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1/22 17:03:46
Name sionatlasia
Subject [질문] ESG 분야 취업 고민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영부영 하다보니 30살 늦깍이 취업생이 되버렸습니다.
그나마 제가 학교다닐때 했던것중 제일 의미있는게 ESG중 거버넌스관련 리서치 인턴을 세계에서 제일 큰 회사에서 꽤 오랜시간 걸쳐서 했었거든요. 인턴 하면서도 인정도 조금은 받아 마지막 해에는 인턴 팀장도 하고 그랬는데 최종적으로 전환은 떨어졌습니다.
그래도 일도 너무 재밌었고 쭉 인턴해온 경험을 살리고 싶어 그쪽으로 진로를 잡고 구해보려 하는데, 나이 이전에 아예 ESG 분야는 신입은 거의 뽑지도 않고, 거기에서 거버넌스 관련직종은 진짜 거의 뽑지 않더군요.

이 직종으로 나아가려면 결국 G 말고 Environment나 Social을 할줄 알아야 할꺼같은데 지금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네요.
그나마 신입 뽑는 직종이 매우 소규모(10~20인이 채 안되는) 로컬 컨설팅 펌이던데, 이런데라도 들어가서 경력을 쌓고 이직을 노리는게 맞을지,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컨설팅쪽은 제가 아직 경험이 미천해서 해본적도 없거니와 워라밸이 박살이라는 말을 많이 듣긴 했는데, 초봉은 로컬 소규모다 보니 대부분 3천 후반만 되도 다행이라는 말이 많구요.

어떻게 진로설정을 해야할지 너무 고민인데 이쪽 분야는 아시는 분도 워낙 적다보니 혹시 PGR에 비슷한 업계 종사자 분이 계실까 싶어 여쭤봅니다. 워라벨이 안좋고 소규모 컨설팅이지만 결이 비슷하니 경력에 추가가 가능할만한 컨설팅펌으로 취업을 노리는게 맞을지, 아니면 포기하고 다른 분야로 알아보면서 소위 얘기하는 '첫단추'를 잘 꿰메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
대학은 해외에서 이름 들으면 알만한 곳에서 나오긴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1/22 19: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ESG 평가 쪽도 있습니다.
sionatlasia
25/01/22 22:52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ESG 평가쪽으로도 알아보고 있는데 마찬가지로 잘 안보여서요. 여러모로 헤메고 있는중입니다.
그래도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25/01/23 00:44
수정 아이콘
아래 언급된 신용평가사 중 한 곳 재직 중인데 저희 회사 신입 채용 공고 올라와 있습니다
sionatlasia
25/01/23 00:49
수정 아이콘
말씀주신 신용평가사에 안그래도 지원원서 진작에 넣은거 같습니다 크크크
25/01/22 21:42
수정 아이콘
로컬 컨설팅 펌에서 경력 쌓는거 나쁘지 않습니다.
The CSR, 마크스폰, 에코나인 같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ESG 관련 컨설팅 회사도 좋구요.
나이스평가, 디앤비, 이크레더블, 한국평가데이터 같은 신용평가사에서도 ESG 직군이 있습니다.

4대 컨설팅 펌에서는 당근 무경력자는 뽑지 않을거구요. (가끔 인턴채용이 뜨는건 보이긴 하던데)
대기업은 경력직 채용 or 내부 직무전환으로 충원하는 경우가 많아 신입은 힘들겁니다.

하니.. ESG 직종을 하겠다고 마음 먹으셨으면 작은 곳에서부터 스탭업 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sionatlasia
25/01/22 22:55
수정 아이콘
닉부터 찐이시군요.
그런 로컬 컨설팅 회사로 먼저 들어가 경력을 쌓은 후 점프하는게 맞나? 가 제 질문이였는데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게 얼마 안된 트렌드인데다가 제대로 된 정보가 별로 없어서.. 도움이 많이 됬습니다
25/01/23 05:55
수정 아이콘
실무자는 아니지만 주변에 보니 mbb같은 탑티어 컨설팅 펌보다는 허들이 낮은 빅4회계법인 컨설팅 비즈니스에 sustainability/esg부서가 꽤 활발해 보이더라고요. 이런 회사들도 한번 살펴보시길 권합니다. 그나저나 특히 e,s쪽이면 미국 따라가는 트렌드라면 트럼프 정권때는 좀 챌린지가 있을 수 있겠네요. anti-ESG 펀드 만드는 경우도 있던데..크크 그래도 애초에 우리나라는 아직 뒤쳐져있다 보니 수요는 계속 있을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380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6856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703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20337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2766
181966 [질문] 일본 사이제리야에서 파는 커피 [5] 이쥴레이400 25/10/22 400
181965 [질문] 엑셀 질문이 있는데요 [2] nekorean495 25/10/22 495
181964 [질문] 부동산 급매 질문입니다 [2] Faker535 25/10/22 535
181962 [질문] 1주택자 모아타운 후보지 빌라 매수 고민입니다. [6] 제로스916 25/10/22 916
181961 [질문] 뱀서류 모바일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아줌마너무좋아883 25/10/22 883
181960 [질문] 자동차 전체 랩핑 해보신 분 [6] drighk1093 25/10/22 1093
181959 [질문] 본문 링크의 xbox패드는 정품일까요? [2] 카오루876 25/10/22 876
181958 [질문] 차량 도장 불량일까요. [2] 8억빠2350 25/10/21 2350
181957 [질문] 부대찌개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른밸2378 25/10/21 2378
181956 [질문] slay the spire/balatoro 같은 모바일 유료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4] OcularImplants2444 25/10/21 2444
181955 [질문] 와이파이가 계속 끊기는건 공유기 문제일까요? [19] wersdfhr3091 25/10/21 3091
181954 [질문] 보충제 추천 부탁드려요 [7] 속보2686 25/10/21 2686
181953 [질문] 2025년 안에 한국은행에서 금리인상할 확률이 있지 않을까요? [26] 이게무슨소리2740 25/10/21 2740
181952 [질문] 서울 강남, 성동 지역 레이저제모 저렴한곳 Scour1389 25/10/21 1389
181951 [질문] 부의금 관련 질문입니다. [13] 중성화2869 25/10/20 2869
181950 [질문] 오타니 VS 리그 최고 투수 VS 리그 최고 타자 [37] 모나크모나크3113 25/10/20 3113
181949 [질문] 퇴근후 중간중간 할 갓겜 추천 부탁드립니다~! [29] 윈터2965 25/10/20 2965
181947 [질문] 건전지를 사용하는 기계식 키보드 마우스 셋트를 찾습니다 [10] 깐딩2450 25/10/20 24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