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9/11 23:51:07
Name 알파고
Subject [질문] 아기와 개를 같이 두는건 위험한가요?
우리나라에선 잘 모르겠는데 해외에선 꽤 자주 뉴스에 나오네요.

징조가 있는진 모르겠지만 뉴스상으로는 몇달간 아기와 잘 지내다 갑자기 물어죽였다네요.

맹견 뿐만이 아니라 사람 문 적 없는 리트리버도 아기를 물어죽인 사고가 있더군요.

혼자 사랑과 관심을 받다 그게 아기에게로 옮겨가니 질투라는 말도 있더군요.

물론 그렇게 흔하진 않지만 기본적으로 아기와 개를 같이 두는건 위험한건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슬래쉬
25/09/12 00:08
수정 아이콘
네...
덴드로븀
25/09/12 00:13
수정 아이콘
https://m.youtube.com/watch?v=lmDpPlL6SoY
미취학 아동과 반려견은 보호자 없이 두면 큰 사고로 이어져” 반려견과 신생아, 강형욱의 솔루션은 무엇?┃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네.
알파고
25/09/12 00:27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한번 보겠습니다.
25/09/12 00:17
수정 아이콘
웨이브나 tvn 가입되어 있으면 가장 최근 '개와 늑대의 시간' 찾아보세요. 강형욱 새 솔루션 프로그램인데 개와 아기가 같이 있으면 안되는 이유가 나옵니다.
알파고
25/09/12 00:26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한번 보겠습니다.
개념은?
25/09/12 00:29
수정 아이콘
리트리버가 의외로(?) 물림 사고가 많은 견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이런 대형견들은 평소엔 순해서 잘 모르다가도 생닭이나 족발뼈 같은거 줬을때 그거 뜯어 먹는거 볼때마다.. 저게 만약 내 손이면 으스러지겟네 하는 생각을 가끔하는데.. 참 무섭죠.
리트리버도 사람한테는 보통 순한편이지만, 자기 새끼들한테는 교육의 의미로 갑자기 확 물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아기같은 경우는 그 짧은 한번의 물림이 치명타로 다가올거라...

윗분들도 말씀하시지만 강형욱은 절대로 개와 아기를 같이 두지 말라고도 말하고요.
25/09/12 00:39
수정 아이콘
리트리버도 아기 사망사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절대 금물 입니다 아이와 개만 두는 건요
25/09/12 0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 대형견은 성인도 물어죽일 수 있으니 말할 것도 없고(바우와우로 유명한 불테리어 산책을 시켜본 적이 있었는데 덩치가 그리 크다고 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나가는 아이를 보고 갑자기 짖으며 튀어나가는데 몸이 순간 훅 끌려가더군요.), 소형견도 보호자가 100% 통제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면 키우지 않는 게 좋기야 하겠죠.
물론 개의 기질에 따라 아이를 보호해줘야 할 대상으로 여기고 잘 지내기도 하지만, 일반인이 직접 겪어보기 전에 개의 기질을 100% 파악하기는 힘든 일이니 혹시 모를 위험에 아기를 노출시켜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키모이맨
25/09/12 02: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통계적으로 매년 발생하는 개물림사고가 2천건 조금 넘습니다
이건 119에 신고된거 기준이니까 119부를정도로 좀 심각한 경우겠죠?
반려견이 550만마리쯤 되고요
러프하게 0.02%쯤 되네요
0.02%만큼 위험한거니 뭐 이건 본인의 감정과 기분따라 다르겠죠
0.00001%이라도 위험할 가능성이 있는게 싫댜면야 절대 같이 두면 안 될거고
현실적으로 고려하지 않아도 될만한 너무나도 낮은 확률이라고 생각할수도 있고요
뉴스에 자주 나오는거야 사람들 관심을 확 끌만한 그런 종류의 사고라서 많이 보도하는걸거고
코코아
25/09/12 06:18
수정 아이콘
반려견 550만마리가 전부 무방비 아기랑 있는건 아니잖아요.
25/09/12 12:02
수정 아이콘
통계적으로 매년 발생하는 칼부림 사건이 1만건이 안되니까
한국인이 칼맞을 확률은 1만/5천만 = 0.02% 정도입니다.

