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7/05 00:56:46
Name wersdfhr
Subject [질문] 엄지발가락 통증이 한달 넘게 지속 되는데 큰병원을 가보는게 맞을까요?
6년 전에 다이어트 중에 통풍 발작 진단 받아서 잠깐 약 먹었고 한동안 아무일도 없었는데

5월 말경에 갑자기 엄청난 통증이 와서 집 근처 의원 가서 피 검사 받고 요산 높은걸로 봐서 통풍인거 같다는 말 듣고

요산강하제? 이거랑 콜킨정? 이거 받아서 한달쨰 먹고 있는데

이게 통증이 없어졌다 다시 생겼다가 계속 반복되고 있어서 큰 병원 가서 다른 검사를 받아보는게 나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7/05 08:09
수정 아이콘
통풍이 원래 그렇습니다. 안아파도 약을 계속 먹어주는게 좋아요.
의문의남자
24/07/05 08:14
수정 아이콘
계속 아프면 받아봐야죠;;; 통증이 신호인데,
24/07/05 08: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산강하제는 평소에 먹는거고, 아픈 상태라면 이미 요산으로 발생한 염증때문일거라 염증약을 먹어야합니다. 통풍은 식습관으로 오는거라 거의 완치가 어렵고, 저는 그래서 꾸준히 먹는 약은 먹고 있고 이런 아플 때를 대비한 약을 많이 가지고 있긴합니다. 일단 아픈거는 너무 아프실테니 이부프로펜 진통제(타이레놀은 효과가 없습니다.) 드시고 반드시 자세한건 동네 병원에서 상담하세요. 큰병원은 거기서 가라고 할 때 가시면 됩니다.
24/07/05 08:54
수정 아이콘
진짜 통풍 무지막지하게 아프죠...
다른 분들이 통풍약하면, 아플때 먹는거라 생각하는데...
아플때는 오히려 요산강하제먹으면 더 악화된다 들었습니다...
통풍약은 통풀이 발병하지 않기위해 먹는거...
봉그리
24/07/05 10:07
수정 아이콘
콜킨은 부작용이 많아서 요즘같이 소염제가 잘 나오는 경우 굳이 오래 드실 필요 없고 차라리 소염제 유지+단기 스테로이드(경구약 또는 주사)가 나은 것 같습니다.
의문의남자
24/07/05 11:44
수정 아이콘
통풍은 근데 요산 약 계속 먹으면 조절되는건가요?
봉그리
24/07/05 12:36
수정 아이콘
약만 잘 드시면 요산수치는 기가 막히게 잘 떨어집니다. 맥주 금지 이런 것 다 필요 없습니다.
요즘 약(페북소스탯)은 기존약(알로퓨리놀)보다 훨씬 안전합니다.
그렇게 1-2년 잘 드시면 관절에 침착된 요산도 녹아나오고 거의 정상이 됩니다.
랜슬롯
24/07/05 15:07
수정 아이콘
윗분말씀대로 통풍은 약먹으면 해결되는 병중에서는 매우 약한 병에 속합니다. 약도 기가막히게 잘만들어져서 정말 약만 꾸준히 먹어주면 문제가 생길여지가 아예 없고. 음식조절 (맥주 고등어 등등) 아무리 해도 통풍 수치 0.5~1정도만 낮춘다는게 정설입니다. 그리고 그정도 낮춰서는 사실 크게 의미가 있진 않고… 그래서 약만 꾸준히 먹어주면 되는데, 문제는 그 꾸준히가 어렵고, 통풍 환자들 대부분이 발작이 오면 약을 먹고, 그이후로도 먹다가 또 통증이 사라지면 안먹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가 되죠..
wersdfhr
24/07/05 12:05
수정 아이콘
답변 달아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일단 가던 병원에서는 약 더먹어 보자고 해서 계속 안나으면 다시 생각해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삼각형
24/07/05 15:01
수정 아이콘
꾸준히 드시고 소염진통제도 같이 처방해달라고 하세요
지금 너무 아프시면 탁센 사셔서 드셔도 좋습니다
저도 통풍 환자라 약 먹는데도 발작 올 때는 탁센 종류의 소염진통제까지 같이 먹습니다
랜슬롯
24/07/05 15:05
수정 아이콘
통풍환자입니다. 일단 요산강하제는 꾸준히 드시구요 콜킨은 원래 발작생겼을때 그거 안정시켜주는 용도로 먹는거지 오랫동안 꾸준히 먹는 약은 아닙니다.

병원가서 이야기 한번 해보시고, 개인적으로 한번 먹는 음식들을 점검해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사람마다 발작을 일으키는 음식이 좀 있더라구요. 저같은경우 단백질 음료였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7039 [질문] 한의원에서 침 맞는거 효과 있을까요? [25] 오렌지망고5832 24/07/11 5832
177038 [질문] 자동차 출고 3년, 특별히 정비해야할 곳이 있을까요? [10] 누구세요5666 24/07/11 5666
177037 [질문] 컴퓨터견적문의 [9] 행복한나를위해4963 24/07/11 4963
177036 [질문] FM2024 저장 파일을 2곳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8] 시지프스6933 24/07/11 6933
177035 [질문] (아마도)동남아 언어 단어질문입니다 [9] 한지민짱4522 24/07/11 4522
177034 [질문] 전자기기로 텍스트 볼 때 눈 덜 아픈 방법 있을까요? [12] 짐바르도4900 24/07/11 4900
177033 [질문] 편안한 분위기의 유튜브 추천 부탁 드립니다 [26] 송기범6212 24/07/11 6212
177032 [질문] 니코틴없는 가짜 (전자)담배가 있을까요?? [8] 다용도테이프6742 24/07/10 6742
177031 [질문] 고려거란전쟁 어떻게 시청할까요? [11] 오타니6430 24/07/10 6430
177030 [질문] 웹툰 좀 찾아주세요 Pinocchio5868 24/07/10 5868
177029 [질문] 엘든링 dlc 무기 질문입니다. [6] 찬양자6020 24/07/10 6020
177028 [질문] 원가계산 시 인건비는 어떻게 처리하나요? [9] 앗흥7753 24/07/10 7753
177027 [질문] 번호이동 지원금 질문입니다 [3] 지포스25593 24/07/10 5593
177026 [질문] 윈도우11 설치 중 멈춤 [6] 빵pro점쟁이7039 24/07/10 7039
177025 [질문] 자동차 부부 공동명의 1:99 하려고 합니다. [5] 아이언맨8002 24/07/10 8002
177024 [질문] 해결 불가능한 업무를 시키는 상사 어떻게 하죠? [7] Alfine6392 24/07/10 6392
177023 [질문] 와인 입문해보려고 합니다. [22] 선플러5685 24/07/10 5685
177022 [질문] 자꾸 예전 직급으로 부르는 분이 계시는데... [27] 시무룩7188 24/07/10 7188
177021 [질문] 사무용 데스크탑 견적 부탁드려도 될까요?? [5] 원스5026 24/07/10 5026
177020 [질문] 다이어트시 가끔 속쓰림이 옵니다. [4] Pika485241 24/07/10 5241
177019 [질문] WIFI 연결이 되었지만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문제 [15] 그루터기156781 24/07/10 6781
177018 [질문] 도곡 쪽 괜찮은 일식집 추천부탁드릴게요 [4] 기다리다4631 24/07/10 4631
177017 [질문] '운명을 보는 회사원'같은 작품있을까요? [14] 오하이오7372 24/07/10 73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