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6/23 16:20:00
Name papaGom
Subject [질문] 안녕하세요 irp와 연금저축펀드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파파곰입니다.
다름아니라 irp나 연금저축펀드 1년에 900만원까지 비과세가 된다하여 새로 가입하려고합니다.
근데 국민은행 irp와 연금저축펀드를 보니 회사에서 만든 펀드를 선택하는거라 질문드려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qqqm이나 snp500 반반 넣을려고 계획중인데
이 2개만 넣을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개인적으로 예를들어 맨처음은 50만원 저번달보다 싸면 100 올랐으면 그대로 50 이런루틴으로 매달 넣을려고합니다.

소중한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쪼아저씨
25/06/23 16: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전문가는 아니라, 100% 맞다고 확신 할 수는 없지만 아는대로 설명을 드리자면,
일단,
1. 미국에 상장된 etf 를 직접 투자는 못함. 한국에서 상장된 타이거나 SOL 같은 걸로 사야함.
2. 퇴직연금의 경우 위험자산은 전체투자금액의 70% 까지만 가능하기 때문에, 나머지 30%는 채권같은 안전자산에 투자 해야함.
(따라서, 2개 종목만 투자 하실 수는 없을 겁니다.)
3. 1년에 둘이 합쳐서 1800만원 까지 투자할 수 있고, 900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퇴직연금300 + 연금저축600 납입하는게 가장 효과적.
4. 연 900 이상을 납입할 예정이라면, 연금저축 계좌를 1개 더 만들어서 세액공제 받은 계좌와 분리 할것. (나중에 인출할때, 세액공제 받지 않은 계좌는 제약(세금?) 없이 인출 가능하게 하기 위함.)

정도 되겠네요.
유튜브나 인터넷 찾아보고 나름 배운건데, 더 전문가 분들이 뒤에 댓글 달아 주실듯요.
25/06/23 17:01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드립니다. 좋은하루되세요!
25/06/23 16:39
수정 아이콘
irp 계좌에서 주식 구매하듯 수수료 싼 @@@나스닥 100 / @@@SNP500 검색해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25/06/23 17:02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드립니다 irp계좌가 어떤앱을 이용해야하죠? 국민은행으로 봤을때는 하나씩구매를 안하고 저위험 고위험 몇개를 선택해서 하는걸로 나와있습니다.
이과감성
25/06/23 17:51
수정 아이콘
증권사 퇴직연금계좌에서 아마3가지 종류가 있을텐데 그중에서 직접투자형이 국내상장미국etf를 바로 사실수가 있습니다
저도 용어가헷갈리는데 펀드형이면 단일종목(etf포함) 매매가 안될겁니다.

국민은행을 계속 쓰시려고한다면, 거기 있는 펀드들 중에서 snp나 qqq비중이 높은 상품을 수수료를 비교하고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파고들어라
25/06/24 09:35
수정 아이콘
이상하네요. 말씀하시는건 디폴트옵션 (따로 설정 안하면 이렇게 운용하겠다는 방침) 을 설정하는거 같습니다.
국민은행에서 irp 계좌를 만드셨으면 국민은행앱에서(KB스타뱅킹) 펀드 및 ETF 매매가 가능합니다. "퇴직연금 상품변경 관리"에 들어가서
보유상품 매매 - 이건 펀드쪽이고
ETF 매매 - 이쪽에 찾으시는 S&P 나 나스닥 추종 etf 가 있습니다.
그리고 국민은행 앱이 좀 구려서 '퇴직연금 상품찾기' 에 들어가시면 처음에 ETF 가 안 찾아지는데 노란 바탕에 "ETF+" 라고 적힌 글자를 눌러야 ETF 가 골라집니다.
샤한샤
25/06/23 17:57
수정 아이콘
은행에서 IRP 하면 증권에서 하는거보다 선택 가능한 종목이 적지 않나요? 제가 한 십년쯤 전에 설명 듣기로는 그랬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맨 윗분 설명해주신대로 7대3 해야되긴 하는데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는 상품 중에 주식 비중 높은게 몇개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TDF 2050 뭐 이런식으로 나가는 펀드들인데 이런것들은 2050년 은퇴자를 목표로 설계되어서 젊을때는 주식 많이 담고 늙어서는 안전자산 많이 담도록 설정되어있는 펀드들입니다.
2050 이런식으로 되어있는 타겟 데이트는 본인 은퇴 시점 맞춰서 바꾸시면 되는데 최대한 뒤 날짜로 설정되어있는거 하는게 좋습니다.

