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1/16 12:04:01
Name nexon
Subject [질문] 계약갱신청구권 써도 3개월 전에만 통보하면 이사갈 수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기존에 살던 세입자가 만기에 계약갱신청구를 해서 갱신계약에 따라 2년 연장, 보증금 5%만 인상하고 살고 있는 중에

3개월 뒤에 이사가겠다고 통보하면 2년 연장 계약했어도 임대인은 3개월 뒤에 보증금 돌려줘야 하는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4/11/16 12:37
수정 아이콘
갱신청구권 사용시 묵시적 갱신에 준한다는 판결도 있고 아닌 판결도 있습니다.
결론은 아무도 몰루... 분쟁시 판사 만나기 나름입니다.
임대인 임차인 둘 다 리스크가 있어서 원만하게 합의하는 게 좋습니다.
24/11/16 20:08
수정 아이콘
드드드 감사합니다
This-Plus
24/11/16 13:54
수정 아이콘
세입자가 3개월 전에 이사 의사를 통보했다면, 임대인은 갱신계약의 2년 기한과 무관하게 통보일로부터 3개월 뒤 보증금을 반환해야 합니다. 다만, 세입자가 적법하게 통보하지 않았다면 보증금 반환 의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GPT답변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24/11/16 20: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드드드
행복한 날들
24/11/16 15:24
수정 아이콘
Q. 계약갱신 요구하면 무조건 2년 살아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게 계약해지를 통지할 수 있으며, 임대인이 통지받은 날부터 3개월 지나야 계약해지 할 수 있습니다.
※ 임차인은 계약해지를 통보하더라도 계약만료 전이라면 3개월간 임대료 납부해야함

예전에 정리해둔거인데 국토부인가에서 QnA 형식으로 배포한 자료입니다.
24/11/16 20:08
수정 아이콘
헐 감사합니다
오타니
24/11/16 15:41
수정 아이콘
3개월전에 통보했다면, 가능합니다.
현재법은 대부분 임차인을 보호하기 때문에 임대인에게 불리합니다.
24/11/16 20: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4/11/16 16:01
수정 아이콘
네.
24/11/16 20: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TWICE NC
24/11/16 16:07
수정 아이콘
재계약 이후부터는 임차인이 3개월 전에만 통보하면 계약 만료라고 들었어요
24/11/16 20: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드드드
AquaMarine
24/11/17 05:30
수정 아이콘
재계약 형태에 따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묵시적 갱신이면 계약서를 따로 작성하지 않았을 것이니 임차인은 3개월 후 계약 만료 가능합니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통해서 계약을 했을 때라도 '계약서를 다시 작성했다면' 임차인은 계약서대로 이행해야 한다는 최근 판례가 있습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임차인이 무조건 나갈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통해 임차인이 계약을 연장했을 때에는 계약서를 다시 작성하는 게 임대인인 유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임차인은 계약서를 안 쓰는 게 유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8776 [삭제예정] 건강검진 신청하려니 택3 하라네요. [15] 삭제됨4594 24/11/26 4594
178775 [질문] 들기름, 취기 발음 어떻게 해요? [53] 코왕6684 24/11/26 6684
178774 [질문] 건보료에서 주택제외가 뭔가요?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4959 24/11/26 4959
178773 [질문] TV용 사운드바 추천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7] Restar5408 24/11/25 5408
178772 [질문] 눈물이 자주자주 납니다. [11] 목민심서5488 24/11/25 5488
178771 [질문] 5600에 500 파워인데 최대치로 어울리는 그래픽 카드가 무엇일까요? [7] 페로몬아돌5091 24/11/25 5091
178770 [질문] 2070 에서 어떤걸로 가야 체감이 될까요? [4] 우엉징아리4649 24/11/25 4649
178769 [질문] 혹시 파라핀 배스(손 용해기) 추천 가능할까요? [4] 스물다섯대째뺨3934 24/11/25 3934
178768 [질문] 샴푸향 나는 향수 추천 부탁드립니다. [4] 귀여운호랑이3999 24/11/25 3999
178767 [질문] 데스크톱 이륙 & 모니터 질문입니다. [7] 추대왕5006 24/11/25 5006
178766 [질문] 제네시스(차)는 잘 안착해 나가고 있나요? [37] 깃털달린뱀5735 24/11/25 5735
178765 [질문] 한동훈 게시판 관련 질문 [15] 니체4298 24/11/25 4298
178764 [질문] 분개장 차변 대변 항목 질문 [3] 스핔스핔3628 24/11/25 3628
178763 [질문] 서울 시내 버스차선을 유치원버스가 이용가능한가요? [4] Mikopap4901 24/11/25 4901
178762 [질문] 공동, 금융, 민간인증서 발급 질문드립니다. 아엠포유4208 24/11/25 4208
178761 [질문] 유튜브뮤직이랑 연동되는 알람어플있나요? [2] 정공법3711 24/11/25 3711
178760 [질문] 영어공부 유튜브(듣기만 할 예정) 추천 좀 부탁 드립니다 [14] 모나크모나크4281 24/11/25 4281
178759 [질문] 외장하드? SSD?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상한우유4161 24/11/25 4161
178758 [질문] 갤럭시 폴드 1테라를 샀는데 설정 가 보니 512네요? (해결됨) [7] 앗흥4682 24/11/25 4682
178757 [질문] 디아블로4 피지알 클랜 운영하나요? [3] 글쓴이3659 24/11/25 3659
178756 [질문] 인텔 CPU 안전한가요? [26] 적막5518 24/11/25 5518
178755 [질문] 블루투스 스피커 괜찮은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시무룩4544 24/11/25 4544
178754 [질문] 백종원의 예산시장 젠트리피케이션이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4] 시드마이어5210 24/11/25 52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