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1/18 13:39:19
Name 승뢰
Subject [질문] 빅토리아3 시장개방이 뭔가요?
빅토리아3 게임중에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외교전 옵션 중에 시장개방이라는 옵션이 있는데
이 옵션은 뭔가요?

이해관계가 되어 있으면 교역을 할수 있는데
굳이 시장개방을 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검색해도 잘 안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11/18 14:35
수정 아이콘
뭐 보통 역사배울때 보는 통상조약 뭐 이런류 아닐까요?
(제국주의 아새끼들이 협박질로 야 열어 하는 그런거...)
류지나
24/11/18 14:48
수정 아이콘
시장 개방은 무관세 협정을 뜻합니다. 주로 내가 상대보다 강대국일 경우 외교적 굴복을 시키는 옵션이지요. 내가 강대국이고 상대가 약소국이라면 시장 개방을 할 경우 자연스럽게 나에게 유리한 옵션입니다. 왜냐하면 서로 국력과 기술, 임금 격차가 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내 물건은 상대에게 비싸게 팔고, 상대 1차 산업 물건은 값싸게 수입 가능한 거니까요.

반대로 내가 약소국이고 상대가 강대국이면 불필요한 옵션이지요.
24/11/18 15:30
수정 아이콘
아하~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그런데 주정복 같이 결과가 직관적인 것보다는 뭔가 결과가 어떤지 알아보기가 어려운 옵션이네요 ㅜ
류지나
24/11/18 15:55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다만 이 게임 자체가 '세계 정복' 이 아니라 '최고 국력의 나라 만들기' 여서 전쟁으로 땅따먹는 이득보다 상대 시장을 개방시켜놓고 돈을 버는 쪽이 더 유리한 게임이기도 하니까요.
24/11/18 16:48
수정 아이콘
네네 저도 하다보면 결국 시장을 넓혀서 총생산을 높이는 경쟁 게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처음 댓글 보고서는
강대국이 약소국을 시장개방 시키면 약소국이 이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티어 (가구, 옷) / 고티어 (강철, 엔진) 모두 강대국이 임금도 높고 어렵게 기술개발 해놓은 걸 약소국이 가져다가 쓰기만 한다고 생각했는데
생산 방식 자체가 달라서 생산성은 강대국이 높을 수밖에 없겠군요...잘 알겠습니다
그런데 시장개방을 하면 시장개방을 실시한 1개국만 그 과실을 먹는건 아닌거죠? 다른 나라도 모두 이용가능한거죠?
Chrollo Lucilfer
24/11/19 11:52
수정 아이콘
틀릴수도 있지만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드리면

강대국이 약소국과 무역 하게되면, 강대국은 뛰어난 기술력으로 고급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양산할 수 있고 그걸 약소국에 팔면 약소국 시민들의 재산으로 강대국 공장과 노동자들의 배를 불리고 그 사람들이 강대국에 세금을 냅니다. 강대국의 GDP 성장도 이뤄지구요. (약소국도 상류층이 있고 그걸 국내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고급제품 수요는 항상 높습니다)

값싼 원자재들이 강대국으로 반출되면, 강대국은 고부가가치 산업발달로 더욱 부강 해지고 약소국의 산업은 원자재 기반 산업에 정체될 수 밖에 없습니다.

시장개방은 단독일 겁니다. 영국인 제가 고립주의 채택중인 조선을 개방 시키면 영국만 조선과 교역 가능.
24/11/19 15:5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잘 이해 했습니다. 결국 실생활 경제와 똑같군요....거기에 기술개발을 통해 생산성 자체가 높아지기 때문에 후진국은 이익을 얻기가 힘들겠네요. 잘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Chrollo Lucilfer
24/11/18 16:25
수정 아이콘
'고립주의' 같은 폐쇄형 무역 정책을 채택한 국가들이 있는데 이런 국가들은 법 개정 전에는 무역로 개설이 아예 안됩니다.
(대표적으로 게임 시작 시 조선)
이런 국가들한테 시장개방 외교전을 성공 시키면 무역을 할 수 있습니다.