아 만약 펀드는 수수료때문에 극혐이다 하시면 주식/채권 기계적으로 나눠 담는 ETF들이 몇개 있습니다.
주로 혼합으로 검색하면 나오는데 이런 애들이 안전자산 비중 채우기 좋습니다.
바위꿈틀
25/06/23 18:11
수정 아이콘
이정도 질문하실 정도면 전혀 모르시는거 같아서 그냥 딱 정해드릴게요

삼성증권 어플 깔고 연금저축, irp 계좌 만드시고

연금저축계좌에는 kodex미국S&P500 , kodex나스닥100 , 반반 매달 그냥 같은 금액
irp 계좌는 위에 같은 종목 두개 반반 총 70%, 나머지 30%는 tiger TDF2045 다 사세요

두계좌 매달 같은 금액 사시고 내리면 더 사고 포트폴리오 조정하고 이런거 하지마시고

난 미륵이다 생각하고 그냥 아무생각없이 눈이오나 비가오나 전쟁이 나든 대통령이 바뀌든 그냥 똑같이 가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시면 언젠가 은퇴하는날 저한테 절하시게 될겁니다
25/06/23 20:3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크크 원래 무지성구입하려하다가 더 욕심내볼까 했는데 덕분에 바위꿈틀님말씀대로 가기로했습니다!
바위꿈틀
25/06/24 11:59
수정 아이콘
혹시나해서 순서까지 정해드릴게요
여유돈 1년에 600까지는 연금저축, 추가 여력 300더 되면 irp
추가로 600까지 더 된다 연금저축 600더
여유가 더 있다 그럼 추가 2천까지는 isa

1. 연저 600
2. irp 300
3. 연저 600
4. isa 2000

이렇게 순서대로 사시면 됩니다 종목은 위에 종목 그대로
꿈트리
25/06/24 16:51
수정 아이콘
추가하자면,

1. 연저(계좌1) 600
2. irp 300
3. 연저(계좌2) 600
4. isa 2000

연금저축펀드계좌는 나중에 돈을 찾는 순서 때문에 2개만드셔서 나눠 입금하세요.
연말정산받는 금액, 수익이 난 금액, 퇴직금 등등 돈에 꼬리표가 붙어서 분리해서 납입하는게 유리합니다.
꿈트리
25/06/24 16:55
수정 아이콘
박곰희 유튜브 참고하세요.
https://youtu.be/BXjda2v6e-Q?si=-EEf3Oj0SbZlacWj
삐용삐용경고음
25/06/25 10:40
수정 아이콘
코덱스를 추천하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타이거보다 수수료가 더 비싸서 그런가요?
바위꿈틀
25/06/25 11:54
수정 아이콘
코덱스가 수수료가 더 싼것도 있고

코덱스는 이전에 유일하게 TR 상품을 출시해서 투자자를 생각해주는 이미지

타이거는 얼마전 나스닥100 분배금 제날짜에 안줬던 이슈 있어 약간의 양아치 이미지

하지만 둘중 뭘 사도 상관없습니다 + 라이즈 등등 뭐가됐건 꾸준히 사기만 하면 됩니다

ETF 운용사 장단점 따져볼 시간에 하루라도 빨리 뭐라도 사는게 정답
마술사
25/06/23 18:53
수정 아이콘
연저펀 vs IRP
연저펀은 100% 주식ETF 넣을수있으나, IRP는 70%까지밖에못삼 (30%는 채권 예금 등 안전자산만넣을수있음)

