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3/20 21:02:36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20대 초반에 고혈압 오는 케이스도 은근 흔한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UCCI n PRADA
25/03/20 21:10
수정 아이콘
본태성 고혈압은 성별 바꿔가며 내려옵니다 (저의 경우 외할아버지-어머니-저까지)
저는 초장부터 170 꽂고 약 먹기 시작했는데, 130 정도는 약까진 필요없지 싶네요
추울 땐 혈압이 더 높게 나오기도 하고..

다만 앞으로 어지럼증이 오거나(특히 누웠다 일어났을 때) 심박이 빨리 뛰거나
여하간 몸이 이상하다 싶으면 바로 병원을 가십시요
옥동이
25/03/21 08:12
수정 아이콘
어지러움은 저혈압 증상 아닌가요? 제가 혈압약을 먹고있는데 가끔 어지러운게 높아서 그런걸까요? 지나가다가 제증상이 보여서 여쭤보고 갑니다
카페알파
25/03/21 11:00
수정 아이콘
무조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 어지러운 경우는 저혈압이 되었을 경우고, 고혈압으로는 두통이 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슬래쉬
25/03/20 21:21
수정 아이콘
20대 초반에 고혈압 오는 케이스도 은근 흔한가요..? --> 네
130/79 는 고혈압으로 보긴 좀 그런데요...
그냥 생각날때마다 한번씩 측정해보세요
혈압은 다양한 원인으로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3/20 21:21
수정 아이콘
뭐 사실 지속적으로 혈압재서 일시적인건지...계속 그러는지 봐야죠...
덴드로븀
25/03/20 22: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amc.seoul.kr/asan/depts/heart/K/bbsDetail.do?menuId=4634&contentId=271496
[2023.10] 젊은 고혈압이 증가하는 이유, 위험한 이유 -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20~30대 고혈압 환자>
2017년 19만 5767명,
2019년 23만 1692명,
2021년 25만 2938명으로 증가
4년 새 29.2%가 증가했으며 특히 [20대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44.4%나 증가]했습니다.
젊다는 이유로 건강검진을 소홀히 하여 발병 여부를 놓치기 쉽고 치료를 방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혈압 유병자 중 혈압을 [140/90mmHg 미만]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있는 비율은 절반(47.4%) 밖에 되지 않습니다.

유병 기간이 길어질수록 고혈압 합병증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급성 증상은 없어도 혈관이 혈압이라는 공격을 받는 상태로 오래 지속되고, 이는 혈관이 연결된 모든 장기에 손상이 쌓이므로
[젊은 고혈압은 나이 들어 생기는 고혈압보다 나중에 심뇌혈관질환, 신장질환, 관상동맥질환 등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부대 혈압계가 정상인가? (.....)
2. 일시적인건가 지속적인건가?
3. 최근에 몸이 안좋거나 생활리듬의 변화가 있었는가?
등등

고려해봐야할게 많긴 하죠. 1주일정도 식단조절하고 운동 더 하고 스트레스 덜 받게 한 상태에서 이야기하고 다시 혈압 측정해보세요.
여유있으면 매일 동일한 시간에 계속 측정해보는것도 방법입니다. 그리고 아래처럼 고혈압 기준 수치를 많이 넘는게 아닌걸로 보입니다.

<고혈압 기준> : 140 이상 / 90 이상
1기 고혈압 : 140~160 / 90~100
2기 고혈압 : 160 이상 / 100 이상

2~30대 정상 기준 : 110~120 / 70~80
우스타
25/03/20 23: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평소 지병 없고 멀쩡하면 어쩌다가 수축기 130 한 번 찍혔다고 심각하게 보지 않습니다.

2. 어지간히 높아도 (진짜 말 그대로 수축기 140mmHg 이상 and/or 이완기 90mmHg 이상을 말합니다.) 가정 혈압은 꼭 재보는 게 맞습니다. 백의고혈압도 있어서...

3. 저는 16살 때부터인가 고혈압 약 먹고 있습니다. (본태성. 가족력. 지금보다 더한 멸치.)
25/03/20 23:12
수정 아이콘
혹시 비만에 운동부족에 식습관 나쁘시면 좋은 계기라 생각하고 개선해보시지요. 아니시면 짜게 먹지 않는 게 좋다는 정도만 가볍게 신경쓰셔도 될 듯 싶습니다.
25/03/20 23:59
수정 아이콘
살빼면 내려가더라구요
No.99 AaronJudge
25/03/21 00:1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윤지호
25/03/21 10:00
수정 아이콘
예전에 대학생때 군대 갓 제대한 선배가 고혈압 유전이라 막 160~170 이러고 맨날 약달고 살고 그랬어요. 유전으로 내려온거면 나이와는 상관 없는거 같습니다.
25/03/21 12:23
수정 아이콘
요즘 워낙 영양과잉 시대라 선천적인 부분이 약간만 겹치면 바로 20대부터 고혈압 오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62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558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0881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3843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5673
180371 [질문] 아치깔창 써보신 러너분들 있으신가요 [4] 노래하는몽상가862 25/04/18 862
180370 [질문] 포지션 제안 받았을 시 자기소개서 [2] Mini Maggit1265 25/04/18 1265
180369 [질문] 낼 성심당에서 케잌 현장구매 가능할까요? [9] 월터화이트1419 25/04/18 1419
180368 [질문] 신차 인수거부하는게 맞겠죠? [14] 본좌2457 25/04/18 2457
180367 [질문] 자동차 명의변경 관련 질문 있습니다 [3] 흩어져버린기억1369 25/04/18 1369
180366 [질문] [LOL] 옛날 결승전 슬로우모션 사건 [6] 리니시아2337 25/04/17 2337
180365 [질문] 카카오톡에 뜨는 이 광고 믿을만한 것일까요...? [6] nexon2635 25/04/17 2635
180364 [질문] 운동화 안에 계속 생기는 이게 도대체 뭘까요? [2] 귀여운호랑이2943 25/04/17 2943
180363 [질문] 1주택 갈아타기 할때 부동산 한 곳에서 하는게 좋을까요? [11] 해운대살아요2643 25/04/17 2643
180362 [질문] (PC) 저소음 케이스 팬 질문 있습니다 [4] 콩돌이1693 25/04/17 1693
180361 [질문] 창문형 에어컨 쓰시는분계실까요? [22] 이재인1431 25/04/17 1431
180360 [질문] 노트북 파일 복사 오류? [1] 맥주귀신954 25/04/17 954
180359 [질문] 이번 주말 충주에 벚꽃 남아있을 곳이 있을까요?? [4] 원스2423 25/04/17 2423
180357 [질문] 카페 알바한테 이런 요청을 받았는데요. [36] 향기나는사람5571 25/04/16 5571
180356 [질문] 폰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3] 1차전탈락 ;;2493 25/04/16 2493
180355 [질문] 중국의 주식은 뭘까요? [1] 개가좋아요2825 25/04/16 2825
180354 [질문] 유투브 백그라운드 화면이 안 나와요 [4] 농심너구리2225 25/04/16 2225
180353 [질문] 토스 vs 손텍스 환급금 차이 [21] 공염불2058 25/04/16 20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