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5/27 10:55:30
Name 정 주지 마!
Subject [질문] 대선 끝나면 부동산 가격 변동이 있을까요?
아파트를 살까 고민중인데요.

지역은 일산, 파주 지역인데 대선 끝나고 혹시 가격 변동이 있을지 걱정이 되서 알아만 보고 있습니다.

특별히 이슈가 있어 가격변동이 급하게 일어나면 혹시나 빠듯하게 준비한 돈이 또 모자르지는 않을지. 아니면 굳이 지금 시점에서 집을 선택하는게 맞을지등 고민이 한두가지가 아니네요.

조언들 있으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27 10:59
수정 아이콘
크크크 일산 파주 지역은 예로부터 가격변동 없기로 유명한 지역이지 않나요.
정 주지 마!
25/05/27 11:02
수정 아이콘
네, 뭐 특별히 변동이 있는 지역은 아닌데, 대선 끝나고 혹시나 싶어서 걱정이 되네요.
25/05/27 11:04
수정 아이콘
저도 요즘 파주쪽 매매 알아보고 있습니다 크크
엘브로
25/05/27 11:10
수정 아이콘
당장은 아니더라도, 서울이 계속 상승하고 있으니
다음차례는 경기도가 될거라 생각합니다.
경기도 내에서도 선호지역 순위에 따라 차례차례 순서가 올겁니다
그 시기까지는 못 맞추겠지만? 결국 화폐가치 하락은 계속되고
그리고 분양가 상승으로 오를수 밖에요....
정 주지 마!
25/05/27 11:27
수정 아이콘
어렵네요..
25/05/27 11:12
수정 아이콘
쉬지 않는 떡밥 통일 이슈 있으면 가능할텐데 민주당 되면 혹시 ..?? 하는 생각은 드네요.
정 주지 마!
25/05/27 11:28
수정 아이콘
이재명은 그쪽으로는 관심 없어보이기는 하더라고요.
25/05/27 11:15
수정 아이콘
기존에 상승하던 지역들(강남3구, 용산구, 마성동강, 과천, 판교)는 계속 오를 것 같은데 대선 끝난다고 바로 온기가 경기 북부까지 퍼질 것 같지는 않아보입니다. 민주당 집권시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오를 수 있겠지만요....
정 주지 마!
25/05/27 11:28
수정 아이콘
차라리 시기를 좀 더 보고 싶긴한데.. 확신이 없네요.
엘브로
25/05/27 11:45
수정 아이콘
내가 시기를 맞춰서 바로 오르기전에 사겠다....
이건 불가능합니다.
조용할때 사는게 마음 편해요.
12년차공시생
25/05/28 04:32
수정 아이콘
집은 조용할때 사는게 좋습니다(2)
무려 김포 파주도 대출 안나와서 오도가도 못하던 상황이 있었습니다
25/05/27 11:19
수정 아이콘
대선이 끝났다고 바로 무슨일이 생기진 않을거구요.

한가지 알려드리자면 부동산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정부가 집권하면 부동산 가격은 올랐습니다.
정 주지 마!
25/05/27 11:28
수정 아이콘
그렇죠.. 대통령이 의지를 보이면 오르는..
몽키매직
25/05/27 12:16
수정 아이콘
집은 돈 될 때 하는 겁니다. 타이밍 재려고 하지 마세요. 타이밍 그거 아무도 모릅니다.
25/05/27 12:32
수정 아이콘
민주당 정권때 집값이 오르긴 하지만 파주 이쪽은 오르더라도 가파르진 않을것 같아요
실거주 목적이면 그냥 돈될때 사시고요 투자 목적이면 다른 지역을 구매 추천합니다
25/05/27 12:34
수정 아이콘
전 틀립니다. 감으로 적은거라 제가 제시하는 숫자들이 칼같이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1. 제가 아는 역사적 + 코로나 이후를 볼 때는 주요 지역이 (1). 전고점 돌파, (2).전고점 회복 이후에는 횡보를 거듭하거나 보통은 천천히 올라갑니다. (이유는 여기서 의미가 없으므로 패스하지만 보통은 그렇다는거고 똘똘한 한채를 강조하는 정책들이 이어지면 더 올라가겠죠.)

2. 그럼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하급지들은 2~3년 동안 갭메우기에 들어갑니다. 그래서 절대 금액 자체는 벌어지겠지만 비율차이는 쫓아가는 형태로 형성됩니다.

