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6/19 01:06:07
Name 마그데부르크
Link #1 .
Subject [질문] 혹시 돈 질문해도 될까요 20대분들 저축 어떻게 하고계시나요 (수정됨)
현재 나이는 23살 대학생 (휴학)이며

시간날때 알바를 하고 있습니다

한달에 들어오는 수입은

정해져있지않고 불규칙하긴한데

100에서 110사이에서 왔다갔다합니다

정기적으로 매월 자유적금으로 40

주택청약 2만원

청년도약적금

(2029년 4월에 끝나고 달마다 40만원

자동으로 빠져나감)

이렇게 저축을 하고있는데요

돈을 너무 조금 모이는거같아서 고민이라 질문해봅니다

인생 선배분들..

선배님은 23살 24살때 돈을 어떻게 모으셨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24/06/19 01:17
수정 아이콘
그 나이엔 그냥 통장에 항상 0원이었...
나중에 잘 되실 것 같네요.
24/06/19 01:23
수정 아이콘
애초에 100~110 받고 저축을 할 수 있다는 건 부모님 지원이 있어서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독립하고 나면 200 넘게 받아도 월세 내고 식비 내고 교통비 내고 하면 진짜 돈 모으기가 쉽지 않거든요

지금 돈 모으는 거에 대한 염려는 굳이 할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알바로 받은 돈 모으는 것만 해도 대단합니다.
마그데부르크
24/06/19 14:52
수정 아이콘


댓글이 이렇게 많이 달릴줄몰랐네요
달아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그렇습니다 부모님 집에서 사는
소위 코알라족이라서
이렇게 저축을하고도 모자람없이 살수있는거겠죠

언젠가 부모님에게 손을 벌리지않고
독립을해야하는날이 반드시 얼텐데 그날이 걱정이네요.
뾰로로롱
24/06/19 01:26
수정 아이콘
지금 그정도 저축하시는건 대단한겁니다.
그때는 돈이 모이질 않아요 쓸곳은 넘쳐나고 사고싶고 하고싶은건 너무 많아요.
굉장히 잘 하고 계신거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옥동이
24/06/19 02:52
수정 아이콘
그냥 그때는 돈모으지 마시고 하고 싶은거 써야하는거에 투자하세요...20살의 백만원이랑 30살의 백만원의 가치가 다른겁니다. 돈 아낀다고 시간 버리지 마세요 20 살의 한시간이 나중에 얼마나 큰 가치가 되어 돌아오는지 생각하세요
돈모으는건 취직후에 하시면되요 지금 3달 모을거 한달에 모아집니다 지금 아둥바둥 하시기보단 그돈으로 가치있는 것들에 쓰세요
43년신혼1년
24/06/19 03:53
수정 아이콘
대학생 때 돈모으는거는 너무 조금씩이라....
애초에 수입이 작아서 모이는게 작은거라 이건 어쩔 수 없죠.

그래도 모으는 버릇을 들이시는건 좋을거 같습니다.
6개월 동안 40만원씩 모으면 240만원인데(+이자)
이거로 여행을 가시거나, 가격이 좀 나가는데 사고 싶었던걸 사면서
돈 쓰는 것도 고민해 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런데 수입이 100만원인데 한달에 40만원을 모은다고요???
43년신혼1년
24/06/19 11:31
수정 아이콘
아, 다시보니 한달에 모으는 돈이 82만원이네요....
미쳤습니까? 휴먼
도약적금, 주택청약은 그대로 두시고,
자유적금은 뭐 여력이 되시면 모으는건 좋지만 어느정도 모이면 쓰는 연습 하시는걸 추천할께요.
다만 그냥 막 쓰라는건 아니고, 쓰기위해 물건을 알아보고, 리뷰를 찾아보고, 이 상품, 저 상품 비교도 해보면서 안목을 키워보고,
실제 돈을 쓴 다음에 알아본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을 경험해보는 것도 좋을거에요.
Mattia Binotto
24/06/19 04:44
수정 아이콘
그정도면 충분한 것 같습니다
PARANDAL
24/06/19 06:34
수정 아이콘
전 대학생땐 돈 모으지는 못했던것 같네요. 돈을 벌어도 결국 학비 생활비에 못미쳐서..

