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6/25 22:18:15
Name 거북왕
Subject [질문]  은행 PB에게 상품 추천받아보신 경험있나요
은행에 일정 금액이상 돈을 넣어두면  은행 PB에게 연락이 온다고 합니다(신한 PWM 등).
이 경우 상품 추천 또는 자산 관리를 해준다고 하는데, 이게 얼마나 효과적인지 궁금한데 혹시 경험 있으신분 계신가요?
돈많은 사람들이 굳이 은행 PB에게 상품 추천받는 게 일반적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양스독
25/06/25 22:41
수정 아이콘
은행에서 추천 해주는건 99.9% 본인 실적을 위해 은행이 유리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경우라고 배웠습니다.
좋은 상품은 절대로 먼저 알려주지 않아요.
슬래쉬
25/06/25 23:28
수정 아이콘
돈은 있고, 직접 알아볼 여유는 없고, 투자는 하고 싶을떄
저는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25/06/25 23:47
수정 아이콘
일단 그냥 예금만 해도 시중 금리보다 조금 더 쳐줍니다. 성향이랑 목표를 명확히 설정해주면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주기 때문에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한 군데 PB만 만나보지 말고, 여러 곳의 PB에게 상담을 받아보는 걸 추천합니다.
무지니닷
25/06/26 08:24
수정 아이콘
그냥 연락와서 특정 상품을 권한다면 그건 들을 필요없습니다.
그건 고객 성향, 자산 배분 상황을 고려 없이 상품을 권하는 거라 영업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포트폴리오 상담을 해준다면 필요하신 경우 들어볼만합니다.
그냥 현금/예금으로 두시는것보다 이렇게도 배분이 가능하구나 참고하실수도 있구요.
그리고 나의 자산 배분상황에 따라 이런 이런 상품을 권하는건 참고하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은행 PB, 증권 PB 양쪽 의견 다들어보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25/06/26 09:50
수정 아이콘
은행PB: 은행 예금보다 조금 높은 정도의 기대 수익률. 상품 자체보다는 리스크 적고 PB 실적 인정 높게 해주는 상품을 추천할 가능성 높음. 일부 증권사 있는 은행은 증권사 상품을 연계해서 판매.
증권PB: 은행보다 좀 더 공격적인 투자 가능. 투자 상품 라인업 자체가 많음. 직접 투자 뿐만아니라 펀드, 운용사 일임, Wrap 등. PB 성향에 따라 다른 종목 추천. 성과도 천차만별.
자산운용사 일임: 실력있고 유명한 운용사에 직접 돈을 맡기고 일임 투자 가능함. 최저가입 금액이 최소 억단위. 당연히 운용사 마다 성과가 크게 다름.
가입 방법은 운용사 상담등 컨택하고 증권PB 통해 계좌 개설해서 일임계약. 증권은 중개사 역할.
증권Wrap: 증권사에는 본사 자체에서 운용하거나 자산운용사의 자문을 받아 계좌를 운용해주는 Wrap계좌 상품이 있음. 직접 일임 받는 것보다 최저가입금액이 천만원대 정도로 낮고 접근 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음. 펀드와의 차별성은 내 계좌에서 직접 종목들이 운용되서 투명하고 추가 입금, 출금 등이 좀 더 자유로움. 증권 PB 통해 가입하거나 일부 상품은 모바일에서 직접 가입도 가능함. 증권사마다 주력 Wrap 상품을 찾아보고 PB 상담등을 통해 가입하는걸 추천. PB에 의존하는거 보다 좀더 프랜차이저 느낌. 저점이 높음.
이것 외에는 증권계좌 만들어서 ETF나 펀드 등 직접 투자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개별 주식을 직접 투자하는건 별로 권유드리지 않고요.
꿈트리
25/06/26 09:54
수정 아이콘
증권, 은행 PB들이 생각보다 지식이 많지 않습니다. SPY 적립식으로 DCA하는게 숫제 나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056 [질문] 게시물 올릴 때 유튜브 주소만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카페알파3514 25/07/04 3514
181055 [질문] 염색샴푸에 대한 질문 및 추천 부탁 드립니다. [8] Love.of.Tears.3419 25/07/04 3419
181054 [질문] MSI 중계보는데 옆에 꽃 표시는 뭔가요????? [4] bifrost6434 25/07/04 6434
181052 [질문] 크로스핏, 복싱체육관 질문합니다. [14] 보아남편4736 25/07/04 4736
181050 [질문] 엑스박스 발로란트 질문입니다. [1] 바람의 빛4535 25/07/03 4535
181049 [질문] 아이폰/아이패드 상단바 부분 누르면 스크롤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거 끄는 법이 있나요? [2] liten3433 25/07/03 3433
181048 [질문] 러시아어를 배우려고 하는데 왕초보라서 어떤 책을 봐야 할지 모르겠는데 교재 좀 추천해주세요. [3] 미키맨틀2655 25/07/03 2655
181047 [질문] 둘중 한명의 선수로 살아볼수 있으면 누가 더 매력적이세요? [26] 마르키아르3824 25/07/03 3824
181046 [삭제예정] 바르셀로나 vs FC서울 경기 티켓 구하시는분 있을까요? [4] 삭제됨2600 25/07/03 2600
181045 [질문] [사진첨부] 해당 나무의 이름이 뭘까요..? [1] 해버지2028 25/07/03 2028
181044 [질문] 원피스는 만화와 애니가 동시 진행일까요? [7] 회색사과2076 25/07/03 2076
181043 [질문] 위내시경 비수면으로 하면 큰일날까요....? [51] EnergyFlow3649 25/07/03 3649
181042 [질문] 사진보관용 외장하드에 대해질문드립니다. [9] 천우희2863 25/07/03 2863
181041 [질문] 뇌전증(간질) 약은 하루 12시간 간격을 꼭 지켜야하나요? 30분-1시간 정도 약 먹는게 늦어지면 위험한가요? [5] Succession3303 25/07/02 3303
181040 [질문] 정말 오래된 차인데 와이프 출퇴근용으로 타려합니다.이런 저런 질문즘 드립니다 [6] 하이킹베어3554 25/07/02 3554
181039 [질문] 선물용 양주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우엉징아리3284 25/07/02 3284
181038 [질문] PC 견적문의 드립니다. [11] 종합백과2432 25/07/02 2432
181037 [질문] 옷(브랜드) 관련 질문입니다. [17] AquaMarine2101 25/07/02 2101
181036 [질문] 인터넷 전화기에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2] 귀여운호랑이1232 25/07/02 1232
181034 [질문]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1인당 최대 30만원 환급 [6] 유포늄3179 25/07/02 3179
181033 [질문] 붕괴 스타레일 질문.. [4] 속보1599 25/07/02 1599
181032 [질문] PC에서 무선으로 쓸 게임패드 추천 부탁드려요! [18] 꽃이나까잡숴2083 25/07/02 2083
181031 [삭제예정] 갑질 관련 기사 제보 질문입니다. [1] 삭제됨2704 25/07/01 27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