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7/03 10:08:19
Name EnergyFlow
Subject [질문] 위내시경 비수면으로 하면 큰일날까요....?

원래 회사에서 검진비용을 다 대줘서 무지성으로 수면내시경만 받아왔는데

퇴사하고 제 돈으로 받으려고 하니까 이게 가격이 생각보다 꽤 나오네요

그래서 주변에 투덜거렸더니 대장내시경은 빡센데 위내시경은 비수면으로도 할만하다는 사람이 꽤 있어서 솔깃하는 중입니다

피지알 경험자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싶어서 글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꽃이나까잡숴
25/07/03 10:09
수정 아이콘
위/대장 둘다 비수면으로 해본 경험자입니다.

위는 할만합니다.
대장은 죽어도 하지마세요.
잠이오냐지금
25/07/03 10:16
수정 아이콘
사바사라서...
그래도 대장보다는 할만 하다고 합니다
25/07/03 10:18
수정 아이콘
저는 위내시경 늘 비수면으로만 해요.. 할만해요.
격렬하게쉬고싶다
25/07/03 10:21
수정 아이콘
이게 해보기전에는 모르는거라..
처음 비수면내시경하고 할만하다 했는데, 다음번에는 왠일인지 진짜 죽겠다 싶었습니다. 요즘은 그냥 스트레스 받기 싫어서 수면으로 합니다.
숨쉬기 힘들때 멘탈 잡고 참으면 되는데, 그 순간 공포가 좀 쎄게 덮쳐올 때가 있습니다..
25/07/03 10:24
수정 아이콘
저는 둘 다 비수면으로 하고 있습니다.

위는 처음에 카메라 넘길 때만 잘 하고 몸에 힘빼고 가만히 있으면 괜찮습니다.

대장 내시경을 대장 팽창을 위해 가스를 넣는데 이게 배를 아프게 하는 것이 문제인데

배가 아플 때 자연스럽게 가스를 배출하면 다시 편해집니다. 오히려 위 보다 덜 불편합니다.

한 번 해보시고 불편하시면 다음부터는 수면으로 해보세요.
25/07/03 10:27
수정 아이콘
해본 사람들은 비수면 괜찮다고 하더라구요 시간도 짧고 차타기도 편하고
행복을 찾아서
25/07/03 10:33
수정 아이콘
위는 수면과 비수면 다 해봤는데 수면이야 워낙 편하니 괜찮고, 비수면은 눈 딱감고 하면은 할 수는 있습니다.
이게 어찌됐건 목에 내시경을 집어넣는건데 저 호스가 내 목구멍에 들어오는구나 하는 불쾌감과 공포감이 생기는데
일단 들어가고 나면 그냥 다 잊혀지고 이 구역질이 빨리 끝나기만을 바라게 됩니다.
생각보다 빨리 끝나고 입 주변이 내 침으로 찝찝해지지만 할 만은 합니다.
근데 비용 때문이라면 그냥 편하게 수면하십시오.
저는 수면만 하면 몸부림치는 체질이라 조직검사를 위해 비수면으로 진행했던건데... 조직검사를 할 일이 없다면 다음에는 무조건 수면입니다
25/07/03 10:36
수정 아이콘
기침, 구토 같은 거 평소에 잘 참는 편이면 할만합니다. 저도 운전해야하는 날에는 비수면으로 하네요.
쵸젠뇽밍
25/07/03 10:39
수정 아이콘
전 한 번 했고 비수면으로 했는데, 못하겠더라고요. 식도등에 상처도 많이 났습니다.
사신군
25/07/03 10:40
수정 아이콘
1분 2분 죽을꺼 같아요 저는 못해요
근데 주변은 다 잘하더라고요. 하남자 에겐남 하겠습니다.
친친나트
25/07/03 10:42
수정 아이콘
비수면으로만 해봤는데 다음에도 비수면으로 할 것 같습니다. 힘들긴 한데 뭐 몇년에 한번 못견딜 정도는 아니라서요.
25/07/03 10:43
수정 아이콘
할만하다는 사람도 많습니다. 담에도 비수면 하겠다는 사람들...
다만 못하는 사람은 다시는 안한다 하고요. 해봐야 알 수 있어요.
마술사
25/07/03 10:48
수정 아이콘
수면 6번 비수면 3번 했습니다
굳이 힘든 길을 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수면 하세요
소심한개미핥기
25/07/03 10:51
수정 아이콘
위 내시경 잘 참는 분 계시고, 못 참는 분 계십니다.
수면 마취의 위험성은 의사의 성향에 따라 다소 갈리지만 위 내시경이 대장 내시경보다 더 위험하곤 합니다.
반대로 시술 자체의 위험성은 대장내시경이 더 위험합니다. (천공 등)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위 내시경은 화생방이 더 나은 것 같아요.
대장내시경은 비수면 했는데 문제 없었습니다. 큰 불편감 없이 잘 할 수 있었어요. 이 역시 시술자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수리검
25/07/03 11:00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다르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는 해 보기 전엔 모릅니다

