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5/24 08:30:36
Name 라리
Subject [질문] 운전면허 1종 보통 어려운가요??
1종 보통을 따야 할 일이 생겨서요
현재는 2종 보통이고... 장롱도 아니고.. 자차도 있고
주행도 하고 다니고있어서 그냥 보면 되는거 아닌가?했더니
주변에서 주워듣기로는 그냥 시험 보면 떨어질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비용적인것도 부담이 많이되서...
이게 실내운전연습장이라고 있던데
여기서 좀 해보고 시험장 가서 바로 시험을 쳐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돈이 좀 들더라도 면허학원에서
도로주행연수받고 해야하는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르나르
24/05/24 08:45
수정 아이콘
오히려 2종 오토보다 쉬운 면이 있습니다. 트럭으로 시험을 보는데, 엔진룸이 앞에 없고 운전석이 높아서 시야가 좀 넓어요. 필기는 아마 며칠 공부하시면 될 거 같고 장내기능이나 도로주행은 제가 봤던 때랑 달라서 뭐라고 말씀드리기는 힘드네요.
24/05/24 09:03
수정 아이콘
제가 듣기론 2종 취득자가 1종을 볼때는
필기는 안봐도되고 바로 도로주행시험만 보면 된다고 들었는데 이것도 확실한게 아니겠군요..
아케르나르
24/05/24 11:36
수정 아이콘
아, 제가 제목만 봐버려서... 잘 모르겠습니다.
24/05/24 08:55
수정 아이콘
2종은 소형밖에 안 따봤지만 관건은 기존 면허가 자동한정인가 수동인가일 듯 하네요. 수동변속만 익숙하시면 나머지는 쉬우리라 생각합니다.
24/05/24 09:04
수정 아이콘
전 지금 2종 자동인데 1종은 클러치?뭐 그거때문에 시동꺼지는걸
조심해야한다 하더군요
츠라빈스카야
24/05/24 09:09
수정 아이콘
본문엔 2종 보통이라셨는데 리플엔 2종 자동이군요....2종 보통(수동) 따놓으셨으면 1종 따는 데 차만 바뀌었다는 느낌에 가깝겠지만, 2종 자동(오토)이시면 아예 조작법 자체가 달라지니 웬만하면 사전에 학원 같은 데 가서 배워두고 가시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24/05/24 09:21
수정 아이콘
네 그럼 난이도 올라갑니다. 엔진회전을 느끼는 부분이나 클러치 밟고 떼는 감각은 실내연습장에서 그렇게까지 리얼하게 구현 못했을 거 같아서, 제 생각엔 도로주행 연수 받으시는 게 간단할 거 같네요.
24/05/24 09: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2종(오토) 면허로 오랫동안 운전해본 사람이 1종 따려고 장내기능시험 보러왔다가 시작하자마자 실격되는 사례들을 예전에 면허시험장에서 직접 봤었는데 두 가지 사례가 있습니다.
1.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로 시동 걸자마자 실격(시동인지 출발인지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2. 주차(사이드) 브레이크 제대로 안풀린 상태로 출발했다가 실격
이 있었네요. 특히 2번의 경우 주행시험에서는 실격이 아니라 감점인데 장내기능에서는 곧바로 실격이라는 점(지금도 마찬가지겠죠)하고, 면허시험장(학원) 차량이 상태가 구리다보니 응시자는 사이드 브레이크를 다 내려서 풀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안풀린 상태였다는 점... 그래서 응시자가 감독관하고 엄청 싸우더군요. 학원차가 구려서 그런 걸 왜 내가 불이익을 당해야 하냐고... 그래서 출발전에 반드시 계기판의 브레이크 경고등 확인해야 합니다.
goldfish
24/05/24 09:24
수정 아이콘
클러치 같이 밟으면서 운전해야 되는데 이게 사실상 양발운전이라 머리로 시뮬레이션 돌려 시험칠 정돈 아닐껄요. 제 기억으론 시동 3회(5회?) 꺼뜨리면 실격으로 알고있는데 익숙하지 않으면 진짜 툭하면 꺼집니다. 머리론 알고 있어도 한번 꺼뜨리면 바로 패닉옵니다. 크크

오르막 있는경우 수동 처음잡는 사람 열에 여덟은 한번쯤 시동 꺼뜨릴거라 생각합니다. 신호라도 걸려 정차할때마다 위기일거고... 반클러치라는 개꼼수가 있긴 한데 이 역시 한번쯤은 연습이 필요한 비기라 뭐라도 연습은 하고 들어가는걸 추천합니다.
아들셋
24/05/24 09:25
수정 아이콘
당장 필요하신게 아니시면 조금 기다리시면 될 것 같기도 합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1종 보통의 자동 면허의 비장애인 개방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2종 보통 자동을 보유한 운전자 중 7년 이상 무사고를 기록한 이력을 가진 사람을 1종 보통 자동으로 승급시켜주는 제도를 적용할 예정이다.
