리셔서 이 셋중 하나의 논리/근거를 개발해보시고 못하겠다 싶으면 그냥 꿇어야죠..
25/11/06 04:45
(수정됨) 현재 새 직장에서 제시한 연봉이 복리후생성 수당 및 성과급을 모두 합친 실질연봉으로는 기존 직장보다 많이 높은데, 그 수준이 새 직장의 다른 동일 직급/연차보다 낮은건가요?(실질연봉의 차별)
아니면 실질연봉 자체는 다른 동일 직급/연차랑 같은데, 계약연봉만 낮은건가요?(연봉 계산 방법의 차별)
+ 25/11/06 08:07
성과위주로 돌아가는 직업인가요? 기존 직원들 같은 경우에는 성과 일정 이상일 때 기본급 올리는 방식으로 기본급이 상향되어 있으면 그런 식으로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기본급이 아쉽고 인센티브로 채우는 방식의 계약이라면 회사에서 성과가 얼마나 나올지 확신을 못하는 상황일 것 같은데요... 이전 회사에서 성과가 어느 정도 있었다면 그걸 제시하거나, 성과 목표치 얼마 달성할테니 그에 맞게 주세요 해야 되는 건데, 쉽지는 않겠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