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3 20:34:18
Name 깃털달린뱀
Subject [질문] 일반인이 투자에서 능력범위를 가져갈 수 있을까요?
https://pgr21.com/freedom/101154

약 1년 전에 이런 글을 써서 [답은 지수추종 ETF다]라고 결론내려놓고는 또 스멀스멀 개별주 뽐뿌가 오고 있습니다... 환율도 에센피도 너무 높아요...

수많은 가치투자의 구루가 말하기를 결국 자기 능력범위 안의 종목을 투자해야한다고 합니다. 저도 동감합니다. 증권가나 대중에게 알려지기 전에 우량함을 알려면, 혹은 업계 미래를 예측하려면 그쪽 업계 지식과 보는 눈이 있어야하니까요.

투자, 산업에 관심을 가질수록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테크, 제조 쪽은 뭔 짓을 해도 선제적으로 트렌드를 파악할 수가 없고 정보는 기사 나올 때 쯤에야 뒤늦게 알 수 있으며 미래는 제 능력으로 전혀 예측할 수 없다고요.

그래서 보통 능력범위를 직업적 전문성이나 취미 쪽에서 찾으시던데... 이쪽도 영 마땅찮네요. 직업은 투자 기회랑 영 거리가 먼 편이고, 패션이나 소비재에 관심 있는 것도 아니고... 관심있는 건 저가 전자제품 쪽인데 이쪽은 너무 마이너한데다 중국산 공급과잉이고... AI는 핵심은 기술적인데다가 죄다 비상장이고. 여러모로 답답합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역시 대부분은 직업적 전문성이려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슈퍼마린&노멀
25/02/03 20: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는 주도주를 보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고 봅니다.
보통 한번만 시세주면 많이 올랐네 내것이 아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그때부터 회사의 실적 성장이 시작되는 경우 상승의 초입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주식들에 대해 공부하고 회사분석력을 키워가는거죠
깃털달린뱀
25/02/03 21:02
수정 아이콘
그 보는 안목이 일반인 수준에선 키울 수 있는가 싶어서요. 이게 단순히 상승장의 초입일지 2차전지 꼴이 날지를 알려면 결국 그 업계를 잘 알아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주도주쯤 되면 슬슬 시장 참여자들도 관심 갖고 주시하기 시작하니 그 사람들을 이기고 알파를 먹을 수 있을까싶어요.
슈퍼마린&노멀
25/02/03 21: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경제에 관심가지고 공부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을 많이 쓰긴 해야합니다). 다만 대부분 뉴스보고 차트보면서 공부한다고 생각하는데 재무제표 공부부터 시작해서 기업들의 사업보고서 읽어보면서 어떤 사업을 하면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돈을 버는지 보시고, 유명한 주식 관련 서적들도 많이 읽어보셔야 하구요.
25/02/03 23: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인이 비슷한 거 물어봤을 때 저는 증권사 리포트 매일 읽으라고 권했습니다. (맨날 매수의견 주는 개별종목 말고 시황분석, 산업분석 부분 위주 + 각 증권사별 Top picks, 자사 운용 액티브펀드 구성종목 등)

약간 보수적이면서 관대한?! 미묘한 bias가 있는 걸 감안하더라도 시장에서 어디로 돈 냄새가 도는지 + 일반인 입장에서 산업과 그 수익구조 파악하기에는 충분히 길잡이가 되어주는 것 같습니다. 많이 읽다 보면 나름의 행간도 보이고요.
25/02/03 23:13
수정 아이콘
쓰신 글을 보니 증권가 리포트에 나올 정도면 이미 단물 다 빠진 거 아니냐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주식이란게 항상 선반영+불확실성의 조합이라서
쏟아지는 정보를 조합해서 알파를 만드는 건 본인의 직관과 감각(그리고 대부분 운)이 작용하는 영역 같습니다.
그걸 위한 기초 체력으로는 충분히 도움되지 싶습니다.
25/02/04 12:06
수정 아이콘
어차피 맞추고 못맞추고, 오르고 내리고는 아무도 모르는 영역같아요. 핵심 정보를 밀접하게 얻을 수 있는 극 소수의 사람이 아닌 이상에는요.

