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7/04 19:40:23
Name 깔끔하게
Subject [질문] 피로회복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40대 중반의 평범한 아빠입니다

그동안 비타민이나 영양제 등은
먹어본 적이 없는데
최근 눈이 너무 침침해서
일상 생활에 지장이 좀 있어
안과를 갔는데
백내장, 녹내장 등의 문제는 아니고
단순 노안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제 슬슬 시작됐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료 직원들 보면 매일같이
여러개 알약을 챙겨 먹던데
저도 그래야 할때가 온거 같네요

눈 관련해서 쏠티스(?) 구매했구요
만성 피로가 너무 심합니다
일이 고되기도 하고
왕복 3시간이 넘는
출퇴근 시간도 한몪 하는거 같습니다
잠도 잘 못자는 스타일이기도 하네요

적고보니 왜 이제 시작할까나
하는 아쉬움도 듭니다
시작 단계다보니 습관이 안되어있어 여러개 챙겨먹을
자신은 없고
눈 영양제 외에
피로회복제나 기타류의 알약 두어개 정도
추천해주시면
적극 구매해 보겠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25/07/04 19:43
수정 아이콘
효과 본 건 유산균, 비타민D, 라이코펜 정도인 듯요.
깔끔하게
25/07/04 21:01
수정 아이콘
검색해 보겠습니다 ^^
슬래쉬
25/07/04 19:55
수정 아이콘
동년배입니다. 여러가지 먹고는 있는데 솔직히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유산균 2종류, NMN, 멀티비타민, 비타민D, 오메가3, 루테인, 코큐텐
지금은 이렇게 먹고 있습니다.
그냥 먹으니깐 아픈데 없다... 이런 정신승리 목적으로 먹는듯요, 먹는 종류는 그때그때 조금씩 바뀌긴 합니다
깔끔하게
25/07/04 21:02
수정 아이콘
저도 딱히 아픈곳이 없어
지금까지 안 챙겼는데
이게 한번에 오는 느낌입니다 ㅜㅜ
25/07/04 19:59
수정 아이콘
즉각적인 효과는 오쏘몰이 최고입니다
깔끔하게
25/07/04 21:02
수정 아이콘
추천 감사드립니다 ^^
밥과글
25/07/04 20:12
수정 아이콘
저 안구건조증이 심해서 자기 전 10분 정도 눈 찜질을 하는데 눈 피로에도 체감 효과 정말 좋습니다... 자기 전에 뜨뜻허니 뭔가 잠도 잘 오는 느낌이고...
전자레인지 등에 돌려서 사용하는 눈 찜질기가 있는데 한 번 사용해보시면 좋습니다
깔끔하게
25/07/04 21:03
수정 아이콘
적극 알아봐야겠어요
수면질이 너무 떨어집니다 ㅜㅜ
질소반과자반
25/07/04 20:18
수정 아이콘
전 게임도 못할정도로 너무 피곤해서.. 비타민 같은거 찾아보다가 링티에서 연령대별 먹는 비타민 같은거 있더라구요
30 40 50대 이렇게 있다보니 거기서 맞는 연령에 맞춰서 사시는것도 좋습니다
깔끔하게
25/07/04 21:03
수정 아이콘
링티는 물에 희석해서 먹는것만
있는줄 알았습니다
잘 찾아볼께요 ^^
지니팅커벨여행
25/07/04 23:44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EB%A7%81%ED%8B%B0
저는 링티는 쳐다도 안 봅니다
25/07/04 20:30
수정 아이콘
종합비타민이나 영양제... 솔직히 체감되기 힘듭니다. 저도 나만 이러나 싶어서 예전에 피지알에서 물어봤는데 영양제로 체감을 봤다는 사람이 거의 없었어요. 유일하게 유산균은 쾌변하는데 체감이 되긴 합니다.