3. 지금 코로나 이후에 이 하급지들은 인기지역대비 회복이 상급지에 비해 떨어집니다. 다만 제가 아는 과거를 통해 보면 지금부터 3년이후가 갭메우기 시작인 시점이고요.

그러면 선택을 해야겠죠? 저라면 아래중에 하나를 할텐데

1. 자녀가 없거나 어리다면 일산 파주보다는 웟급지 전세갭으로 매매하고 월세로 살다가 유치원이나 초등 입학 시기에 맞춰서 들어간다.

2. 파주는 준신축 + GTX 운정중앙역 도보권 이내로 하면 사실 단지가 뻔한데 아무튼 거기 이외에는 다른데를 안쳐다보고요.(마을버스타고 1정거장 15분 이런거 말고요.)

3. 일산은 피하고 싶고요.

4. 맞는 표현인지 모르겠는데 예를 들어 비교적 최근에 개통된 8호선 연장된 다산역이나 신분당선의 수지구청역 같은 경우는 실적주나 배당주라고 생각하고

GTX는 대표적인 AI관련 성장주라고 생각하는데 현재는 이 GTX 관련주는 바닥을 쳤고 바닥을 다졌다고 생각합니다. 쨋든 배당주들은 추격매수를 하기에는 고민을 해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말씀해주신 추정예산에는 배당주는 없다고 생각하고요.)

그럼 몇 년 걸려? GTX A는 일부 개통했고 앞으로 10년이면 되지 않을까? 그렇다면 10년후에 현재의 수지구청역 주변 아파트처럼 구축이여도 살만한가?

주저리 적다가 루팡시간이 끝나가서 급마무로하면 지나가다 보면 댓글 달아보겠습니다.

그냥 어여쁜 개인 의견으로 봐주세요.
25/05/27 12:34
수정 아이콘
평당 1200만원 이하라면 구매를 추천 드립니다.
엄청 대단위 아파트 혹은 세금 들어가는 LH가 아니면 평당 건축비가 1200만원이 넘는다고 하네요.
시드라
25/05/27 12:53
수정 아이콘
금리가 내려간다 -> 부동산 가격 상승에 호재

미분양이 많다 -> 부동산 가격 상승에 악재
25/05/27 12:53
수정 아이콘
건축비와 분양가는 올라가는데.. 금리는 떨어지는 시기라 부동산 구축 시장에는 유리한 상황이 도래하고 있지 않을까요? 이전 민주당정부에서 부동산으로 너무 고생해서 이번에 민주당정부가 들어선다면 엄첨 조심스럽게 접근할 듯해요. 정책은 아마 적극적이지 않고 시장에 흐름을 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거주시라면 입지 좋은데 적당한 가격, 감당가능한 대출(이자)가 매매의 좋은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도 정확한 저점/고점 못맞춰요.
25/05/27 12:5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유의미하게 변동이 생길거라고 봅니다.