또 통상금지라고 특정 국가랑 무역 안할거라는 외교 조치를 취할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시장 개방 외교전 성공 시키면 무역이 가능할 거에요
24/11/18 16:40
수정 아이콘
아 감사합니다. 매번 영국이 일본 시장개방 (매이지유신) 시키는데 그런 경우가 있겠군요
주로 유럽 열강 국가들 하다보니 잘 몰랐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Chrollo Lucilfer
24/11/18 16:42
수정 아이콘
옙! 저도 예전에 빅토리아 샀다가 게임이 너무 어려워서 한동안 방치 하다가 요즘 공부하면서 너무 재밌게 하고 있습니다 흐흐
승뢰님도 재밌게 즐기셨으면 좋겠네요!
24/11/18 16:4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한동안 안하다가 들어갔는데 내 시장내로 편입하는 관세협정이 없어져서 한참을 헤맷네요..흐흐
루시퍼님도 재밋게 즐기시기 바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8799 [질문] 상담사 통한 전세대출 vs 은행 직접 방문 [12] 라인하르트6460 24/11/27 6460
178798 [질문] 스마트폰 리모트 컨트롤(사진추가) [5] workbee4796 24/11/27 4796
178797 [질문] 워3 다이렉트 스트라이크 하시는분 계실까요? v.Serum4396 24/11/27 4396
178796 [질문] 골프 업계쪽 취업,직업,직종 장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7] 노래하는몽상가4924 24/11/27 4924
178795 [질문] 부산역에서 영도(한국해양대)를 아주 빠르게 가야합니다. [19] Photonics5348 24/11/27 5348
178794 [삭제예정] 한글 표에 삽입된 이미지를 수정하는 방법이 있나요? [3] 카드영수증3344 24/11/27 3344
178793 [질문] 사학재단은 의무 운영 기간이 있나요? 수지짜응3358 24/11/27 3358
178792 [질문] 동덕여대 엔딩 어떻게 될까요? [35] 기술적트레이더5474 24/11/27 5474
178791 [질문] 눈이나 비올때 신기 좋은 신발 혹은 운동화가 있을까요? [16] blessed5902 24/11/27 5902
178790 [질문] 갤럭시폰 주머니에 있으면 갑자기 이상한 소리가 납니다. [8] 인생잘모르겠4433 24/11/27 4433
178789 [질문] 전세자금대출 상환 관련 질문입니다. [3] Vulture4924 24/11/27 4924
178788 [질문] 창모 vs 멜로망스 누가 더 유명할까요? [43] 머나먼조상6311 24/11/27 6311
178787 [질문] 이번 월즈 페이커 유니폼을 사고싶은데, 페이커버전은 따로 없는 걸까요? [5] 무한의검제5055 24/11/27 5055
178786 [질문] 치과 레진과 보험이 되는 방식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4] 김삼관5637 24/11/26 5637
178785 [질문] 몬헌만의 재미가 무엇인가요? [14] amalur5267 24/11/26 5267
178784 [질문] 보통 일주일에 몇 번 외식(배달 포함)하시나요? [9] 기억의습작5497 24/11/26 5497
178783 [질문] 자동차 고속충전 질문드립니다. [5] 조따아파5278 24/11/26 5278
178782 [질문] 일본 KIX 간사이 공항 국제-국내선 환승 가능 여부 [10] 니플4227 24/11/26 4227
178781 [질문] 회사에서 여직원이 저를 '성희롱했다'고 소문을 퍼트리는 경우 [12] 아이폰15pro6366 24/11/26 6366
178780 [질문] '네~' 어떻게 읽으세요? [33] 로하스5183 24/11/26 5183
178779 [질문] 아침조깅 vs저녁조깅 [25] 평온한 냐옹이5217 24/11/26 5217
178778 [질문] 매일매일 발매되는 최신곡을 검색하려면 어디서 검색을 해야할까요? [2] 커피소년3781 24/11/26 3781
178777 [질문] 부산 괌 새벽 비행기 관련 질문입니다. [3] Xeri4169 24/11/26 41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