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30 00:17:08
Name VictoryFood
File #1 1.jpg (35.0 KB), Download : 1045
Subject [질문] 여객기에는 제동 낙하산을 쓰는게 불가능할까요?


[과학을읽다]항공기는 브레이크만으로 못 세운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19102216142792250)

며칠전에 유게에 항공모함에서 착륙하기 위해 와이어어 줄을 거는 게시물이 올라오기도 했었는데 안타까운 사고가 나니 갑자기 생각이 나네요.

여객기를 와이어 같은 거로 세우는 건 불가능할테고 사진과 같이 제동 낙하산으로 속도를 줄이는 것은 어려울까요?

사진은 가벼운 전투기라 수십배 무거운 여객기에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 같지만
그래도 낙하산을 여러개 달아놓고 한꺼번에 이용하면 속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해서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30 03:28
수정 아이콘
그 큰 비행기에 달 정도의 낙하산이면 크기나 무게때문에 문제되지않을까 싶네요 비용문제도 그렇고....
설사왕
24/12/30 05:00
수정 아이콘
찾아 보니까 미국의 경우에는 emas라는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오버런을 방지하기 위해 활주로 끝을 바닥이 꺼지기 쉬운 형태로 만들어 제동력을 극대화하는 방법 같네요.
민간 항공기는 워낙에 무거워서 낙하산같은 걸로는 좀 어렵지 않을까요?
슬래쉬
24/12/30 13:21
수정 아이콘
미국에는 emas 70여개 공항에 있고
일본은 2~3군데
우리나라는 0군데 라고 하네요
빛나는구름
24/12/30 06:11
수정 아이콘
B-52같은 전략폭격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에어브레이크와 스포일러가 작동하는 상황에서나 보조장치이지. 추락이나 동체착륙을 하는 상황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습니다.
산밑의왕
24/12/30 08:59
수정 아이콘
여객기를 세울 정도의 낙하산이면 무게가 톤단위일텐데 그러면 그게 다 돈이라 현실적으로 힘들죠...
시드라
24/12/30 09:12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shorts/4FSg6tcjhNQ

경제적으로도 물리적으로도 숙련으로도 불가능합니다
덴드로븀
24/12/30 10:35
수정 아이콘
F 붙는 전투기가 보통 10~20톤 정도의 무게를 가집니다.
이번 사고기인 B737-800 의 경우 동체 무게가 40톤, 최대이륙중량은 80톤정도입니다.

경량 여객기로 가벼우면서 사람은 많이 태울수있게 만든 평범한 여객기라
80톤까지 버틸수있는 엄청난 크기와 힘을 가진 낙하산을 내부에 들고있으려면 무게와 크기때문에 효율도 떨어지고
무엇보다 동체강성이 낙하산이 당기는 힘을 버티게끔 설계됐을리가 없으니 정상적으로 동작가능하다고 보기가 매우 어렵죠.
이른취침
24/12/30 16:32
수정 아이콘
그냥 공항에 오버런을 대비한 시설을 준비하는 것이 여러모로 효율적이죠.(비용, 범용성, 환경)
이번엔 둔덕이 콘크리트라 최악의 여건이었구요.
여유공간을 길게 둘 수 없는 여건이었다면 일반 사모래로 완만한 경사가 있었다면 어땠을까 싶긴 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268 [질문] 나쁜 일 혹은 좋은 일은 같이 오는 경향이 있다고 느끼시는지요..? [14] nexon4635 25/01/05 4635
179267 [질문] 미국 운전 난도가 어떻게 될까요(일반 SUV vs 대형SUV) [14] 른밸5227 25/01/05 5227
179266 [질문] PC 구입 이륙 허가 문의드립니다. [5] 하얀사신4650 25/01/05 4650
179265 [질문] 로보락 앱 질문 [2] 오늘은 좀 더3986 25/01/05 3986
179263 [질문] 자연어 기반 감정분석은 직접 배워서 할 수 있을까요? [10] 호비브라운3595 25/01/05 3595
179262 [질문] 롤 부계정 키우는 팁 있을까요 [3] 욱상이3784 25/01/05 3784
179261 [질문] 이번달 5박6일 오사카+교토 여행(추천장소+쇼핑) [6] EY3863 25/01/05 3863
179260 [질문] 롯데리아 메뉴 추천 [5] 정 주지 마!3740 25/01/05 3740
179259 [질문] 로봇청소기 어때요? [15] Grundia4633 25/01/05 4633
179258 [질문] 화장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월터화이트4696 25/01/05 4696
179257 [질문] 연금저축계좌와 IRP 실물이전 [5] 힐러쫒는둠피6039 25/01/04 6039
179256 [질문] (사진혐주의) 무릎뒤 핏줄이 아픈 느낌이 듭니다 [5] Nal_rA[UoS]5957 25/01/04 5957
179255 [질문] 인터넷 연결 전체를 토어처럼 할순 없나요? 수쥬4873 25/01/04 4873
179254 [질문] 환불 불가가 합법인가요? [13] 퀴즈노스6901 25/01/04 6901
179253 [질문] 공유기를 방에서 거실로 뺄 방법이 없을까요? [14] wook984702 25/01/04 4702
179252 [질문] 맞고, 고스톱에 실력 요소가 얼마나 작용할까요? [9] 골드쉽4346 25/01/04 4346
179251 [질문] 보통 사람들은 유통기한 (소비기한)에 대해 어느 정도 민감한지가 궁금합니다 [13] pnr234316 25/01/04 4316
179250 [질문] 워터파크 종일권 끊고 오후쯤 중간에 밖에 나갔다 오기 [3] 바보영구3883 25/01/04 3883
179249 [질문] 전세 거주 기간 질문입니다 [2] 정유미3684 25/01/04 3684
179248 [질문] 전세대출은 케이뱅크가 짱인가요? [1] 호비브라운4580 25/01/04 4580
179247 [질문] 접촉사고 후 처리과정 질문드립니다. [1] 검정치마3977 25/01/04 3977
179246 [질문] 모니터 받침대 어떤 제품이 괜찮은지요...? [13] nexon4891 25/01/04 4891
179245 [질문] 바지 입다보면 사타구니쪽이 자꾸 찢어지는데요. [11] Pika485754 25/01/04 57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