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3/19 19:07:07
Name 독서상품권
Subject [질문] 한국도 십수년 안에 지금 일본보다 세금을 더 많이 걷지 않을까요? (수정됨)
지금 당장에야 한국 서민들이 일본 서민들에 비하면 월세, 전기세, 기타 공과금 등 세금은 진짜 적게 내는 수준이던데

이것도 십수년 안에 지금 일본보다 세금을 더 많이 걷게 되면서 다 옛말이 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자료를 보니 그 일본도 불과 30여년전 거품경제 시절만 해도 서민들이 지금처럼 세금을 많이 내진 않았다고 하던데요

한일 양국의 인구구조 추세면 한국은 지금 일본보다 더 가혹하게 세금을 걷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던데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한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깃털달린뱀
25/03/19 19:20
수정 아이콘
비용 폭탄이 터질 거란 건 자명한 사실인데 그걸 세금을 더 걷어서 메꿀지 민영화나 비용 '정상화'를 통해 이뤄낼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삼관
25/03/19 19:28
수정 아이콘
연금개혁한 것과 비슷하게 흘러갈 거 같아요. 그래서 니들이 어쩔건데 나갈거야? 나갈 수 있어? ..크크..
독서상품권
25/03/19 19:30
수정 아이콘
그건 그냥 당장의 세금은 안늘리고 대신에 미래세대들한테 무한 폭탄돌리기 하겠다는 소리인데요
25/03/19 19:40
수정 아이콘
누구나 예상하듯이 이대로 흘러가면 말씀하신것 처럼 되겠죠
하지만 삶이란게 항상 예기치못한 이벤트가 발생하더라구요
부디 좋은 이벤트이길 바라네요...
미네랄은행
25/03/19 19:49
수정 아이콘
머지않아 안락사 우호 분위기 형성 -> 일정 나이 이상에 대한 자율적인 안락사 허용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은 인구구조가 답이 없습니다.
근데 노인층에 대한 연금, 복지를 줄이는 정책을 낼수는 없을테니, 혜택보는 층을 줄이는 수 밖에 없을테죠.
뭐, 입법 이유야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하겠지만요.
25/03/19 19:51
수정 아이콘
세금을 더 걷어가는건 경제 여력이 있다는거니 그나마 좋은 소식에 가깝다고 보네요. 더 끔찍한 시나리오도 많고, 의외로 낙관적으로 해결될 수도 있구요.
25/03/19 20:03
수정 아이콘
이미 폭탄돌리기가... 70년대상 후반대~90년대상 초반대는 정말 지옥같은 미래가 남아있지 않나 싶기도 하네요..
25/03/19 20:31
수정 아이콘
현재 출산율과 인구구조는 현 인구수 메이저 세대가 암묵적으로 동의한 미래세대 수탈하기로도 감당이 안될 수준이라(소득 100 중 150을 착취할 수가 없는데?) 어떻게 흘러갈지 궁금하긴 하네요. 독일 모델도 가능하지 않다보고 효율과 최적화에 익숙한 만큼 어느 임계를 넘으면 자발적 안락사의 전폭적 도입같은 방식이 나타나지 않을까 합니다. 같은 세대도 전체 중 30 치우면 나머지 70은 지금 수준으로 그럭저럭 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 가장 약한 계층을 쳐내는데 동의하리라 봅니다.
지금 의료 흘러가는 것 처럼요
앙겔루스 노부스
25/03/19 20: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단순한 계산을 하나 해 보자면, 고령화가 극심해져서 전 인구의 40%인 2천만명이 월80만(현재 저는 가입기간부족때문에, 수령개시시점에 현재물가로 40만원을 받게 됩니다) 연간 1천만원의 국민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1년에 총지급하는 연금액은 200조원입니다. 여기에, 2023년도 연금보험징수액이 60조원인데, 2천만명이 수급자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2050년 무렵에는 경제활동인구감소, 소득-자산증가를 더하고 빼면 비슷한 액수를 징수할 가능성이 있으니 차감은 해야죠. 물론 어마어마한 액수입니다만, 2024년 한국 GDP가 2400조원이란 점을 감안하면 그렇게 연금만으로 나라가 결딴나고 그렇게까지 되진 않습니다. 물론 건보료 지출이나 각종 사회기반비용의 증가도 다 감안해야 겠습니다만, 저는 작금의 미래에 대한 공포부채질이 좀 과장이 심하다고 봅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25/03/20 15:33
수정 아이콘
저는 전문가는 아니지만.. 월 80만원은 너무 작게 잡으신것같고.. 거기에 국민연금말고 기초노령연금 같은것도 있어서.. 지금 계산하신거보다는 훨씬 많을 것같긴한데요.. 전 지금 출산율이 회복세를 보이지 않는채로 10년가면.. 정말 헬조선 확정될거라고 봅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5/03/20 17:37
수정 아이콘
작년 총수령인원이 700만명에, 총지급액이 30조원인지라, 1인당 월 40만원이 안됩니다. 25년뒤에 그 두배가 될 거라고 추정하는게 아주 근거없다고 보진 않네요. 기초노령연금은 일단 국민연금 문제에서는 논외이니 빼긴 했습니다. 그 조차도 지금처럼 월 20만원 연 240만원씩 2천만명(사실 하위 70%만 지급이니 30%는 빼야하지만)에게 지급한다면 50조원정도로 역시 큰 돈이나, 결정적 파국을 유발할 규모라고 하긴 힘듭니다.
성야무인
25/03/19 21:48
수정 아이콘
아마도 30년동안 피크로 올라가다가