원칙을 끝까지 지키고, 포모를 이겨내는 강한 정신력이 일반인이 가질 수 있는 투자 능력같습니다.
로하스
25/02/04 12:12
수정 아이콘
저는 주식은 완전히 접고 코인만 한지 3년정도 됐는데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면서 정보 수집하다보니 능력범위가 늘어나는거 같아요.
디파이란걸 메인으로 하는데 이쪽은 계속 서칭하고 정보 업데이트하는게
수익으로 많이 연결이 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701 [질문] 이런 경우 돈을 얼마씩 나눠야할까요? [13] INTJ5386 25/02/12 5386
179700 [질문] 공유오피스 사업을 하려고 합니다. [6] 똥꼬쪼으기5108 25/02/12 5108
179699 [질문] 주식,투자관련)지표 중 어느 것을 우선순위로 생각하시나요? [4] 수금지화목토천해4014 25/02/12 4014
179698 [삭제예정] 어머님이 보이스피싱을 당했는데 휴대폰 좀비화? 이럴수가 있나요? [21] 승승장구4711 25/02/12 4711
179697 [질문] 첫차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10] 친절겸손미소4008 25/02/12 4008
179696 [질문] GD 콘서트 팬클럽 선예매 질문 [2] No Fear3746 25/02/12 3746
179695 [질문] 피지알러가 아닌 사람이 보는 피지알은 어떤 사이튼가요? [25] 윌슨 블레이드4624 25/02/12 4624
179694 [질문] NAS 입문하려고 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4] 고요3519 25/02/12 3519
179693 [질문] 영외마트(px) 신상 양주 추천 [7] 로켓6410 25/02/12 6410
179692 [질문] 태블릿PC 추천부탁드립니다. [7] 마사루.4027 25/02/12 4027
179691 [질문] 오사카 덴덴타운에 엘든링 굿즈 있을까요? [5] 부딪힘주의4088 25/02/12 4088
179690 [질문] 보험 관련 질문입니다. [6] 제노스브리드3648 25/02/12 3648
179689 [질문] 거실과 작은방에서 각각 와이파이 속도와 핑 지터 괜찮은지 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6] Succession4055 25/02/12 4055
179688 [삭제예정] (문제시) 5만원 내기인데 투표 부탁드립니다 [50] 마르틴 에덴5026 25/02/12 5026
179687 [질문] 매매하려는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합법여부 관련 질문 [9] Mrs. GREEN APPLE4197 25/02/12 4197
179686 [질문] 집에 누수가 되면서 컴이 맛이 갔어요... [7] 웃어른공격3734 25/02/12 3734
179685 [질문] 애플 매직 트랙패드 윈도우 사용 관련 [2] 파란토마토3491 25/02/12 3491
179684 [질문] 현 상황에서 제일 합리적으로 구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는 뭘까요? [11] 바밥밥바4060 25/02/12 4060
179683 [질문] 오래된 김치냉장고가 성능은 좋은데 하루에 2번정도씩 냉동센서가 깜빡거리며 경고음이 납니다 [2] Succession3449 25/02/12 3449
179682 [질문] 몸에서 수분 흡수를 잘 못하는 것 같습니다. [23] 회색사과4013 25/02/12 4013
179681 [질문] 유튜브 영상 캡쳐해서 올리는건 수작업인가요? [14] CoMbI COLa4007 25/02/12 4007
179680 [질문] 카페 음료 중 차tea는 왜 그리 비싼가요 [14] 새님5078 25/02/12 5078
179679 [질문] 식기세척기 세척관련 질문입니다 [8] 솜사탕흰둥이4649 25/02/12 46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