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6/19 21:11:49
Name 장마의이름
Subject [질문] 주식 레버리지와 채권 레버리지는 다른가요?
돈과 경제에 무지한 공돌이입니다...
(주식투자도 안 했고, 돈은 거의 아끼고 저축하는 게 투자보다 우선이다 정도의 개념 밖에 없어요..)

슬슬 금융 위기감이 들어서, 최근에 마법의 연금 굴리기라는 책을 정독인데요. (2023년 개정판)
주식 etf는 관심 가져본 적도 있고 투자해본 적도 있어서 이해를 잘 하겠는데,
채권에 대해 레버리지 표현이 나와서 생소합니다.

주식(지수 etf)에서 레버리지는 대강
[일반 etf가 지수 움직임대로 가격이 오르고 떨어진다면, 3배 레버리지는 그 세배만큼 오르고 떨어진다.]
정도로 이해하고, 잘 모르면 건들지 말라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해당 책에서 포트폴리오를 제안하면서 레버리지 채권 상품이 나와서 개념이 아리송하네요.
(일단 현재 읽는 책에 나온 건 RISE KIS국고채 30년 Enhanced)
해당 상품을 검색해도 [단순하게 국고채30년 1.3배 레버리지 ETF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라고 되어 있구요.

잘 모르면 레버리지 하지 말라고 하던데 국고채 1.3배 레버리지는 뭐 크게 위험하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이런 걸 물어볼 정도면 역시 아직은 레버리지 하지 마라, 정도로 스스로를 판단하고 있긴 한데 공부는 해야 할 것 같아서 고수님들께 여쭙습니다.

그리고 슬슬 책을 다 읽어가는데, 유사하게 자산배분과 포트폴리오 관련으로 투자할 때 참고할 만한 책이 있을까요?
(회사원이고 이런 것에 빠삭하지 않아서 지수 추종에 매월 묻어두면서 물가 상승만큼만 먹자는 게 목표입니다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부맨
25/06/19 21:44
수정 아이콘
레버리지 있죠. 레버리지는 어떤상품이나 가능힙니다.
ETF 채권에 주로 있는건 채권금리 하락에 배팅해서
차익을 더먹는 건데요.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의 상관관계
한번 공부해보세요.
장마의이름
25/06/21 09:41
수정 아이콘
인버스 레버리지 채권... 주린이 머리에 쥐가 나네요ㅜ 말씀해주신 개념으로 검색해보겠습니다.
25/06/20 01:06
수정 아이콘
채권도 주식처럼 레버리지가 가능하냐고 묻는거라면 가능합니다.
레버리지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현물+선물, 현물+rp 계약 등이 있습니다.
장마의이름
25/06/21 09:42
수정 아이콘
돈을 빌려서 채권을 사고 만기때 따갚되 하겠다는 걸까요. 주식은 그나마 기본 개념은 어거지로 이해했는데 채권 너무 어렵네요; 말씀하신 키워드들 공부해보겠습니다..
25/06/21 22:58
수정 아이콘
현물+rp 계약으로 설명을 해드릴게요.
1. 채권 구입
2. 해당 채권을 되사겠다는 조건을 걸고 판매. (당연히 되살 때는 조금 더 비싸게 사야합니다. 이걸 rp계약이라고 합니다.)
3. 판매 대금으로 채권을 추가 구입
반복하면 레버리지를 더 높일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의 이득과 손실은 채권이자수익률, rp 차입금리, 채권시세차익 으로 결정됩니다.
장마의이름
25/06/22 10:57
수정 아이콘
진짜 채권은 신세계네요;; 감사합니다!
25/06/20 01:56
수정 아이콘
채권은 만기가 길수록 금리영향을 강하게 받는다고 하는데 금리 상승과 하락에 베팅하는 레버리지 상품이라고 보면 되지않을까요?
장마의이름
25/06/21 09:43
수정 아이콘
헉.. 뭔가 표현이 너무 무서운데요
나른한우주인
25/06/20 10:10
수정 아이콘
맞지는 않겠지만 대충 이야기하면, 내가 가진 돈의 두배 세배 혹은 몇배를 투자하는 것입니다.
물론 빌려서요.
투자 실패하면 내가 오롯이 감당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죠.
장마의이름
25/06/21 09:43
수정 아이콘
레버리지 개념 자체가 따갚되, 못 따면 내가 갚아야하는.. 시스템일 것 같은데 채권에서의 개념도 아리송하고 왜 추천되는 건지는 더 아리송하네요
나른한우주인
25/06/21 20:55
수정 아이콘
계산이 쉬워서 그런거 아닐까 싶어요.
레버리지로 땡긴 돈의 이자와 채권으로 받을 이자를 계산하면, 내가 돈을 따는지 잃는지는 초보자도 계산 기능하니까요.
장마의이름
25/06/22 10:56
수정 아이콘
...! 아 이제야 무슨 소리인지 개념이 와닿네요. 아하.. 그죠.. 채권 가격은 금리로 계산하니까..
감사합니다ㅜㅜㅜㅜ
기다리다
25/06/20 12:17
수정 아이콘
어떤 포트폴리온지 궁금하네요.1.3배에 30년물 채권을 배분하는건 초보투자자가 할 건 아닌거 같습니다
장마의이름
25/06/21 09:45
수정 아이콘
마법의 연금 굴리기에서는 K-올웨더라고.. 주식과 채권에 분산해서 자산배분하라는 개념을 제안하던데 주식은 제가 아는 것 중에는 가장 안전해보이는 S&P etf와 코스피 etf를 추천하던데 채권은 뭔가 위험해보이는 1.3배 레버리지 채권이어서 아리송합니다..
RedDragon
25/06/20 13:31
수정 아이콘
채권은 기간이 길수록 매우 위험한 상품입니다. 반대로 단기채권은 안전한 편에 속하고요.
채권 ETF 중에서 정기예금 보다 금리가 조금 높은 아래 두 ETF 추천 드립니다.