2024년 하반기부터 일부 면허시험장에서 시범 개방을 시작하며,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전면 시행 예정이다. 자동변속기 트럭으로 시험을 보는 것과 기능 시험에서 가속 및 기어변속 코스에서는 기어변속이 빠지고 20km/h 가속만 시행되는 것 외에 모든 사항, 즉 점수 커트라인, 10년 주기 갱신[34], 적성검사 등은 현행 1종 보통과 동일하게 적용될 예정이다.
시린비
24/05/24 09:45
수정 아이콘
클러치는 감각이라, 아무연습없이 단번에 하기는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반클러치, 살살떼기 뭐 이것저것...
24/05/24 10:24
수정 아이콘
클러치 때문에 시뮬레이션만 돌려서는 합격 하기가 생각보다 많이 어렵습니다.
생겼어요
24/05/24 10:46
수정 아이콘
처음 면허 취득할땐 시야 문제로 2종보통 보다는 1종보통이 오히려 쉬운데, 요새 스틱 차량이 거의 없다시피 해서 클러치 감각을 때문에 몇 번 해볼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근데 운전 하시던 분이라 결국 금방 하시긴 할거에요.
24/05/24 11:32
수정 아이콘
클러치와 변속(에 이어지는 시동꺼짐)이 문제지 운전 자체는 특별히 다른게 없습니다. 저게 큰거긴 하지만요.
다만 기능에서는 소위 합격을 위한 통과 공식이 달라서 감점 한 번 당하기 시작하면 어어 하다 탈락하는 경우도 종종 봤습니다.
24/05/24 11:42
수정 아이콘
2종 수동이시라면 그냥 하셔도 될거지만,
수동을 아예 안해보셨다면 그냥 통과하긴 어렵습니다..
극단적으로 정말 모르시는분들은 출발도 못할텐데;;
항정살
24/05/24 11:46
수정 아이콘
반클러치를 배우셔야 하죠
24/05/24 12:21
수정 아이콘
2종 보통면허 소지자가 7년 무사고 경력이 되면 신청할 경우 1종 보통으로 그냥 업그레이드(?) 되는 걸로 압니다. 제가 그렇게 했습니다.
2종 보통 면허 따고 장농에 15년 놔뒀는데 1종 신청하니까 됐어요.;;
면허증엔 2종보통 1종보통 다 적혀서 나옵니다.
마술사
24/05/24 14:25
수정 아이콘
현재 갖고있는 면허가 2종보통인가요 2종오토인가요?
보통이면 1종보통 쉽습니다.
오토면 1종보통 어렵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1239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9] 유스티스 18/05/08 122140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013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04385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54151
176701 [질문] 전설의전당 패스 경험치 질문드립니다 [1] 살려는드림307 24/06/17 307
176700 [질문] 체력이 극도로 떨어져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8] 모찌피치모찌피치691 24/06/16 691
176699 [질문] 1인당 국민총소득은 인플레이션이 반영된 수치인지요...? [1] nexon462 24/06/16 462
176698 [질문] [기타] 요즘 할만한게임 머있나요? [35] 나라미979 24/06/15 979
176697 [질문] 채권 가격은 경기 상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지요..? [6] nexon943 24/06/16 943
176696 [질문] 연말에 rtx5090 나오면 4090중고가는 얼마가 될까요? [10] 붕붕붕1061 24/06/16 1061
176695 [질문] 스크린샷 혹은 이미지파일을 A2 / A1 싸이즈로 인쇄 가능할까요? [3] 79년생867 24/06/16 867
176694 [질문] 온라인 게임의 시스템을 파괴한 사례가 어떤게 있을까요? [11] Golden1634 24/06/16 1634
176693 [질문] 꼰대스럽지만 지켰을 때 좋은 인상을 주는 행동? [16] 칭찬합시다.1881 24/06/16 1881
176692 [질문] 웨이터 서빙으로 인한 다이어트 실험?논문? 아시는분 있나요? [3] Ahri1733 24/06/16 1733
176691 [질문] 허각과 비슷한 한국 발라드 가수 누가 있을까요? [15] 모나크모나크1702 24/06/16 1702
176690 [질문] 협이 있는 웹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30] 닉언급금지1627 24/06/16 1627
176689 [질문] 대게, 랍스터 류 좋아하시는/싫어하시는 분들께 질문 [28] 마포구 보안관1642 24/06/15 1642
176688 [질문] 주말 마실용 쏘카 vs 스쿠터 [10] 사람되고싶다1338 24/06/15 1338
176687 [질문] 발통증-> 다리하부 통증 부음 상담 [7] 한지민짱622 24/06/15 622
176686 [질문] 초보 운전자 접촉사고 났습니다. 정비 관련 질문 [10] 제노스브리드1182 24/06/15 1182
176685 [질문] 인터넷 티비 설치 전에 샤시 타공 여부 알 수 있나요? [4] 비볼876 24/06/15 876
176684 [질문] 어느 어플, 웹사이트에 가입했는지 알 수 있는 사이트가 있나요? [6] 시라노 번스타인1596 24/06/15 15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