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5/14 08:28:06
Name 개가좋아요
Subject [질문] 곰팡이등 균류가 진짜 치료가 힘든가요? (수정됨)
뒤늦게 라스트오브어스 드라마 보고있는데 거기 과학자들은 균류가 잘못변이 하면 약도 없고 답도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더라구요. 무좀생각하면 치료가 어렵긴해도 그정도 인가 싶은데.. 이게 어느정도  과학적인 이야기인가요? 아님 극적인 재미를 위한 허구가 많이 섞인건가요?  너무 무서워요 ㅜㅜ
추가-제대로 설명이 안된거 같아서 내용추가하면
드라마에서 먼저 인류의 멸망위협 어쩌구 과학자들이 이야기 하다가 어떤 과학자가 다른것 보다 균류가 온도변화만 극복하면 가장 위험하다는 식으로 이야기 하구요, 두번째 어떤 아시아의 균류 과학자가 곰팡이 변이가 사람에 퍼진거 보자마자 약도 없고 백신도 없다 지금 당장 도시자체를 폭격해서(자기들 포함) 다 난려야 한다고 이야기 하더라구요.
드라마상에서는 바이러스,세균 같인것 보다 압도적으로 균류가 위험하다는 식으로 표현했어요. 이게 과학적 사실인지 알고 싶어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생잘모르겠
25/05/14 08:41
수정 아이콘
무좀, 저도 한 20년 고생했었는데, 요즘 약은 그냥 한 3번 먹었나? 3번 먹고 한 3번 발랏나? 싹 없어지더라구요. 무좀 관련해서도 치료약이 여러종류라서 그에 맞는게 중요하니깐, 꼭 병원가서 맞는약 처방 받아서 사용하시면 나을겁니다.
슬래쉬
25/05/14 08:49
수정 아이콘
글을 안읽으셨군요... 흐흐흐
개가좋아요
25/05/14 09:11
수정 아이콘
저는 무좀은 없는뎅 아빠가 고생하시더라구요 혹시 무슨 약을 받으셨나용?
인생잘모르겠
25/05/14 09:36
수정 아이콘
그게 무좀마다 약이 달라서 병원을 가서 처방 받는게 중요해요, 나한테 맞는 무좀약이 다른사람한테도 맞는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창피해 하지말고 병원을 꼭 가보시라고 하세요.
유포늄
25/05/15 15:51
수정 아이콘
식구가 무좀이시라면 양말 분리, 슬리퍼 분리, 발수건 분리
추천드립니다. 꼭이요!!
다부짐
25/05/14 08:53
수정 아이콘
진균이 다른 감염원인에 비해 치료 난이도가 높음 (사실) + 극적인 재미를 위해 MSG 들이부음
쵸젠뇽밍
25/05/14 09:24
수정 아이콘
'잘못 변이하면'
잘 못 변이했는데 곧바로 약이 있고 답이 있으면 잘 못 변이한 게 아니죠. 그냥 변이한 거지.
개가좋아요
25/05/14 09:28
수정 아이콘
아 제가 표현을 잘 못했는데 다른것들 바이러스나 세균같은것도 잘못 변이할수 있는데 곰팡이나 균류의 경우가 훨씬 타격이 크다-거의 해결책이 없다는 식으로 나오더라구요~~ 그게 맞는지에 대한 물음입니다~
쵸젠뇽밍
25/05/14 09:59
수정 아이콘
약도 답도 없다는 건 불치병이라는 건데, 바이러스가 불치병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덩치가 커질 수록 상대할 때 더 강한 힘을 써야하고, 힘을 강하게 쓰면 전장인 사람의 몸도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으니 난이도가 더 높기는 합니다만, 불치병에 걸릴까봐 과하게 무서워할 건 아니죠. 드라마적 과장이라 봅니다.
올리브카레
25/05/14 09:57
수정 아이콘
인간은 곰팡이류에 대해서 면역체계가 강해서
애초에 곰팡이류에 의한 감염증이 많지는 않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AIDS와 같은 면역저하자에게 감염이 일어날 경우에 치료가 어려운 걸로 알고 있는데
곰팡이 자체가 죽이기 어려워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감염 자체가 잘 안되니까 이에 대한 치료가 잘 발달이 안된건지는 모르겠습니다.
비말 등 분비물로 감염되는 세균, 바이러스에 비해 포자로 퍼지는 특징을 가진 곰팡이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우회할 방법을 찾아서 빠르게 확산된다면 큰 문제가 될 수 있겠네요.
김유라
25/05/14 10:00
수정 아이콘
실제로는 전염성이 약해서 라오어 같은 꼴 나기는 힘듭니다.
그리고 치료는 어디까지나 항생제 한 방으로 컷 가능한 세균 대비 어려운거지, 바이러스에 비하면 매우 쉬운 편이라...
2024헌나8
25/05/14 10:14
수정 아이콘
무슨병원체든간에 라오어처럼 몸에 뭐가 피어오를정도로 감염되면 약물치료가 힘들죠 크크크
flowater
25/05/14 10:27
수정 아이콘
무좀만 해도 이약쓰고 저약쓰고 해봐도 나은 듯 싶다가도 재발 해서 완치가 쉽지 않은데. 설정 상이겠지만 변이가 돼서 기존 항진균제는 효과가 하나도 없어서 신약이 필요한데 라오어 세계관이면 이미 인류 멸망수준일거라 신약 개발해 내는것도 거의 불가능 하지 싶네요
25/05/14 10:30
수정 아이콘
제가 흔히 말하는 슈퍼박테리아. 그중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가 상처에서 발견되어서 2달째 고생중입니다.
