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5/29 10:43:48
Name 수지짜응
Subject [질문] 전세대출 개념이 궁금합니다.
전세자금 대출에 대해 잘 몰라 개념이 궁금한데요..

신용대출은 일반적으로 개인의 신용을 담보해 대출이 실행되고
주담대는 본인 명의 주택을 담보로 대출이 나오는거잖아요?

전세대출은 뭘 담보로 대출이 나오는건가요??

전세 들어갈 집을 담보로 잡고 나오는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이 경우 집 주인의 동의가 필요한가요?

또 궁금한게 만약 담보가 없다면.. 왜 신용대출보다 전세대출 한도가
훨씬 높게 나오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5/29 10:48
수정 아이콘
전세금을 담보로 대출이 되는거죠
수지짜응
24/05/29 10:57
수정 아이콘
그럼 돈 빌린 차주가 이자등을 못 낼 경우에는
전세금에서 가져오게 되는건가요??
수지짜응
24/05/29 10:56
수정 아이콘
5억짜리 집에 3억 전세로 들어가고 그 중에 2억을 전세대출로 할 경우..
그 3억 전세금이 담보가 되는건가요?

그럼 차주가 상환을 못할경우 은행은 집주인이 들고 있는 전세금에서
상환 못한 금액을 회수하게 되는거죠?
karlstyner
24/05/29 11:03
수정 아이콘
전세자금 대출은 두차례에 걸친 담보라고 보면 됩니다.

1차적으로 전세자금 대출의 담보는 전세금입니다. 그러므로 전세자금대출을 상환하지 못하면 전세금이 담보가 됩니다.그러므로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급한 전세금에서 대출금을 상환받게 되죠

그런데 임대인도 전세금을 돌려줄 능력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전세집이 전세금을 담보하므로 2차적으로 전세집에 대한 강제집행을 통해 채권을 보전받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세자금대출의 경우 전세집의 가치(선순위 담보대출금 등이 있으면 공제)를 기준으로 일정 한도가 정해지고, 해당 전세금에 임대차법상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을 가지고 있어야 하죠
수지짜응
24/05/29 11:06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또 드는 궁금점이.. 그러면 대출은 세입자가 받는데
세입자가 전세대출 못 갚고 튈..?? 경우

세대주가 손실을 보게 되는 구조가 맞나요..??
이게 맞다면.. 전세대출 받을때 세대주 동의는 필요없나요?
24/05/29 11:08
수정 아이콘
세대주는 어차피 돌려줄 전세금이 있어서 손해볼 게 없지 않나요?
수지짜응
24/05/29 11:14
수정 아이콘
아 어차피 대출 한도가 전세금 내 범위면
세입자한테 주든 은행한테 주든 세대주 입장에선 똑같은거겠네요..??
Citrus7744
24/05/29 11:1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전세금 돌려줄 때 대출금액만큼은 전세대출 은행에 주도록 강조합니다 세입자에게 돌려줬다 튀면 사고가 나기 때문에.. 그것만 지키면 손해날 일은 없죠
43년신혼1년
24/05/29 11:44
수정 아이콘
세대주 입장에서 보면
전세금 - 은행에서 받음
세입자가 나름
은행에서 받은 전세금을 은행에 돌려줌
이라서 이 구조에서 세대주는 손실을 볼 구조가 없죠.
몽키매직
24/05/29 11:19
수정 아이콘
주택에 대한 강제집행은 안될 겁니다. 전세자금에 대한 질권 설정이 되는 것이고 주택에 대한 권리를 받는 것은 아니라, 그래서 집주인 동의도 필수적이지 않고요. 전세자금을 돌려받을 권리가 설정이 되는 것이고, 주택에는 권리 설정이 되지 않아요.
karlstyner
24/05/29 11:42
수정 아이콘
저당권처럼 곧바로 강제집행은 못하더라도 보증금 반환채권을 양도받으면 그 채권으로 집주인에게 소송해서 집행이 가능하죠.
몽키매직
24/05/29 11:44
수정 아이콘
집주인 재산에 대해서 집행하는 거지 집에 대해서 집행하는 게 아니니까요.
물론 집주인이 현금이 없으면 돌고 돌아 재산 압류하면서 집도 경매로 넘길 수 있긴 한데, 어쨋든 집에 대한 권리가 설정되어 있는 것과 다르죠.
집에 대해서 집행이 가능하려면 권리 설정할 때 집주인 동의를 얻고, 등기에도 올려야 하는데
이러면 전세자금 대출이 힘들어지니까 꼼수로 전세자금 반환에 대한 질권 설정만 하도록 하고 집주인 동의가 필요 없도록 설계한 제도라서.
karlstyner
24/05/29 12:05
수정 아이콘
집은 집주인 재산이 아닌가요? 보증금은 집에 대해서만 우선변제권이 있고 다른 재산에 대해서는 일반 채권으로 우선변제권이 없는데 왜 돌고돌아 집행한다는건지..