세액공제혜택 연저펀 최대 600, IRP는 연저펀과합쳐900

결론 : 연저펀에 600, IRP 300 넣습니다.
연저펀/IRP에서는 QQQ같은 미국직투는 안되고, 국내상장된 미국지수추종ETF 사면 됩니다 (예: KODEX 미국나스닥100) IRP에 30%는 적당한 채권/주식혼합으로 사시고요
25/06/23 20:33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아예 몰라서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시드라
25/06/23 22:33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 박곰희TV 라고 있는데 제가 본 것들 중 연저펀/IRP 계열은 여기가 가장 나았습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25/06/24 09:12
수정 아이콘
뭐 찾아보셔서 아시겠지만, 이건 40 즈음부터 하면 좋다고 하더군요. 물론 빨리하면 빨리할 수록 좋긴 하지만, 사람 일이란 게 언제 무슨 일 생길지 몰라서 이건 묶여버리는 돈이다보니 목돈이 필요한 순간에(병원비, 내집마련, 차 구매 등등) 이 돈을 쓸 수 없으니 30대면 ISA를 더 추천하더군요. 물론 여유되면 이것도 하고 ISA도 하면 더 좋긴 하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047 [질문] 둘중 한명의 선수로 살아볼수 있으면 누가 더 매력적이세요? [26] 마르키아르3902 25/07/03 3902
181046 [삭제예정] 바르셀로나 vs FC서울 경기 티켓 구하시는분 있을까요? [4] 삭제됨2676 25/07/03 2676
181045 [질문] [사진첨부] 해당 나무의 이름이 뭘까요..? [1] 해버지2118 25/07/03 2118
181044 [질문] 원피스는 만화와 애니가 동시 진행일까요? [7] 회색사과2156 25/07/03 2156
181043 [질문] 위내시경 비수면으로 하면 큰일날까요....? [51] EnergyFlow3748 25/07/03 3748
181042 [질문] 사진보관용 외장하드에 대해질문드립니다. [9] 천우희2947 25/07/03 2947
181041 [질문] 뇌전증(간질) 약은 하루 12시간 간격을 꼭 지켜야하나요? 30분-1시간 정도 약 먹는게 늦어지면 위험한가요? [5] Succession3388 25/07/02 3388
181040 [질문] 정말 오래된 차인데 와이프 출퇴근용으로 타려합니다.이런 저런 질문즘 드립니다 [6] 하이킹베어3652 25/07/02 3652
181039 [질문] 선물용 양주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우엉징아리3356 25/07/02 3356
181038 [질문] PC 견적문의 드립니다. [11] 종합백과2515 25/07/02 2515
181037 [질문] 옷(브랜드) 관련 질문입니다. [17] AquaMarine2179 25/07/02 2179
181036 [질문] 인터넷 전화기에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2] 귀여운호랑이1350 25/07/02 1350
181034 [질문]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1인당 최대 30만원 환급 [6] 유포늄3287 25/07/02 3287
181033 [질문] 붕괴 스타레일 질문.. [4] 속보1673 25/07/02 1673
181032 [질문] PC에서 무선으로 쓸 게임패드 추천 부탁드려요! [18] 꽃이나까잡숴2146 25/07/02 2146
181031 [삭제예정] 갑질 관련 기사 제보 질문입니다. [1] 삭제됨2774 25/07/01 2774
181030 [질문] 노래를 찾습니다. [2] JoyB2540 25/07/01 2540
181029 [질문] [연애] 도대체 거절 후 이런 문자를 왜 보내는걸까요? (장문 주의) [32] 쿠쿠다스7029 25/07/01 7029
181028 [질문]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있습니다. 아파요 흑흑 [8] 가이브러시4090 25/07/01 4090
181027 [질문] 세컨카로 캐스퍼 vs 베뉴 [13] 로켓3556 25/07/01 3556
181026 [질문] 아버지 모시고 떠나는 여행 조언 부탁 드립니다 [4] 철판닭갈비2090 25/07/01 2090
181025 [질문] 구글 포토 동기화 기준이 궁금합니다. [5] 블루데이2590 25/07/01 2590
181024 [질문] 겜패로 워3 하고 있는데, 별 문제가 없습니다? [12] 선플러2176 25/07/01 21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