저 같으면 여유자금으로 적금말고 미국주식 같은거 하면서 감을 미리 좀 잡을것 같습니다.
단타말고 가치투자로 장투하다가 돈이 꼭 필요할때 파는 방식으로요.
24/06/19 06:58
수정 아이콘
학생때 돈이 모인다는 거 자체가 대단하달까 신기하달까 그런데요?
하우스
24/06/19 08:19
수정 아이콘
제가 만약 20대로 돌아가서 글쓴분 상황이라면 현금 모아놨다가 불황이 왔을 때 미국 주식 ETF 들어가겠습니다
장기적으로보면 지금사도 상관없을수 있지만 너무 많이 올라있다보니 차라리 하락 싸이클 올때까지 좀 기다릴 것  같네요 
사람되고싶다
24/06/19 08:47
수정 아이콘
학생 땐 돈 모으지 말고 펑펑 쓰세요. 학생 때는 그거 세빠지게 하고싶은 거 못하고, 먹고싶은 거 못 먹고, 놀고 싶은 거 못 놀고 악착같이 모아봐야 취직하고 몇 달이면 모으는 돈입니다. 그리고 취직하면 쓰고싶어도 돈 쓸 시간이 없고요.
저도 학생 때 악착같이 모은 사람이었는데 취직하니까 진짜 현타 오더라고요. 이제 하고싶은 게 있어도 시간이 없어서 못하니까. 차라리 시간도 있고 돈도 있던 그때 억지로 아끼지 말고 썼으면 훨씬 윤택하고 행복한 삶을 보낼 수 있었을텐데.
기사조련가
24/06/19 08:55
수정 아이콘
이미 최상위로 돈 모으고 계세요. 자유식적금은 솔직히 더 낮춰도 될꺼 같네요.
학생때만 할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알바를 줄이거나 아니면 돈을 더 써서 자기개발에 쓰거나 좋은 친구 인맥을 만드시는걸 추천함
예를 들어 클라이밍 스키 윈드서핑 이런류는 나중에 나이 먹으면 하고 싶어도 회사 가야하거나 부상 위험때문에 못해요
무냐고
24/06/19 08:57
수정 아이콘
쓸것도 모자라서.. ㅜ
파르셀
24/06/19 08:59
수정 아이콘
그 시기에는 모으는거 자체가 대단한 겁니다

집안 지원 빵빵하게 받는게 아니라면 허덕이는게 당연한 겁니다

그리고 너무 아끼지만 마세요 빚 내는건 비추지만 즐길꺼 즐기면서 사세요
이민들레
24/06/19 09:09
수정 아이콘
자유적금말고 청약을 풀로 넣으시죠. 2만원 넣는건 의미가 없어요.
24/06/19 09:10
수정 아이콘
지금은 좀 쓰시는 것도 좋습니다.
당연히 도박 같은데 탕진 하라는건 아니고

여자 만나는데 옷도 사입어 보고 적당히 호구도 당해보고
취업준비 하는데 학원도 등록해보고 책도 좀 사보고
향후 있을 사회생활이나 인생에 도움이 될만한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게 좋습니다.

지금 저축이라는 걸 생각 하고 계시는 거 자체로
의미없는 탕진은 안하실 것 같아요.
화이팅입니다
24/06/19 09:19
수정 아이콘
나이랑 상관없어요.
수입과도 무관하구요.
저축하고 남은돈으로 생활하는거고 의지력의 문제죠.
월100벌어도 저축하는 사람은하고 월1000을 벌어도 저축 못하는 사람 많습니다.
더존비즈온
24/06/19 09:42
수정 아이콘
대학생 때는 돈 어떻게 쓸까만 고민했는데, 이미 대단하시네요.
도움이 안되는 답변일 수 있겠지만 저라면 다시 돌아가더라도 여행 등 어떻게 쓸지에 대해 고민할 것 같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4/06/19 09:50
수정 아이콘
대단하십니다 이미. 그래도 저 시절에만 할 수 있는 게 있어서 너무 모으시는데 집중하지 마시고 하고 싶은 걸 하시는 것도 좋아요.
우울한구름
24/06/19 09:59
수정 아이콘
저는 다시 돌아가도 그때면 모으기보다는 이것저것 많이 해보는데 쓸 것 같습니다. 현실은 자취였어서 언제나 돈이 없었지만요
소이밀크러버
24/06/19 10:07
수정 아이콘
저금도 버릇입니다. 모아놓고 중고차를 사던 해외 여행을 가던 일단 모아보세요.