그리고 집주인이 현금이 있으면 당연히 돈을 돌려주지 은행에 12%지연손해금과 소송비용까지 부담하면서 소송까지 갈 이유도 없었겠죠.

물론 저당권처럼 집에 대해서 바로 임의경매를 할 수는 없지만 보증금반환소송은 길게 끌 것도 없이 금방 판결이 나오고 판결 나오면 가집행이 붙어있을거니까 확정전이라도 바로 집을 압류하고 강제경매하면 됩니다만..

그래서 제가 1차, 2차로 나눠서 쓴 거기도 하고요.
완전연소
24/05/29 13:21
수정 아이콘
현직 부동선 전문 변호사인데 이 말씀이 맞고, 실무상으로는 아예 은행이 질권설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테픈커리
24/05/29 12:49
수정 아이콘
대출은 대출자와의 거래가 아니라 매도인 혹은 임대인과의 거래입니다.
대출하시는 분은 해당 금액을 어떻게 할 수 없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523 [질문] 제PC사양으로 디아4 돌릴수 있나요?(추가질문 언어관련) [15] 자가타이칸2596 24/06/03 2596
176522 [질문] 아들 둘 데리고 오사카 3박 여행을 가려는데, 조언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49] 공염불3002 24/06/03 3002
176521 [질문] [만화] 명탐정코난 범인의 범행 동기에 관한 궁금증 [9] AminG1498 24/06/03 1498
176520 [질문] 버크셔 해서웨이의 기업구조가 궁금합니다. [1] 부동산부자1055 24/06/03 1055
176519 [질문] 취득세 관련 질문 드립니다.(아파트 분양권 구매 내년입주) [8] 파쿠만사835 24/06/03 835
176518 [질문] 액상시럽 보다는 유기농 비정제 설탕이 그나마 몸에 좋을까요? [9] 독각1146 24/06/03 1146
176517 [질문] 요즘 미세먼지 없이 좋은 날씨는 어디서 온걸까요? [8] 200608281569 24/06/03 1569
176516 [질문] 휴일에 63빌딩 주차 어떤가요? [9] 시무룩1687 24/06/03 1687
176515 [질문] NCS 단기간 공부방법 [5] 사자1212 24/06/03 1212
176514 [삭제예정] 이거 혹시 cctv 인가요? [3] 삭제됨1436 24/06/03 1436
176513 [질문] 게임과 관련된 독특한 업이 있을까요 [13] 무냐고1638 24/06/03 1638
176512 [질문] 포켓몬 아르세우스 몇 살부터? [10] 해모도리1237 24/06/03 1237
176511 [질문] 새안경 적응 실패중 [6] 당근병아리1588 24/06/03 1588
176510 [질문]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유니버스 소식 아시는분 계신가요 [2] chamchI1109 24/06/03 1109
176509 [삭제예정] 주위 사람이 전파공격을 받고 있다는데 뭐라고 대답해야 하나요? [25] 삭제됨2922 24/06/03 2922
176508 [질문] 대만 입국심사 질문드립니다 [8] 리코타홀릭1010 24/06/03 1010
176507 [질문] 소소하지만 급을 올렸을 때 급격히 체감되는 물건? [57] 사람되고싶다3717 24/06/02 3717
176506 [질문] 천오백에서 이천만원 정도 적금들려면.. [8] 엔쏘2627 24/06/02 2627
176505 [질문] 디카페인 더치 원액 추천 해주세요. [4] 안철수1889 24/06/02 1889
176504 [질문] 기존 컴퓨터 켜지지 않는 문제 [11] 이혜리2096 24/06/02 2096
176503 [질문] 챗지피티나 클로드같은 ai 사이트 구독할만 할까요? [9] wersdfhr2506 24/06/02 2506
176502 [삭제예정] 준중형 이상 사겠다는 사람에게 경차 소형차만 추천하는건 무슨 심리일까요? [48] 삭제됨3692 24/06/02 3692
176501 [질문] 고량주 질문 입니다 [12] 플스51819 24/06/02 18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