테이코플라닌이라는 항생제를 정맥주사로 3주간 매일 맞았고 지금은 리팜핀과 레보카신 먹는약을 2주째먹고있습니다. 검색해보면 주사와 먹는약 모두 아주 강력한 항생제들입니다.
상처는 지름3cm정도를 절제했고 오픈된 상태였는데 해당 균의 영향으로 메일 소독 드레싱을해도 고름 진물이 나왔고 처음 2주정도는 1도 아물지 않았습니다. 주사치료로 균이 어느정도 잡힌후에야 조금씩 아물기시작했고 주사치료를 끝내는 시점부터 하루가 다르게 아물고있습니다.
초기에 혈액 염증수치(CRP)가 13까지 상승했고 그 영향으로 당조절에도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당조절이 안되니 그것도 상처 회복에 영향을 준다고 하더군요.
바둑아위험해
25/05/14 10:57
수정 아이콘
저는 어루러기라는 피부병이 있는데요. 곰팡이류 피부병입니다.
20살 때 바닷가 바로 옆 대학 기숙사(에어컨 없음) 이사오고 하루 종일 땀에 절어있던 여름날 처음 발병했는데 ㅡㅡ
약을 주기적으로 바르면 가을, 겨울철 쯤 잡혔다가 다음 초여름에 또 스믈스믈 올라옵니다.
이렇게 15년째네요..

진짜 지긋지긋합니다.
25/05/26 14:13
수정 아이콘
저도 어릴때 대중목용탕 다니면서 생겼는데 아직도 여름되면 옆구리나 겨드랑이처럼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한두개씩 생겨요.
약국에서 니조랄 샴푸 사다가 샤워할때 바디워시처럼 거품내서 바르고 3~4분 지나서 헹구면 항진균연고보다 사용하기 편합니다.
몽키매직
25/05/15 17:05
수정 아이콘
곰팡이류는 그래도 치료가 되는 편입니다. 애초에 잘 걸리지도 않고요.
감염 중에서는 마이코박테리움 계열 (Mycobacterium) 연부조직감염이 치료가 어려운게 많죠.
결핵도 마이코박테리움 계열인데 폐결핵도 6개월, 경우에 따라 12개월까지 약 복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비결핵 항산균들의 연부조직감염이 치료 안되고 몇 년 이상 끄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끔 관절 주사 맞고 걸려서 관절이 완전 아작나고 사용불능이 되는 경우도 있고... 걸리면 꽤 골치 아픕니다.
나병도 이쪽 계열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693 [질문] 서바이벌류를 좋아하는데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21] 짭뇨띠3748 25/05/27 3748
180692 [질문] 스연게의 고대 입실렌티 게시글이 안열려요 [3] 싸우지마세요3396 25/05/26 3396
180691 [질문] 현황도 발급 프린트 질문이요 [4] 레드드레곤~4291 25/05/26 4291
180690 [질문] 진동하는 빗의 효과성이 궁금합니다 [8] 다크드래곤4585 25/05/26 4585
180689 [질문] LTE유심 들어가는 가성비 태블릿 추천부탁드립니다. [8] 요하네스버그5995 25/05/26 5995
180688 [질문] 노트북 비교부탁드립니다. [3] 보급보급4488 25/05/26 4488
180687 [질문] 플립5 맥세이프 케이스 + 차량용 거치대 [3] 기무라탈리야4359 25/05/26 4359
180686 [질문] 왜 서구권은 한국에 비해 연예인들이 유튜버하는 경우가 잘 없을까요? [16] 독서상품권4508 25/05/26 4508
180685 [질문] 집 매매하고 인테리어 후 이사할 때 잔금 질문입니다 [12] immune3366 25/05/26 3366
180684 [질문] 아이폰 용량 잘못 구매 시 질문입니다. [8] 강해린2486 25/05/26 2486
180683 [질문] 프로젝터 쓰시는 분 있나요 [6] 적막1986 25/05/26 1986
180682 [질문] 싱글몰트 위스키나 와인 등은 어디서 사나요? [14] 기술적트레이더3619 25/05/25 3619
180681 [삭제예정] 와이프와의 다툼이 있었는데 한번 봐주실 수 있나요? [54] 유러피언드림5808 25/05/25 5808
180680 [질문] 아이폰으로 네이버 기사가 제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4] 도도갓5960 25/05/25 5960
180679 [질문] 모니터용으로 쓸 TV를 구매할 예정인데요 [1] 쿨럭3487 25/05/25 3487
180678 [질문] 미니건조기 쓰시는분들 후기가 궁금합니다 [5] 저스디스5070 25/05/25 5070
180677 [질문] 국내 장기숙소 [7] K-14517 25/05/25 4517
180676 [삭제예정] 먼 친척의 결혼식 가시나요? [5] 삭제됨4104 25/05/25 4104
180675 [질문] 머리카락의 윤기를 유지하고 두발 건강에도 도움되는 제품이 있는지요...? [15] nexon3845 25/05/24 3845
180674 [질문] 전기 관련 질문입니다. 차단기 스위치가 떨어졌는데요...... [3] 카페알파4958 25/05/24 4958
180673 [질문] 컴퓨터 부품 성능을 알아보기 좋은 사이트를 찾습니다. [4] 어제내린비5223 25/05/23 5223
180672 [질문] 이 고추장 제품 아시는분? [3] 틀림과 다름5004 25/05/23 5004
180671 [질문] 데블스 플랜 1. 봐도 될까요? [31] 서낙도5862 25/05/23 58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