개인적으로 그 나이대에 그만큼 저금한다는 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성야무인
24/06/19 10:08
수정 아이콘
많이 모으시고 계시는 것 같은데요?

한달에 82만원 정도면 말이죠.

거기에 청년도약적금은 3년 만기 1500만원 5년만기 3000만원짜리 아니었는지요? (저도 정확한 액수가 헤깔려서)

3년정도라도 목돈이 4천정도,... 5년정도라면 6-7천정도 모으실텐데

아마 어떻게 취업계획을 가지고 계실지는 모르겠고

어느 곳에 사시는 지는 모르겠지만 지방이라면 조그마한 오피스텔도 얻을 수 있을듯 합니다.
페로몬아돌
24/06/19 10:12
수정 아이콘
학생때는 추억을 만드세요. 직장 다니고 부터 모아도 됩니다. 자취하면서 돈 때문에 못 해본게 아직도 아쉽네요
LG우승
24/06/19 10:51
수정 아이콘
농담아니고 존경합니다.
부대찌개
24/06/19 10:55
수정 아이콘
종자돈 모으는데는 적금이 최고에요.. 잘하고 계심
RedDragon
24/06/19 11:14
수정 아이콘
23살부터 계획 세우시는거 자체가 대단하십니다. 전 사회 나가서 2~3년차 쯤 되고서야 돈 모을 생각 했는데...
혹시 돈이 조금 남으신다면 월 10만원 정도로 미국 S&P 500 지수 추종 ETF 같은 안전한 ETF 류도 추천 드립니다.
소액이라 이득은 별로 안되시겠지만, 주식 투자의 개념 잡는데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원시제
24/06/19 11:51
수정 아이콘
스물 세살에 돈을 모으는 것 자체가 대단하신겁니다. 충분히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제 개인적으로 사족을 좀 붙이자면, 너무 장기적인 큰 플랜 말고,
[내가 단기적으로 돈을 모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고민해보시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왜, 얼마를, 언제까지 만들어볼 것인가. 가 있는게 훨씬 효율적입니다.
24/06/19 11:54
수정 아이콘
주식했을거 같음..etf같은 지수추종..나중에 할려니까 괜히 겁나고 귀찮아요....젊을때부터 할걸..
덴드로븀
24/06/19 12:13
수정 아이콘
충분히 잘하고 계시는것 같습니다.

나이나 소득대비 저축 수준이 엄청 높은거구요.

적금액을 10만원 정도 줄이고, 미국S&P500 ETF 를 토스증권 등에서 매일 1~5천원씩 구매하는것도 방법입니다.
wish buRn
24/06/19 12:20
수정 아이콘
비슷한 나이대에 2/3정도 벌었고 비슷한 저축율 찍었습니다.
그때 놀아봤을껄...후회중이네요.
습관을 만든다는건 괜찮았지만,금액으론 사실 큰도움 안됐습니다.
24/06/19 12:52
수정 아이콘
그 나이때부터 수입을 저축하는 습관을 길들여놓으시는 자세가 너무 훌륭하십니다.
잘하고 계시니깐 너무 걱정하지마세요
24/06/19 13:48
수정 아이콘
멋져요!
24/06/19 13:53
수정 아이콘
저기서 주택청약 금액을 좀 바꾸는게 좋아보입니다.
인정금액도 곧 상향이기도하고..
장정의
24/06/19 13:54
수정 아이콘
대학생때는 학자금대출로 빚져있어서 항상 마이너스였어요ㅜㅜ
은때까치
24/06/19 14:05
수정 아이콘
지금부터 적립식 지수추종을 "체험"해보시는게 투자 근육을 키우는데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극소액이라도 좋으니 (5~10만원) 매달 조금씩 적립식으로 사보세요. 자기 돈을 넣어봐야 내 투자성향을 정말로 알 수 있습니다.
24/06/19 14:40
수정 아이콘
30대 이전엔 돈모아본 기억이..
완전연소
24/06/19 14:42
수정 아이콘
22222
20대 초반에 그렇게 저축하시는거면 정말 대단하신겁니다.
콩순이
24/06/19 15:28
수정 아이콘
대학생때 알바로 버는것보다 제대로 취직해서 버는 돈이 더 클텐데 무슨일로 휴학중인지는 모르겠지만 빨리 졸업하시고 좋은 곳 취직하는게 돈 모으는데 더 빠를거 같아요. 지금은 내 몸값을 올리기 위해 투자하는 시기라 생각이 되서요..
마그데부르크
24/06/19 16:49
수정 아이콘
듣고싶었던 일침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다리다
24/06/19 18:31
수정 아이콘
앞으로의 직업이 중요할거 같네요.(부모님이 최소한 노후대비 +조금이나마 지원해주실 수 있는 환경으로는 보이셔서 그런 가정하에..) 꽤 높은 확률로 고소득 직장의 확률이 크던지 아니면 고소득 전문직이 확실한 학생이시면 즐길거 즐기세요. 여유로운 시간은 더이상 없을테고 안그래도 안모인다고 느끼는 이 돈. 취업하고 나면 노력 대비 너무 작은 돈이라는걸 느끼실테니까요. 만약 윗 가정이 아니라면 각자도생 시대에 투자쪽에 눈 돌리시는게 나을듯 하네요
마그데부르크
24/06/19 19:38
수정 아이콘
흑흑 가나다라마바사님