KODEX 단기채권PLUS
TIGER 단기채권액티브
장마의이름
25/06/21 09:46
수정 아이콘
아 갚을 시점이 도래하면 대충 각이 나올테니까 단기가 안전하다는 말일까요? 그렇게 생각하니 만기가 길 수록 수익이 좋았던 백데이터가 대강은 이해가 가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100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401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73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841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736
181126 [질문] PPT 특화되어있는 AI? 종류 추천 부탁드려요! [1] 요아정329 25/07/14 329
181125 [질문] 헬로우 애너하임! [1] 단지우유949 25/07/13 949
181124 [질문] 부모님이 쓰시기 좋은 튼튼한 유선 이어폰 추천 해주세요. 44년신혼2년982 25/07/13 982
181123 [질문] 8월에 일본 삿포로 여행을 3박 4일로 가는데요 [3] 아이폰15pro1328 25/07/13 1328
181122 [질문] 갤25 플러스, 단통법 폐지 전에 살까요, 폐지 후에 살까요? [1] 광개토태왕1471 25/07/13 1471
181121 [질문] 화면을 꺼도 작동하는 카메라앱 추천 부탁드립니다. 콩돌이1122 25/07/13 1122
181120 [질문] 핸드폰 교체 / 고가요금제 3개월 유지 조건 [6] Azure_771 25/07/13 771
181119 [질문] 폴드7, 사전예약이 좋을까요 단통법 철회 이후에 구매가 나을까요? [3] 시린비903 25/07/13 903
181118 [질문] 보르조이의 아오오니영상을 찾고 있습니다 [1] 카오루881 25/07/13 881
181117 [질문] LCK나 혹은 국제대회 도핑테스트는 어떻게 하나요? [1] 클레멘티아1056 25/07/13 1056
181116 [질문] XBOX PC 게임패스 다운로드 속도 문의(0x800704C6) sangbung2807 25/07/13 807
181115 [질문] 걸그룹 탑티어 보컬은 누가 있을까요? - 2000년생 이후 조건 [11] MoonWatch1690 25/07/13 1690
181114 [질문] 매장에서 사용할 핸드폰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고요1666 25/07/13 1666
181113 [질문] 5살 아이랑 겨울 여행 나트랑 vs 푸꾸옥 어디를 더 추천하시나요? [8] 기억의습작1643 25/07/12 1643
181112 [질문] 탈원전과 함께 에어컨 사용 금지법이 시행된다면? [11] 수지짜응2159 25/07/12 2159
181111 [질문] 요리 빡고수분 계신가요(김치질문) [6] 불대가리2863 25/07/12 2863
181110 [질문] 운전자 보험은 새로 드는 게 좋나요? [9] 빼사스3908 25/07/12 3908
181109 [질문] [POE1] 아틀라스 노드 관련 질문입니다! 일월마가2712 25/07/11 27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