깔끔하게
25/07/04 21:06
수정 아이콘
피로는 간의 영향일거라는 이야기를 들어서
아로나민골드를 생각해보긴 했습니다
역시 광고의 힘
뭐라도 시작해야할거 같아요
피곤하다는 소리를
하루에 백번은 족히 하는듯요
알카드
25/07/04 20:55
수정 아이콘
수면 시간 늘리지 않는 이상 체감 거의 불가능 하실 가에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말을 하기에는 수면은 정말 어떤 것으로도 대체되지 않는 회복 효과를 줍니다… 어떤 영양제도 1/1000도 대체하지 못해요 ㅠ
깔끔하게
25/07/04 21:04
수정 아이콘
아침5시 50분에 알람이 맞춰져 있는데
알람 소리에 일어나는날은
손에 꼽는거 같아요
항상 5시 내외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ㅜㅜ
25/07/04 21:53
수정 아이콘
보통 몇시에 잠자리에 드나요?
깔끔하게
25/07/04 22:56
수정 아이콘
12시 정도에 자는거 같네요
25/07/04 23:23
수정 아이콘
수면시간을 좀 더 늘리세요 국내의사들이나 해외의사들이 추천하는 성인수면시간은 7-8 시간이라고 하네요. 충분한 수면이 체력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멜라토닌이 도움이 되는데 합법적으로 구하고 싶으면 아무 가까운 동네 내과 가서 멜라토닌 처방 받으시면 됩니다.
25/07/05 07:40
수정 아이콘
이건 무조건 수면시간 이슙니다
무조건 6시간 이상은 확보한다고 생각하세요
영양제는 절대로 잠을 대체하지 못 합니다
알카드
25/07/04 23:11
수정 아이콘
수면 시간 5시간은 적어도 너무 적습니다 ㅠ 어떻게 해서든 수면을 늘리시는게 그 어떤 건강 요법보다도 효과적일거라고 장담합니다…!!
깔끔하게
25/07/05 19:37
수정 아이콘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파이어폭스
25/07/05 00:12
수정 아이콘
이러면 영양제로는 안 될 것 같아요.. 저도 같은 말이지만 충분한 잠이 먼저 입니다.
누워있는 시간이 5시간이지 숙면시간은 더 적을 수도 있겠네요.
일어나는 시간이 정해져 있다면 잠에 드는 시간을 최대한 당겨보세요.
깔끔하게
25/07/05 19:37
수정 아이콘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소심한개미핥기
25/07/04 21:37
수정 아이콘
피로감과 시력 감소로 안과를 가셨다면, 가정의학과나 내과 중에 내원하셔서 간수치(AST,ALT,r-GTP) 및 갑상선 기능검사(T3, Free T4, TSH), 당뇨 수치(HbA1C/당화혈색소)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통상적인 일반 건강검진을 받으셨다고 하더라도 한 번 쯤은 혈액검사를 돌려보세요. 추가적으로 비타민 검사(엽산, Vit.D, Vit B12)를 받으시면 비타민 부족 상태도 기본적으로는 알 수 있습니다.
깔끔하게
25/07/04 22:57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 받는 검진이 곧 돌아오는데
적어주신것도 확인해 봐야겠네요
25/07/04 22:34
수정 아이콘
갠적으론 그 어떤 영양제도 체감될 만한 효과를 느낀 적이 없네요.
금주와 금연, 건강한 저녁 식사를 기본으로 깔고 그래도 수면 장애가 오면 멜라토닌이라도 드셔 보시죠.
약국에서 파는 거 말고 처방되는 거요.
깔끔하게
25/07/04 22:58
수정 아이콘
멜라토닌 알아봐야겠네요
특히 요즘들어 부쩍
못자고 있기는 합니다
Jedi Woon
25/07/05 00:03
수정 아이콘
40대 초반이고 아르기닌과 블랙마카 먹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두개의 체감효과가 큽니다.
아르기닌은 3개월 먹고 한 달 쉬고 다시 먹는데 그 쉬는 기간에 몸이 쉽게 피로해지고 활력이 떨어지는게 느껴 집니다.
그리고 블랙마카는 잔병치레가 확실히 없어지는 느낌이구요.
