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4 09:26
어...글쓴이 분이 포트폴리오 비율과 코어-위성 전략을 깨달으신거 같은데요?
주식/채권 이나 주식/채권/금/현금 이런식으로 비율을 정한다음 주식이 상승 -> 비율이 증가 -> 비율을 맞추기 위해 매도, 이후 주식이 하락하면 다시 비율을 맞춰 매수 하는게 포트폴리오이고요. 코어-위성 전략이 큰 돈은 적립식에 넣어두고 소액을 개별주나 우량 섹터에 투자하는 겁니다. 이 키워드로 검색해보시면 많이 나올거에요.
25/10/24 09:29
가능만 하다면 불장 때 익절하고, 조정시기에 담는 게 일반적인 적립식보다 좋긴 합니다.
다만 경험상 대부분 불장 때 팔았다가 기다리던 조정이 안 와서 결국 더 비싼 가격으로 살 가능성이 높습니다..
25/10/24 09:42
이론적으로 잘만 하면 당연히 수익이 좋습니다.
하지만 상승장에 분할매도를 했을 때 더 올라가면 멘탈이 흔들려서 잘못된 매매를 하는 케이스가 꽤 많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가 최근 몇달간 계속 불장이었죠. 7~8월 쯤에 증권가에서는 9월부터는 조정이 올거다 라고 분석한 리포트가 꽤 많았고 사실 어느정도 올랐으면 조정이 오는게 일반적이기에 글쓴 분 생각대로 분할 매도를 실천하신 분들도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9월 이후로도 코스피는 그냥 조정도 안주고 계속 올랐습니다. 그러면 분할 매도를 한 입장에서는 FOMO가 안 올 수가 없습니다. 사람이 감정대로 매매하면 100에 99는 손해를 보더라구요. 그래서 무지성 적립식을 괜히 추천하는게 아닙니다.
25/10/24 09:44
그리고, 양도소득세 관련해서는 적립식 추종 하시더라도 연말에 250만원 수익까진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요새 대부분의 증권사 앱들이 양도소득세 계산 지원 해 주더라구요 (25년 매매 손익 계산) 12월 말에 250만원만큼 익절하시고, 내년 1월에 그만큼 다시 들어가시면 됩니다.
25/10/24 09:53
코어-위성은 애초에 비율을 정해놓고 해야지 지수를 불장에 매도하는 방법은 별로 좋지 않습니다.
미장의 경우 애초에 불타기가 수익률이 더 좋다는 통계자료가 많아요.
+ 25/10/24 09:58
저는 제가 시장을 판단할 능력 없다고 생각합니다. ↔ 불장일때 적절하게 매도해서, 조정 내지는 하락장일때
글쓴님을 공격하려는 의도는 아니구요. 말씀하신 내용에 모순이 있어요... 불장이거나 조정내지 하락장이다라고 보는것이 이미 시장을 판단하는 거거든요... 위에 다른분들이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나머지는 다른 댓글 보시면 되겠습니다.
+ 25/10/24 10:16
장기적으로 지수를 이겼던 투자가들 (워렌버핏, 피터린치 등)은 대부분 "종목" 선택의 귀재였습니다. 그들조차도 "타이밍"은 누구도 맞추지 못한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글쓰신분이 하시려는 것은 타이밍을 맞춰서 시장을 이기려는 겁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