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9/18 10:38
(수정됨) 저도 내장랜으로 와이파이 연결이 안되는 것들이 있어서
USB용 외장랜 별도로 구입해서 해결한 적 있습니다. 저는 3번 케이스였습니다. -------------------------------- 특정 노트북에서만 특정 와이파이(AP)에 연결이 안 되는 경우는 흔히 아래 원인들로 발생합니다. 1. 와이파이 보안 방식 불일치 공유기(AP)가 WPA2, WPA3, 혼합모드 등을 쓰는데 노트북 무선랜카드가 해당 방식을 지원하지 못하면 연결이 안 됩니다. 2. IP/DHCP 문제 노트북이 해당 와이파이에서 IP를 자동으로 못 받는 경우 고정 IP 설정이 잘못돼 있거나, DHCP 충돌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무선 주파수 문제 (2.4GHz vs 5GHz vs 6GHz) 노트북 무선랜카드가 5GHz/6GHz Wi-Fi를 지원하지 않으면, 해당 SSID에 연결 불가 구형 노트북에서 자주 발생 4. 드라이버/윈도우 문제 무선랜 드라이버가 오래되었거나 손상된 경우 Windows 업데이트 이후 충돌로 특정 와이파이에만 문제 발생 5. 공유기 MAC 주소 필터링 공유기 설정에서 특정 MAC 주소를 차단한 경우 6. 보안 프로그램/방화벽 간섭 일부 보안 솔루션, VPN, 기업용 보안 정책이 특정 SSID 접속을 막을 수 있음
+ 25/09/18 10:57
1. 무선랜 아답터가 노트북 내장 하나이고 이걸로 내부망 / 외부망 SSID를 번갈아 연결해서 사용하고 계시다는건가요?
2. 그 노트북에서 스마트폰을 테더링해서 인터넷이 되나요? 3. 신호가 약하다고 하셨는데 같은 위치에서 다른 분들의 wifi신호는 잘 잡히나요? 몇칸 정도인지?
+ 25/09/18 12:02
테더링 테스트하다가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국내 사이트는 접속이 안 되고 해외 사이트만 연결되는 증상이 있더군요.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연결에서 무선 랜카드 설정을 확인해보니 DNS가 수동으로 지정되어 있었습니다. (왜 그렇게 되어 있었는지는 모르겠네요.) 그동안은 윈도우11 우측 하단의 와이파이 아이콘을 통해 DNS를 자동으로 설정했는데, 이건 개별 AP에만 적용되는 설정이었던 것 같습니다. 반면 제어판에서 지정된 DNS는 전역 설정이었고, 우선순위가 있어서 그쪽이 먼저 적용되었던 것 같네요. 이걸 자동으로 바꾸니 정상적으로 접속됩니다.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