그럼 칼든사람이 내옆에 있을때 0.02%만큼 위험한건가요?
25/09/12 04:24
수정 아이콘
부모의 관리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부모도 아기의 행동을 예측하지 못하는데 그 예측하지 못한 행동을 멍멍이에게 한다면 멍멍이들이 어떤 행동을 보일지 모르죠.

결국 같이 두는거 자체가 위험하기보다는 위와 같은 상황을 염두하지않고 부모가 그냥 내버려두는게 위험한거고요.

꼭 멍멍이가 아니더라도 모든 일상생활에서 아이를 키우는 방식에 따라서 위험에 노출의 확률이 달라진다고 생각하네요. 놀이터나 식당등의 공공장소에서 부모의 모습 + 아이의 기질을 보면 어느정도의 확률은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혼자 사랑을 받다가 그렇지 못해서 질투하는 경우도 분명히 있겠으나 그것보다는 관리의 문제라고 생각하고요.

기본적으로 그냥 두는건 위험하죠. 근데 위험할 일이 벌어질수도 있다는걸 염두하면서 아이와 멍멍이를 조율하면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방구차야
25/09/12 05:45
수정 아이콘
개가 주인을 무는건 서열정리가 안되서라고 합니다.
주인과 서열정리가 됐더라도 아기는 다른 존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인의 아기니까 내 위라는 생각을 하겠으나
개들끼리 정기적으로 서열싸움 하는것처럼 완성되지 않은 관계를 뒤집으려는 순간이 올수도 있는거죠.

번외로, 아이들이 떼쓰고 우는것도 부모와의 서열싸움 같은거라 봐야죠
좀더 본능에 기울어진 아이가 원하는 욕구를 상대를 통해 얻기 위해선 울고불고 떼쓰는 방법밖에 없는거고
안통하면 발길질하거나 집어던지는등의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개가 으르렁 대거나 무는것과 본능적으로 비슷하다고 봅니다
아이입장에서 그런 행동을 통해 부모로 부터 원하는걸 얻으면 부모보다 내가 서열이 위라고 생각하게 되는식이죠.

조패서 아래로 깔아야 한다는게 아니라..
애던 개던 누구에게 권위가 있는지 정립하는게 필요한 일이라는 거죠

개와의 관계에서 아이는 그렇게 할수 없으니 부모가 같이 있어줘야 하는거고요.
25/09/12 07:24
수정 아이콘
개는 원래 밖에서 키워야....
밖에서만 키워도 저런사고 현저히 줄여들건데
정공법
25/09/12 07:35
수정 아이콘
이게 질문거리가 되나
당연히 위험한거 아닌가,,,
오타니쇼헤이
25/09/12 08:12
수정 아이콘
미국에선 한 해 개물림 사망사고자가 4백명이 넘습니다
아동포함
25/09/12 08:54
수정 아이콘
반려견이라고 부르고 정서적 교감이 있다고 해서 개를 100%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건 오만이죠..
아케르나르
25/09/12 09:03
수정 아이콘
성인에게도 입질하는 개가 아이에게 안할까요 절대 아이와 개만 놔두면 안됩니다. 오래 전에는 개가 혼자있는 유아생식기를 뜯어먹는 일도 잦았다고 합니다. 그런 케이스로 환관이 된 경우도 많았다고 들었네요.
잠이오냐지금
25/09/12 09:13
수정 아이콘
위험하죠
사람도 단둘이 있으면 범죄가 일어나는 세상인데...
개도 당연히 위험하죠...
25/09/12 09:48
수정 아이콘
짐승은 짐승일 뿐!
25/09/12 10:02
수정 아이콘
위험합니다 똑똑한 개일수록 더