글쓴분에게 '좀 아깝긴 하지만 못 낼 정도는 아닌' 금액
혹은 그보다 덜 부담되는 금액이라면
그냥 수면 내시경 하시는 걸 개인적으로는 추천합니다

보통 10-20만원 하는데
해봤는데 내가 수면 내시경을 못 버티는 사람이라면
그깟 십만원 때문에 내가 ㅠㅠ 하는 생각을 수없이 하시게 될 겁니다
엘브로
25/07/03 11:05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다릅니다.
내가 비수면 할만한 사람인지는 직접 해봐야 판단 가능해요
배고픈유학생
25/07/03 11:09
수정 아이콘
전 비위약해서 치과에서도 고생이라..고민없이 바로 수면했죠
레벨8김숙취
25/07/03 11:11
수정 아이콘
위 내시경은 비수면으로만 합니다.
목구멍을 지나갈때 좀 불편할 뿐.. 2~3분이면 끝나니까 그닥 힘들다고 느껴지지는 않더라구요~~

내년에 대장 내시경도 받아야 하는데..
이것도 비수면으로 도전해볼 예정입니다.

한 번 도전해보세요~~
25/07/03 11:14
수정 아이콘
수면 추천드려요.
25/07/03 11:15
수정 아이콘
1. 눈물 콧물 침 다 나올껀데 부끄럽다
2. 처음에만 불편하다
3. 오잉?? 또 들어가? 계속 들어가? 헐? 아직도??
4. 할만한데? 하지만 다음엔 수면해야지
성야무인
25/07/03 11:25
수정 아이콘
저는 비수면으로 합니다.

위나 대장이나

위는 그래도 괜찮습니다만

대장은 사실 버틸만은 헌데

문제는 수치심을 견디는 게 중요합니다.

똥꼬에 간호사가 보는 앞에서

가끔 설사도 지리는 상황이 발생하는 가운데

내시경을 넣으니까요.

이것만 견디면 됩니다.

만약에 못견디시겠다면 수면으로 하시면 됩니다.
어제내린비
25/07/03 11:32
수정 아이콘
의사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세번중에 두번은 큰 문제 없었는데.. 한번은 속이 뒤집어지는 것 같았습니다.
배 아픈게 3일정도 가더라고요.
콩순이
25/07/03 11:53
수정 아이콘
비수면 했는데 괜찮아요. 좀 불편하긴 해도 수면 마취를 좋아하지 않아서...
25/07/03 11:55
수정 아이콘
백만원 정도 하는 것도 아니고 돈 때문이면 그냥 수면하는게...
25/07/03 12:19
수정 아이콘
살면서 한번은 해볼만합니다 어차피 3분 존버라
이게 직접 겪어봐야 판단이 되더라고요
저는 이제 수면만합니다 크크크크
이부키
25/07/03 12:30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몸이 정말 힘들때 머리속으로 노래를 부르면서 버텼습니다.

근데 비수면내시경 할때는 머리속으로 노래를 못이어가겠더라구요. 너무 고통스러워서요.