국힘때 사고 민주당때 팔아라!
나이스후니
25/05/27 13:04
수정 아이콘
오르긴 할건데, 20년전후 폭등과 폭락을 직접보고 경험한 사람들이 많아서 확실한곳 위주로만 오를 것 같습니다
2024헌나8
25/05/27 13:07
수정 아이콘
부동산을 사야될지, 그리고 어디를 사야될지는 잘 모르겠는데
원화 내지는 원화에 연동되는 형태의 자산으로 쥐고있으면 큰 손해 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10년 이상 살수있는곳으로 들어가는게 최선같긴한데... 그게 쉽진 않죠 크크크
25/05/27 13:58
수정 아이콘
7월에 뭐 변경되는거 있지 않던가요? 그렇게 변경안될거 같습니다.
25/05/27 14:01
수정 아이콘
기존 부동산 시장 오르고 내릴 때 전문가들 전부 틀리더군요.. 그러나 공사비의 압박으로 분양가가 오른다는 것은 모두 동의하는 바가 아닐까 합니다.
짭뇨띠
25/05/27 16:34
수정 아이콘
이미 너무 폭등해놔서 특수지역 말고는 오름세가 인플레 정도인듯합니다.
해괴한 정책 내놓는거 아니면 괜찮은데 정책드라이브 걸면 무식하게 한번 더 오른다 입장입니다.
코리엠
25/05/27 17:03
수정 아이콘
일산, 파주는 사실 차례가 빠르지 않을 꺼라고 봅니다.
25/05/27 19:53
수정 아이콘
대출 제한이 7월부터 들어갈거 같은데, 그거 고려해서 구매하시지요. 저 타이밍을 맞출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25/05/27 20:52
수정 아이콘
이미 마포 같은 동네는 1월 대비 호가가 3억은 올랐습니다
서지훈'카리스
25/05/28 04:44
수정 아이콘
돈 풀고 공급 줄이면 오르죠
25/05/28 14:23
수정 아이콘
향후 5년 보면 민주당 정권이라 오를 확률이 매우 높죠. 
민주당이 집권할텐데 집값 오르는거에 발작버튼 눌려서 이상한 규재책 잔뜩해서 단시적으로 누르다 부작용 나면서 결국 폭등하지 않을까 합니다. 다만 일산 파주 같은덴 차례가 매우 늦게 오니까 조심히 사시는게..
이부키
25/05/28 15:02
수정 아이콘
서울도 애매한데 일산 파주시면 예측이 더 어렵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754 [삭제예정] 44살 모쏠동정입니다... 추가(답변은 꼭! 쪽지로 부탁드립니다) [17] 삭제됨5468 25/06/02 5468
180753 [질문] 운영자 그만두신 분들 레벨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2] 안경3523 25/06/02 3523
180752 [질문] 사용후 핵연료를 꼭 고준위방폐장에 보관해야 하나요? [15] VictoryFood3060 25/06/02 3060
180751 [질문] 요즘 수면 장애가 너무 심해졌는데, 괜찮은 방법 아시는 분 계실까요??ㅠㅠ [22] 원스2753 25/06/02 2753
180750 [질문] 에어컨 이전 설치 일반 업체 해보신 분 계실까요? [2] lefteye2027 25/06/01 2027
180749 [질문] 안녕하세요 내일 마감인 종소세 환급 관련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4] 독각1734 25/06/01 1734
180748 [질문] 새벽 3시 30분에 택시를 부를 수 있을 까요 [11] 요키와 파피용2545 25/06/01 2545
180747 [질문] 독일 출장관련 esim, 컵라면 질문 드립니다. [4] 상어이빨2601 25/06/01 2601
180745 [질문] 눈썹에 세로로 약 0.7cm 상처가 났습니다 [9] Scour5600 25/06/01 5600
180744 [질문] 네이버페이 현금으로 취급되나요 체크카드 취급인가요 [2] 김삼관3603 25/06/01 3603
180743 [질문] [서브컬쳐] 이런 노래는 장르가 뭔가요? [8] 깃털달린뱀3773 25/06/01 3773
180742 [질문] 심장쪽이 아프면 어느병원을 가야하나요..? [13] 까만고양이4258 25/05/31 4258
180741 [질문] 차량 선택 관련 질문(SUV) [6] 모스티마4342 25/05/31 4342
180740 [질문] 마그네슘 보충제 먹으면 메스껍고 그럴 수 있나요? [8] wersdfhr3276 25/05/31 3276
180739 [질문] 아이디 도용 [2] 오하이오3117 25/05/31 3117
180738 [질문] 제습기로 이미 벽지에 있는 곰팡이 죽일 수 있을까요? [13] 교대가즈아3584 25/05/31 3584
180737 [질문] 당분간 기름진 음식을 피해보라는 선고가 내려왔는데요 [22] Cand4047 25/05/31 4047
180736 [삭제예정] 동생 자취방이 침수가 되었습니다. 보상관련해서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1] 삭제됨2642 25/05/31 2642
180735 [질문] 요즘 인천공항 몇 시간 전 쯤 가야하나요? [11] 레이오네4097 25/05/30 4097
180734 [질문] 윈도우 11 유저인데 크롬이 가끔 간헐적으로 멈춥니다 [6] 슬래쉬3172 25/05/30 3172
180733 [질문] 마스크팩이나 비비크림이 실제로 피부에 도움이 되는지요...? [9] nexon3149 25/05/30 3149
180732 [질문] 프랑스 파리 선물 추천 [2] 루체른2826 25/05/30 2826
180731 [질문] 요리하는 돌아이 식당 2인 오늘 방문하실분 계신가요? [5] 삭제됨3966 25/05/30 39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