아기를 자기 아래로 보거든요
근데 아기가 힘조절 못하고 건들기 시작하면
개 입장에서는 훈육한다고 살짝 문 것이 아기한테는 평생 흉터로 남을 수도 있습니다

절대 안됩니다
25/09/12 10: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강형욱曰 대형견들은 7세미만 작은 아이들을 토끼로 본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보호자 아기 개가 같이 있을땐 개에게 서열 확인 확실히 해주어햐 한다고...
25/09/12 10:23
수정 아이콘
사람도 가끔 무는데 개라고 안 물까요
무는 사람은 그나마 힘조절 되겠지만 짐슴따위가.ㅠㅠ
25/09/12 11:27
수정 아이콘
개는 개죠..당연히 위험
25/09/12 12:0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도 화제됐었는데 언제 였더라?하고 찾아봤는데
그건 못 찾았고 3년전에 8살짜리가 물려서 다친기사는 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665 [삭제예정] 사설 데이터복구업체 가보신분 계신가요 [3] longtimenosee185 25/09/12 185
181664 [질문] 애플워치 고민 [8] 김카리862 25/09/12 862
181663 [질문] 야구게임은 투수로 하나요? 타자로 하나요? [9] 無欲則剛1175 25/09/12 1175
181662 [질문] 아이폰17 프로맥스 어떻게 사는기 최선인가요? [3] Nothing Phone(1)1487 25/09/12 1487
181661 [질문] 아기와 개를 같이 두는건 위험한가요? [25] 알파고2679 25/09/11 2679
181660 [질문] 통신사 어디가 좋을까요? [6] Be quiet1872 25/09/11 1872
181659 [질문] 그랑콜레오스는 괜찮나요 좀 아닌가요 [10] 오타니쇼헤이1814 25/09/11 1814
181658 [삭제예정] 피부과에서 남자 어떤 시술? 관리? 받아야 될까요 [9] 시은2566 25/09/11 2566
181657 [질문] 아이패드와 애플펜슬 연결 문제 [3] 장헌이도1405 25/09/11 1405
181656 [질문] 할로우 나이트 길찾기 가이드 같은게 있을까요? [11] 카오루1387 25/09/11 1387
181655 [질문] iOS 베타 26을 정식으로 돌리기 질문입니다. [4] 제논1225 25/09/11 1225
181654 [질문] 중고차구매 질문 드립니다 [8] 쉬군1839 25/09/11 1839
181653 [질문] 파이브가이즈 메뉴 추천부탁드립니다. [28] kogang20011818 25/09/11 1818
181652 [질문] 이직조건에 대해 고민이 있습니다.(수정) [32] 삭제됨3384 25/09/10 3384
181651 [질문] PGR21 글씨체가 바뀐 건가요? [6] 223.322783 25/09/10 2783
181650 [질문] 아기 초기이유식 설사 어떻게 해야 할까요? [8] 옥동이2613 25/09/10 2613
181649 [질문] 현관문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이 고장났습니다. [4] 다이어트2929 25/09/10 2929
181648 [질문] 중국어 번역용 AI 질문입니다 [8] Kusi2329 25/09/10 2329
181647 [질문] 야구장 가는 법에 대해서 야구장 초보가 질문드립니다! [13] 성북구강챙이1515 25/09/10 1515
181646 [질문] 36개월 아기는 보통 몇시간이나 수면하나요? [20] 윈터1989 25/09/10 1989
181645 [질문] 70-80년대 한국영화는 진짜 애마부인류가 전부인가요? [15] 헤나투2031 25/09/10 2031
181644 [질문] 투자 공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14] 로피탈1464 25/09/10 1464
181643 [질문] 가을에 남해 여행 어떨까요?? [10] 원스2425 25/09/09 24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