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6/18 07:22:17
Name 선플러
Subject [질문] 단식 35시간 중입니다. 단식 전문가 있으실까요?
사실 처음에 이렇게 길게 단식할 의도는 없었는데
배고픔과 스트레스가 전혀 없고 오히려 몸이 더 가벼워져서 계속하게 됐습니다.

이 상태면 72시간도 가능할 것 같은데
이러면 머리털 날아가나요?

아직 탈모 증상은 없는데 이것으로 탈모가 시작될까 두렵긴합니다.
48시간 까지만 하는 게 좋을까요?

지금 잠 잘 자고 헬스장 가고 있는데
이렇게 컨디션이 좋을 줄 몰랐습니다.

그동안 치킨피자족발보쌈 돌려가며 매일 배달시켜먹던 저였는데
그게 더 제 몸을 혹사 시켰던 걸까요.

그래서 전문가에게 물어보려하는데
가정의학과 가면 되려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람되고싶다
24/06/18 08:42
수정 아이콘
장기간 단식은 전문가 도움 없이 개인이 하면 위험합니다. 단식 끝나고도 바로 뭐 먹기보단 천천히 적응기간 가지면서 조금씩만 먹어야 하고요.
가정의학과든 내과든 어디든 가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알카드
24/06/18 09:07
수정 아이콘
치킨피자족발보쌈은 말그대로 노화를 수퍼가속해버리는 식사법은 맞습니다. 다만, 단식이 길어지면 근육량 보존에 있어서 불리할 가능성이 높아서 요즈음에는 긴 단식은 추천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24/06/18 09:32
수정 아이콘
단식 오래해서 특별히 좋을건 없을거에요. 간단하게라도 가벼운 음식 위주로 드세요
아케르나르
24/06/18 10:05
수정 아이콘
주에 이틀 정도는 괜찮다고 하던데, 그래도 전문가와 상담해보세요.
평온한 냐옹이
24/06/18 11:51
수정 아이콘
처음이면 48시간정도가 무난하실거에요. 오토파지 되면서 피부도 좋아지고 몸의 염증이나 아픈곳에 회복력이 올라가서 치유가 빠를겁니다.
사실 전문가의 도움을 기대하기 힘든 영역이라고 봅니다. 먹을걸 줄이면 다 해결될걸 많이 먹고 많이 소비하고 그래서 아프면 또 돈써서 고치게 세팅되어있는 사회에요. 스스로 경험해보고 조심스럽게 나가는게 최고입니다. 장기간으로 하려면 1일1식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24/06/18 15:27
수정 아이콘
만 5일까지는 해봤는데 그 정도로 장기 단식이라고 할 정도는 아니라고 합니다.

몇가지 팁을 드리면.

저는 미네랄(소금?)이랑 물만 매일 잘 챙겨먹으면 괜찮더라고요.
사람은 음식을 통해서도 물을 얻기 때문에 평소보다 많이 마셔야 합니다. (4L 목표)
설탕 안넣은 아메리카노는 마셔도 단식이 깨지지 않습니다.

단식 끝난 후에 다시 밥 먹으면 3끼 정도는 식후 혈당이 엄청나게 오르니
(몸이 아직 단식 모드라서 당을 안태워서 그렇습니다)
밥먹고 30분 후부터 가벼운 유산소 해주시면 좋습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4/06/18 23:41
수정 아이콘
제가 배탈이 한번 나면 심하게 나는데, 특히 좀 나아진줄 알고 뭐 먹으면 또 배탈이 오고 그래서 한번 배탈이 나면 3일정돈 기본으로 굶습니다. 그러다가, 진짜 심해서 2주정도 단식해본적 있는데, 말씀하신대로 이게 처음 이틀정도가 힘들지, 그 고비를 넘기고 나면 생각보다 상태가 괜찮죠.

배탈도 그렇지만 단식의 가장 좋은 친구도 이온음료입니다. 전해질 수분에 최소한의 칼로리도 부담없이 보충해주거든요. 저의 경우는 원래 돼지인지라 2주정도 굶어도 끄떡없었는데, 이온음료 잘 드셔가면서 한다면 일주일 정도는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식사 복귀할 때, 닝닝한 죽부터 서서히 복귀하는건 잊지 마시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846 [질문] 삼성 휴대폰 배터리 문제 [2] BISANG6481 24/06/28 6481
176845 [질문] 미화 5만불이 있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22] EY7306 24/06/28 7306
176844 [질문] 혈당수치 높으신 분 계신가요? [13] 매콤한새우7893 24/06/28 7893
176843 [질문] 잘생겼단 말을 많이 들었던 분들에게 질문.. [40] 향기나는사람10092 24/06/27 10092
176842 [질문] 넷플릭스 구독하면 제공되는 게임들 할만한가요? [10] 단다니 쿨쿨8470 24/06/27 8470
176841 [질문] 2차대전 독일군이 M4로 무장했다면? [18] ELESIS8113 24/06/27 8113
176840 [질문] 자동차 배터리 브랜드도 모르고 교체할 수가 있나요? [34] 곰돌곰돌파트나8693 24/06/27 8693
176839 [질문] 토요일 인천에서 의정부 자차 이동 [6] 짱짱걸제시카7286 24/06/27 7286
176838 [질문] 수면 검사 받아보려 하는데 추천해주실 병원이 있으신가요? [14] 경마장9번마6760 24/06/27 6760
176837 [삭제예정] 집을 착각해서 도어락을 누를 때 안에 인기척을 냈는데도 문을 두드리는 상황?은 어떤 연유로 그러는지 궁금합니다. [18] 해모도리6621 24/06/27 6621
176836 [질문] 유로 2024 티켓구매 문의 [2] 마인부우5763 24/06/27 5763
176835 [질문] (예산 30~50만원선) 아동용 자전거 구매 질문 드립니다. [5] ED6077 24/06/27 6077
176834 [질문] 스타트업 등 새롭고 참신한 서비스를 어디서 접하시나요? [14] 사람되고싶다8538 24/06/27 8538
176833 [질문] USB로 소리,전원 연결하는 컴퓨터용 스피커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쏘쏘쏘7175 24/06/26 7175
176832 [삭제예정] [질문] 혹시 상속관련해서 아시는분 계실까요 [11] 흔들리지않아6225 24/06/26 6225
176831 [질문] 책임보험만 하다가 종합으로 다시 올릴 수 있나요? [3] Payment Required6399 24/06/26 6399
176830 [질문] 프로포즈 반지관련 질문 [29] 구급킹8218 24/06/26 8218
176829 [질문] 자동차 구매 부모님 지원 시 증여문제 [6] 울트라머린6728 24/06/26 6728
176828 [삭제예정] 이런경우 이 여자의 심리가 뭘까요? [29] 삭제됨6686 24/06/26 6686
176827 [질문] 요리학원 다녀보신 분 있으실까요?? [8] 백색왜성6613 24/06/26 6613
176826 [질문] 내장 그래픽이 달린 CPU는 내장 그래픽이 포함된 메인보드를 맞주어야 하나요? [4] 미키맨틀5714 24/06/26 5714
176825 [질문] 서울의 시원한 국수요리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쿨럭6092 24/06/26 6092
176824 [질문] 돈이 들어오는 때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22] 페라리6807 24/06/26 68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