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9/23 07:53:17
Name 스텔스
Subject [질문] 라프로익, 아드벡, 아벨라워 중 추천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번 대한항공 귀국편에 위스키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안마셔본 위스키중 마셔보려하는데 가격대가 저 세개가 적당해보입니다. 기존에 블렌디드 위스키 등 위주로 사서 마셨습니다. 딱히 취향은 없습니다 ㅠㅠ

아벨라워 아부나흐 11.4만원
라프로익 PX 클래식 12.5만원
아드벡 코리브레칸 12.7만원

위스키 고수분들의 추천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야기상자
24/09/23 09:15
수정 아이콘
아벨라워랑 라프로익, 아드벡은 서로 다른 느낌입니다
셰리에서 나는 과일향과 달큰함은 전자를
피트라고 불리는 위스키 특유의 훈연향을 좋아하시면 후자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피트 입문을 아드벡으로 한다면
매우 좋을 것 같아서 아드벡 추천드립니다
자유형다람쥐
24/09/23 09:32
수정 아이콘
어디서 귀국하시는지 모르겠지만 하룻밤이라도 남아있다면 근처 바에서 아벨라워, 라프로익, 아드벡 아무거나 하나씩 드셔보시고 결정하세요.

아부나흐는 배치(오크통)마다 다르지만 도수가 50~60도 되는, 일반인 입장에선 초고도수여서 좋아하시면 다행이지만 한두 입 마셔보고 못 마셔볼 가능성이 있고 배치마다 퀄리티도 다릅니다.
라프로익 PX는 라프로익 특유의 요오드 피트에 페드로 히메네즈라는 쉐리와인 캐스크 향을 강하게 입혀서, 달콤한데 병원같기도 하고 훈연향도 있습니다. 취향 맞으면 좋지만 밸런스가 그렇게 좋지 않아서, 너무 단맛이 싫거나 요오드 피트향이 싫거나 등등... 이 또한 호불호가 매우 강할겁니다.
아드벡 코리브레칸은 잘 만든 위스키이긴 한데 역시나 훈제, 짚불같은 피트가 사람마다 안 맞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도 도수가 높아서 57.1도입니다.

마셔보고 사셔야 한입 마신뒤 장식용 바틀이 되는 일을 막을 수 있지만... 만약 정말 꼭 그냥 사셔야 한다면 그냥 아드벡 코리브레칸 사세요.
HighlandPark
24/09/23 10:22
수정 아이콘
아부나흐랑 라프로익/아드벡은 완전 다른 위스키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피트를 한번도 접해보지 않으셨을 가능성이 크니 라프로익/아드벡 제끼고 아브나흐인데.. (개인적으로 피트 입문을 라프로익/아드벡으로 하는건 오바라 생각해서)
이거 CS라 도수가 높습니다.
에이천
24/09/23 10:27
수정 아이콘
블렌디드 위주로 드시던 분께는 저 3개다 추천 드릴 수 없는 위스키들입니다. 셋 다 너무 특성이 강렬해서 호불호가 심하거든요.
10만원 초반대 가격 보시는 거 같은데 차라리 그 가격대로 블렌디드 구입하시는 거 추천드립니다.
파르셀
24/09/23 11:02
수정 아이콘
라프로익, 아드벡은 거르세요

https://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1132513.html

피트향이 강한 위스키는 시음 하기도 전에 무턱대고 살 만한 위스키 아닙니다
이혜리
24/09/23 11:46
수정 아이콘
위의 글 보고 노선 트신다면 카발란...
19만원에 파란병 집어왔는데 굉장히 맛이납니다.
24/09/23 14:35
수정 아이콘
저라면 그냥 안전한거 하겠습니다; 카발란도 안전하고, 아님 발21년으로.. 아니면 그냥 닷사이로 선회하겠어요;
FastVulture
24/09/23 15:18
수정 아이콘
이 중에 굳이 골라야한다면 아벨라워...
피트는 초심자에겐 리스크가 좀 더 커서...
Moderato'
24/09/23 15:23
수정 아이콘
셋다 싱글몰트 입문 단계라면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니 안전하게 글렌피딕/글렌모렌지/발베니 라인 추천합니다.

저라면 발베니 14 캐리비안 캐스크나 글렌모렌지 16년 고르겠습니다.
스텔스
24/09/23 17:12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분 모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8063 [질문] 트렁크안에 2%, 식혜 캔음료를 두었습니다... [6] rDc665160 24/09/29 5160
178062 [질문] 드래곤볼(애니)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비싼치킨5548 24/09/28 5548
178061 [질문] 19금 문화에 대한 호기심 관련된 질문입니다. [25] 교자만두8974 24/09/28 8974
178060 [질문] 요새 상가는 보통 기대 투자수익률이 얼마나 되는지 아시는 분들 계실까요? [9] LG의심장박용택6344 24/09/28 6344
178059 [질문] 비타민A 크림 효과 있는지요...? [4] nexon6551 24/09/28 6551
178058 [질문] Rtx 4080 super로 QHD UHD 어느게 나을까요? [5] 리들7048 24/09/28 7048
178057 [질문] 첫 휴가, 어떻게 보내는게 좋을까요? [7] No.99 AaronJudge5761 24/09/28 5761
178056 [질문] 제주도5박6일을 가게 되었는데.. [7] 방탄노년단5208 24/09/28 5208
178055 [질문] 찾기 어려운 옛날 서양 영화를 찾습니다 [5] 롯데리아5584 24/09/28 5584
178054 [질문] 유튜브 다운로드 프로그램 추천부탁드립니다. [18] 오후의 홍차6765 24/09/28 6765
178053 [질문] 식당별 미쉐린 가이드 히스토리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 티나한5943 24/09/27 5943
178052 [질문] 퍼프대디 관련 질문입니다 [4] 뵈미우스6153 24/09/27 6153
178051 [질문] 콜드플레이 공연 좌석 질문입니다. [3] 하아아아암5496 24/09/27 5496
178050 [삭제예정] 남대문시장에서 노란 조끼 입고 포교활동 하는 이들의 정체 [12] 삭제됨6443 24/09/27 6443
178049 [질문] 대용량 HDD를 보통 몇 테라씩 나눠서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 [6] 카페알파5523 24/09/27 5523
178048 [질문] 밀폐 쓰레기통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초파리문제) [7] 데비루쥐4936 24/09/27 4936
178047 [질문] 갤럭시 s25가 나온다면 가격이 어느정도일까요 [5] 이사빠5504 24/09/27 5504
178046 [질문] 고사양 PC 견적 문의드립니다. [3] 민서6375 24/09/27 6375
178045 [질문] 컴퓨터 견적 이륙 요청입니다. [3] Equalright5510 24/09/27 5510
178043 [질문] 흑백 요리사 우승자는 누가 될까요? (스포주의) [27] 한이연13270 24/09/27 13270
178042 [질문]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신청해보신분 계신가요? [6] 라리5623 24/09/27 5623
178041 [질문] 재테크 초보입니다. 혹시 자산운용관리 이런거 서비스하는곳도 있나요? [12] 기술적트레이더5861 24/09/27 5861
178040 [질문] 안동 1박여행 볼거리, 맛집 추천부탁 [14] 무민5004 24/09/26 50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