깔끔하게
25/07/05 19:38
수정 아이콘
아르기닌은 정력제(?)로 알고 있었는데
그게 아니었나보네요 큭
이렇게 잘못 알고 있었다니 ^^;;
25/07/05 01:10
수정 아이콘
약 아무리 챙겨먹어도 잠충분히안자면 소용없습니다
운동 아무리해도 잠충분히안자면 소용없구요
잠을 자야해요 잘자고일어나서 아 잘잤다 느낌을 느껴보셍용
깔끔하게
25/07/05 19:39
수정 아이콘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집에서 간단히 운동하려고
실내자전거도 샀는데
잘 조합해 봐야겠어요
삶의 질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나른한우주인
25/07/05 05:29
수정 아이콘
약국에서 만원 언저리에서 파는 여러 약 들어있는 피로회복제가 일시적으로는 확실히 도움이 되더라구요.
물론 근본적으로는 잘 먹고 잘 자는게…
깔끔하게
25/07/05 19:41
수정 아이콘
잘 못 자고
잦은 음주가
(개인적인 약속으로 술자린 거의 없고
업무의 개념인 술자리는 꽤 많네요
이게 주요 원인인듯 하네요
환상회랑
25/07/05 08: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떤 영양제도 수면보다 좋은 효과를 주긴 힘들 겁니다. 최소 7시간이라고 봐야 하지만, 여건상 그것도 안된다면 6시간. 6시간 이하부턴 매일 소주1병씩 마시고 사는 것과 동일한 수준입니다. 저도 불면증이 있는 편이고 의식 안하고 자면 5~6시간 이정도만 자거나, 자는둥 마는둥 대충 드러눕고 3시간 자고 깨서 비몽사몽으로 있거나 그럽니다.
이건 개인적으로 의식해서 수면에 들려 노력하고 수면환경을 개선하는게 좋습니다. 처음엔 당연히 잘 안되고 힘든데 규칙적으로 꾸준히 노력해야 하는 부분 같습니다. 유전자검사를 해봤는데 선천적으로 불면증 유전자가 있다고 하더군요. 그런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내가 노력해야죠ㅠㅠ

그래도 영양제가 전혀 효과가 없나? 그건 아닙니다. 단순히 피로회복을 떠나 전반적인 몸상태가 조금은 나아지는 느낌, 플라시보일 수도 있지만 암튼 체감이 든다는게 중요하니까요. 저도 영양제 무더기로 먹고 그러는거 안 좋아하는데 나이드니까 챙겨먹게 되더군요. 저도 딱 기본만 먹고 있습니다. 비타민C, 오메가3, 비타민D3&K2. 이정도가 기본이고 개인적으로 하나만 추가한게 나이아신아마이드네요. 이건 즉효를 원하는게 아니라 노화대비용으로 먹는거고. 영양제로 즉각적이고 강한 효능을 원한다면 실패하실테고, 장기적으로 내 몸을 개선해서 끌어올린다는 목적으로 드셔야 합니다. 게임으로 치면 바로 HP를 회복시키는 물약이 아니라, 최대체력 상한을 조금씩 늘리는 비약이라고 해야 크크 지금 내 피통이 10이면 20, 30짜리 회복물약 먹어도 소용없죠.
깔끔하게
25/07/05 19:42
수정 아이콘
길게 못 자는 편이예요
평일은 4~5시면 깨고
주말에도 7시면 깨는거 같습니다
정성 어린 댓글보니
결국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꽤나 고민해야할거 같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김삼관
25/07/05 09:29
수정 아이콘
직상자님의 근무는 아니지만 얘기를 꺼내기 전에 잠깐 다른 소리를 해보자면, 일반적으로 교대근무가 WHO 분류 2급 발암 영향인 이유가 수면상태 이상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푹 자는게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건강하게 오래 사시는 어르신들 대부분 피곤해지면 일찍 자버리죠.. 시간 아깝다는 생각도 들지만 한두시간 일찍 자고 하루 더 산다고 생각하면 24시간을 버는 셈이니 그냥 푹 쉬실 수 있는 상황이라면 일찍 잠드는 것도 괜찮은 거래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밤의 2시간을 낮의 8시간으로 바꿀 수 있으니까요. 물론 저도 잘 지키진 못하고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
깔끔하게
25/07/05 19:43
수정 아이콘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김삼관
25/07/05 19:52
수정 아이콘
낮잠이라도 주무셔 보시죠 흐흐..