수면 추천드립니다.
마틴루터킴
25/07/03 12:33
수정 아이콘
할만함
요키와 파피용
25/07/03 12:34
수정 아이콘
비수면 위내시경은 콧물 눈물이 나오기는 한데 무엇보다도 카메라?가 목으로 들어갈 때 목넘김을 잘 하면 상대적으로 쉽게 넘어갑니다.
대신에 장점은 후유증이 없고 의사가 내 장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비수면 대장내시경은 위에도 있지만 일단 수치심을 극복해야 합니다. 그리고 제가 장운동이 활발한 사람이 아니라서 장세척이 쉽게 안되어서 의사에게 잔소리를 많이 듣습니다. 대신에 위내시경과 비슷하게 장의 문제에 대해 직접 듣고 질문을 해도 되는 것도 장점이지요. 장세척만 잘 하시면 덜 아프게 할 수 있습니다. 잘 안되어있으면 잘 보려고 가스? 같은 것으로 치우면서 관찰을 하고 사진을 찍는데 이때 부풀어 올라서 아프기도 합니다. 그래서 전 병원에서 안내받는 절식 이상으로 음식 조절을 1주일 전부터 합니다. 음식을 적게 먹을 수록 장이 깨끗해집니다.
대장내시경을 한번만 하실 것이 아니라면 한번쯤은 비수면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검사 후 바로 활동이 가능한 것도 좋습니다.
25/07/03 12:35
수정 아이콘
비수면으로 할 때 의사분이 말하는거 귀에 들어오지도 않고 남는건 고통만 생생했네요.
한 번은 해봐야 아는거라 크크크크 비수면 도전해보세요.
25/07/03 12:39
수정 아이콘
위대장 둘다 비수면 해봤는데 대장이 더 편하고, 위내시경은 5분만 빡쎄게 견디시면 됩니다.
스트렙실
25/07/03 13:30
수정 아이콘
한번은 할만했습니다. 물론 이후로는 수면만 합니다^^
미나리돌돌
25/07/03 13:36
수정 아이콘
수면 1회 비수면 4회 해봤는데 그냥저냥 괜찮습니다.
안군시대
25/07/03 13:43
수정 아이콘
아는 분 중에 무조건 비수면으로만 하는 분도 있습니다. 매사에 의심이 많은 분이라;;
RedDragon
25/07/03 14:50
수정 아이콘
두번 해봤는데, 목에 뭐 들어오는거 못참으면 힘들긴 합니다만 죽을정도는 아닙니다. 그래도 꽤 힘듭니다... ㅠ
25/07/03 15:26
수정 아이콘
위만 비수면으로 해봤는데 할만합니다.
힘들긴해도 5분만 참자라고 버티면 됩니다~
5분 힘들고 몇만원 아끼는 거라...
25/07/03 15:36
수정 아이콘
기관지 내시경도 해봤다보니.. 위,장은 껌이에요
콩탕망탕
25/07/03 15:48
수정 아이콘
비수면으로 위내시경하다가 탭을 치고 싶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환불 안 해줘도 되니까 내 목에 들어있는 이걸 당장 빼주세요. 내시경 안 할래요" 이렇게 말하고 싶지만 현실은 버둥버둥..
+ 25/07/03 16:28
수정 아이콘
수면이 안먹혔는데 그냥 집어넣어서 강제 비수면 해봤습니다.. (끝나고 잠듦..)