그런가정도아니고

직업도 고소득 it이런거 못가집니다...
이러다가는다죽어
24/06/20 10:07
수정 아이콘
그 나이대 하고싶은거 못하고 사고싶은거 못사고 먹고싶은거 못먹고 모은 돈도 결국 돌아보면 푼돈입니다.
어마어마하게 모을거 아니라면 젊을때의 그 현재에 최선을 다해 쓰세요. 본격적으로 돈 벌기시작할때 모아도 늦지않습니다.
데이트 한번이라도 더하시고 술 한번이라도 더마시고 여행 한번이라도 더 가세요...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1643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9] 유스티스 18/05/08 122610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0531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0478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54732
176834 [질문] 스타트업 등 새롭고 참신한 서비스를 어디서 접하시나요? 사람되고싶다471 24/06/27 471
176833 [질문] USB로 소리,전원 연결하는 컴퓨터용 스피커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쏘쏘쏘524 24/06/26 524
176832 [삭제예정] [질문] 혹시 상속관련해서 아시는분 계실까요 [2] 흔들리지않아626 24/06/26 626
176831 [질문] 책임보험만 하다가 종합으로 다시 올릴 수 있나요? [2] Payment Required704 24/06/26 704
176830 [질문] 프로포즈 반지관련 질문 [16] 구급킹954 24/06/26 954
176829 [질문] 자동차 구매 부모님 지원 시 증여문제 [5] 울트라머린555 24/06/26 555
176828 [삭제예정] 이런경우 이 여자의 심리가 뭘까요? [16] 좋구먼950 24/06/26 950
176827 [질문] 요리학원 다녀보신 분 있으실까요?? [4] 백색왜성348 24/06/26 348
176826 [질문] 내장 그래픽이 달린 CPU는 내장 그래픽이 포함된 메인보드를 맞주어야 하나요? [4] 미키맨틀631 24/06/26 631
176825 [질문] 서울의 시원한 국수요리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쿨럭642 24/06/26 642
176824 [질문] 돈이 들어오는 때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21] 페라리1439 24/06/26 1439
176823 [질문] 와이프 선물 해외에서 사기 vs 국내에서 사기 [8] 마이스타일990 24/06/26 990
176822 [질문] 직장 데스크탑 견적 문의드립니다! [7] EnzZ738 24/06/26 738
176821 [질문] 한강이남으로 기념일날 갈말한 2인 20만원 이하 레스토랑이 있을까요? [8] 아줌마너무좋아835 24/06/26 835
176820 [삭제예정] 결정사 상담갈떄 복장? 따로있나요. [10] 포커페쑤901 24/06/26 901
176819 [질문] 애플 앱스토어 SRPG 추천해주세요 [4] JoyB586 24/06/26 586
176818 [질문] 아이폰->갤럭시 이동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2] 앙금빵558 24/06/26 558
176817 [질문] 캐논 e569 프린터가 고장입니다. [4] 아케르나르420 24/06/26 4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