오늘 뭐 먹지?
25/07/05 11:13
수정 아이콘
점심에 비타민디, 잠자기전에 멜라토닌 추천합니다. 식사 두끼 먹으면, 다른 영양제는 과잉이라고 생각합니다.
깔끔하게
25/07/05 19:44
수정 아이콘
많은 댓글이 결국 수면 확보인데
이건 단기간에 해결될거 같지 않아
위에서도 언급됐던
멜라토닌 적극 고민해 봐야겠어요
장기적으로는 수면개선이
과제인듯 하구요
25/07/05 15:21
수정 아이콘
속는 셈치고 딱 1주일만 순수수면시간 일곱 시간씩을 확보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깔끔하게
25/07/05 19:43
수정 아이콘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063 [질문] 등뒤 견갑골(능형근) 쪽 통증이 낫질 않습니다 stoi385 25/07/06 385
181062 [질문] 이 곤충 뭔지 아시는분? [6] Right1389 25/07/05 1389
181061 [질문] 에어컨 몇평짜리 살지 조언을 구합니다 [8] 고민시1147 25/07/05 1147
181060 [질문] 주차하다 긁었을 때 후속대처 [9] 참치등살간장절임1713 25/07/05 1713
181059 [질문] 책만 넣고 다니는 저렴한 가방 있을까요? 5만~20만 [7] 라온하제1574 25/07/05 1574
181058 [질문] 피로회복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42] 깔끔하게3930 25/07/04 3930
181057 [삭제예정]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필요하신븐 [7] 삭제됨2728 25/07/04 2728
181056 [질문] 게시물 올릴 때 유튜브 주소만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카페알파2747 25/07/04 2747
181055 [질문] 염색샴푸에 대한 질문 및 추천 부탁 드립니다. [8] Love.of.Tears.2598 25/07/04 2598
181054 [질문] MSI 중계보는데 옆에 꽃 표시는 뭔가요????? [4] bifrost3627 25/07/04 3627
181052 [질문] 크로스핏, 복싱체육관 질문합니다. [13] 보아남편1558 25/07/04 1558
181050 [질문] 엑스박스 발로란트 질문입니다. [1] 바람의 빛1854 25/07/03 1854
181049 [질문] 아이폰/아이패드 상단바 부분 누르면 스크롤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거 끄는 법이 있나요? [2] liten1988 25/07/03 1988
181048 [질문] 러시아어를 배우려고 하는데 왕초보라서 어떤 책을 봐야 할지 모르겠는데 교재 좀 추천해주세요. [3] 미키맨틀2028 25/07/03 2028
181047 [질문] 둘중 한명의 선수로 살아볼수 있으면 누가 더 매력적이세요? [26] 마르키아르2938 25/07/03 2938
181046 [삭제예정] 바르셀로나 vs FC서울 경기 티켓 구하시는분 있을까요? [4] 삭제됨2041 25/07/03 2041
181045 [질문] [사진첨부] 해당 나무의 이름이 뭘까요..? [1] 해버지1390 25/07/03 1390
181044 [질문] 원피스는 만화와 애니가 동시 진행일까요? [7] 회색사과1406 25/07/03 1406
181043 [질문] 위내시경 비수면으로 하면 큰일날까요....? [51] EnergyFlow2792 25/07/03 2792
181042 [질문] 사진보관용 외장하드에 대해질문드립니다. [9] 천우희2185 25/07/03 2185
181041 [질문] 뇌전증(간질) 약은 하루 12시간 간격을 꼭 지켜야하나요? 30분-1시간 정도 약 먹는게 늦어지면 위험한가요? [5] Succession2648 25/07/02 2648
181040 [질문] 정말 오래된 차인데 와이프 출퇴근용으로 타려합니다.이런 저런 질문즘 드립니다 [6] 하이킹베어2762 25/07/02 2762
181039 [질문] 선물용 양주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우엉징아리2636 25/07/02 26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