커피 많이 먹으면 그렇다길래 이후에는 시기에 맞춰서 커피를 조절합니다.. 별로 안하고 싶은 경험이었어요
어제본꿈
+ 25/07/03 16:28
수정 아이콘
만약, 와이프가 수면 비용을 용돈으로 쓰라는 선택지를 준다면, 비수면으로 하겠습니다.
손가락 두께의 굵은 막대기가 들어오는데, 멈춰주세요 말도 꺼내기 전에 이미 쑤셔 넣기 때문에, 참을수 밖에 없게 되는데, 목을 넘기는 순간 30초 정도만 버티면 힘들진 않아서 할만 합니다.
Jedi Woon
+ 25/07/03 16:29
수정 아이콘
처음 위 내시경 비수면으로 했습니다.
처음이고 모르니까 비수면으로 했지 이후로는 수면 내시경만 합니다.
Far Niente
+ 25/07/03 16:31
수정 아이콘
몇십만원도 아니고 몇만원 추가되는데 그냥 맘 편한 수면이..
+ 25/07/03 16:46
수정 아이콘
위만 하신다던가 바로 운전해야할 일이 생기면 비수면하셔도 됩니다.
대장이 포함되었거나 대중교통 이용하실거면 수면 추천합니다.
머나먼조상
+ 25/07/03 17:24
수정 아이콘
큰일은 절대 아닙니다
시간도 짧고 후유증도 거의 없어서 하면 하는거고 말면 마는거고...
빼사스
+ 25/07/03 17:41
수정 아이콘
네, 할만합니다. 하지만 할만하지 않습니다. 모르시겠다고요? 그럼 한번 시도해 보시고 경험해 보셔도 좋습니다.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046 [삭제예정] 바르셀로나 vs FC서울 경기 티켓 구하시는분 있을까요? [4] 삭제됨430 25/07/03 430
181045 [질문] [사진첨부] 해당 나무의 이름이 뭘까요..? [1] 해버지621 25/07/03 621
181044 [질문] 원피스는 만화와 애니가 동시 진행일까요? [2] 회색사과698 25/07/03 698
181043 [질문] 위내시경 비수면으로 하면 큰일날까요....? [44] EnergyFlow1885 25/07/03 1885
181042 [질문] 사진보관용 외장하드에 대해질문드립니다. [9] 천우희1838 25/07/03 1838
181041 [질문] 뇌전증(간질) 약은 하루 12시간 간격을 꼭 지켜야하나요? 30분-1시간 정도 약 먹는게 늦어지면 위험한가요? [4] Succession2290 25/07/02 2290
181040 [질문] 정말 오래된 차인데 와이프 출퇴근용으로 타려합니다.이런 저런 질문즘 드립니다 [6] 하이킹베어2410 25/07/02 2410
181039 [질문] 선물용 양주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우엉징아리2322 25/07/02 2322
181038 [질문] PC 견적문의 드립니다. [9] 종합백과1610 25/07/02 1610
181037 [질문] 옷(브랜드) 관련 질문입니다. [14] AquaMarine1148 25/07/02 1148
181036 [질문] 인터넷 전화기에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1] 귀여운호랑이566 25/07/02 566
181034 [질문]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1인당 최대 30만원 환급 [6] 유포늄1720 25/07/02 1720
181033 [질문] 붕괴 스타레일 질문.. [4] 속보817 25/07/02 817
181032 [질문] PC에서 무선으로 쓸 게임패드 추천 부탁드려요! [18] 꽃이나까잡숴1265 25/07/02 1265
181031 [삭제예정] 갑질 관련 기사 제보 질문입니다. [1] 삭제됨2107 25/07/01 2107
181030 [질문] 노래를 찾습니다. [2] JoyB1831 25/07/01 1831
181029 [질문] [연애] 도대체 거절 후 이런 문자를 왜 보내는걸까요? (장문 주의) [32] 쿠쿠다스5816 25/07/01 5816
181028 [질문]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있습니다. 아파요 흑흑 [8] 가이브러시2731 25/07/01 2731
181027 [질문] 세컨카로 캐스퍼 vs 베뉴 [13] 로켓2614 25/07/01 2614
181026 [질문] 아버지 모시고 떠나는 여행 조언 부탁 드립니다 [3] 철판닭갈비1313 25/07/01 1313
181025 [질문] 구글 포토 동기화 기준이 궁금합니다. [5] 블루데이1830 25/07/01 1830
181024 [질문] 겜패로 워3 하고 있는데, 별 문제가 없습니다? [12] 선플러1410 25/07/01 1410
181023 [질문] 완결난 축구 만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4] 세종1693 25/07/01 16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