인구 감소 때문에 줄어들겁니다.
25/03/20 10:21
수정 아이콘
당장 건보만 해도 작년에 적자가 십조원대라고 들었습니다. 쌓여져 있는거랑 정부 지원금이 있어서 전체재정이 적자전환안한거구요.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초고령층에 대한 의료 수요를 확 줄이는 쪽으로 갈 것 같습니다. 걷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닌 것 같아요.
반쯤 의료 민영화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국민연금처럼 엄청난 재정이 쌓여있는것도 아니라서요.
25/03/20 10:24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언론이나 인터넷에서 호들갑 떠는거는 것과는 반대로 사회나 정치쪽에서 초고령화에 대한 준비가 너무 부족한 것 같긴 합니다.
지구 최후의 밤
25/03/20 10:24
수정 아이콘
가장 쉬운 방법은 노인 비율을 맞추기 위해 노인 연령을 끌어올리는 거겠죠.
지금 40대 이하는 나이가 먹는 만큼 노인 연령이 올라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설탕물
25/03/20 21:27
수정 아이콘
지하철도 적자고.. 이런거 어떻게든 바꾸긴 해야죠. 뭐 생각할것도 없이, 지금 추세대로라면 미래에는 폭탄이란 말도 부족할 정도로 젊은 세대가 짊어질 짐이 클겁니다. 그래도 괜찮다고 보는 쪽은, 아마도 그 사이에 기술발전 등 뭔가 바뀌어서 어떻게든 될거라고 하는거 같고요. 실제로 어떻게 될지는 확실하게 알긴 어렵죠 특히 요즘처럼 기술발전이 튀는 시대에
내꿈은세계정복
25/03/21 11:21
수정 아이콘
재정 준비가 안 된 노인층에 대한 조용한 학살이 시작되겠죠.
10 ~ 20 년 안에 당뇨, 폐렴 등으로 길가에 널부러진 노인의 시체를 보는 건 이 나라에서 익숙한 일이 될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100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401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73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841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736
181126 [질문] PPT 특화되어있는 AI? 종류 추천 부탁드려요! [1] 요아정460 25/07/14 460
181125 [질문] 헬로우 애너하임! [1] 단지우유1057 25/07/13 1057
181124 [질문] 부모님이 쓰시기 좋은 튼튼한 유선 이어폰 추천 해주세요. 44년신혼2년1070 25/07/13 1070
181123 [질문] 8월에 일본 삿포로 여행을 3박 4일로 가는데요 [3] 아이폰15pro1422 25/07/13 1422
181122 [질문] 갤25 플러스, 단통법 폐지 전에 살까요, 폐지 후에 살까요? [1] 광개토태왕1580 25/07/13 1580
181121 [질문] 화면을 꺼도 작동하는 카메라앱 추천 부탁드립니다. 콩돌이1134 25/07/13 1134
181120 [질문] 핸드폰 교체 / 고가요금제 3개월 유지 조건 [6] Azure_781 25/07/13 781
181119 [질문] 폴드7, 사전예약이 좋을까요 단통법 철회 이후에 구매가 나을까요? [3] 시린비927 25/07/13 927
181118 [질문] 보르조이의 아오오니영상을 찾고 있습니다 [1] 카오루883 25/07/13 883
181117 [질문] LCK나 혹은 국제대회 도핑테스트는 어떻게 하나요? [2] 클레멘티아1069 25/07/13 1069
181116 [질문] XBOX PC 게임패스 다운로드 속도 문의(0x800704C6) sangbung2811 25/07/13 811
181115 [질문] 걸그룹 탑티어 보컬은 누가 있을까요? - 2000년생 이후 조건 [11] MoonWatch1706 25/07/13 1706
181114 [질문] 매장에서 사용할 핸드폰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고요1672 25/07/13 1672
181113 [질문] 5살 아이랑 겨울 여행 나트랑 vs 푸꾸옥 어디를 더 추천하시나요? [8] 기억의습작1653 25/07/12 1653
181112 [질문] 탈원전과 함께 에어컨 사용 금지법이 시행된다면? [11] 수지짜응2169 25/07/12 2169
181111 [질문] 요리 빡고수분 계신가요(김치질문) [6] 불대가리2875 25/07/12 2875
181110 [질문] 운전자 보험은 새로 드는 게 좋나요? [9] 빼사스3912 25/07/12 3912
181109 [질문] [POE1] 아틀라스 노드 관련 질문입니다! 일월마가2714 25/07/11 27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