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5/21 19:37:23
Name 렙터
Subject [질문] 요즘 학생들한테 삼국지는 어떻게 받아들여질까요?
8090년대생들이야 말할것도 없이 유비!관우!장비! 만화부터 시작해서 이문열삼국지, 고우영 삼국지, 코에이 삼국지, 천지를먹다 등등 온갖가지로 즐기는 컨텐츠였었죠. 그래서 관우가 상식이냐 아니냐 같은 개드립부터 방구석여포 가정의날 마속 클템 대장군 드립 등등 삼국지에서 나온 관념들이 아직도 잘써먹고 있는데 0010년대 생들은 그전 세대랑 다르게 삼국지가 인기있을만한 요인이 많아 보이진 않아보여요. 당장 독서부터 취미로는 사양세인 느낌이라.

그래도 인터넷에선 삼국지 드립이 잘 통용되는데 이게 단순히 넷 주류가 3040이 될정도로 노령화가 되서인지 아니면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요즘 세대들도 삼국지에 어느정도 익숙해서인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5/21 19:44
수정 아이콘
저희 초등학생인 아들은 학습지용 태블릿에 삼국지 애니메이션이 나와서 그거 보고 저보다 인물이나 디테일에 대해서 잘(...) 알더군요. 플래시 애니메이션 수준이긴 합니다만...
24/05/21 19: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론 게임 삼국지를 어느 수준까지 접하냐가 더 클 거 같습니다 크크크크
저도 삼국지 좋아하지만 60권 만화삼국지는 대충보고
삼국지 겜 하다가(조조전 포함) 나중에 파고들기 시작한 케이스거든요
24/05/21 19:48
수정 아이콘
소설로 접하는 경우 특정 주인공 중심으로 진행되는 게 아니라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인물의 이야기가 얽히듯 진행되다보니 내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는 느낌입니다.
24/05/21 20:21
수정 아이콘
어린 나이에 소설의 재미에 바로 빠져들기는 쉽지 않고
게임이나 만화 같은걸로 접해서 관심이 깊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확실히 요즘은 옛날보다 덜하긴 하겠죠
카바라스
24/05/21 20:32
수정 아이콘
침착맨 삼국지보고 어린애들이 간손미밖에 모른다고 슈카가 한탄아닌 한탄하는걸 본적있긴합니다 크크. 그래도 웹툰이나 게임으로 꾸준히 컨텐츠화 되고있긴하죠. 대차게 말아먹긴했어도 삼국지톡이나 삼탈워도 한때 상당히 잘나갔으니
24/05/21 21:58
수정 아이콘
제 세대에서 삼국지 인기에는 코에이 게임이 한 몫했다고 생각하는데.. 요새 코에이 삼국지 게임이 영 아니라서 시들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제발 조조전같은거 하나만 더 내주지
Blooming
24/05/21 22:03
수정 아이콘
중딩 딸에게 물어보니 관우랑 여포가 의형제 아니냐고 하네요....
及時雨
24/05/22 19:05
수정 아이콘
유비 우승
짐바르도
24/05/21 22:24
수정 아이콘
24/05/21 22:32
수정 아이콘
침착맨 삼국지말곤 잘 모를듯...
24/05/21 22:52
수정 아이콘
코에이야 똑바로 하자..
게임 없이는 파급력이 약할거 같아요
도들도들
24/05/21 23:09
수정 아이콘
삼국지소설 네 번 읽은 저보다 코에이 게임만 한 동생이 삼국지 장수들과 스토리를 더 해박하게 아니까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5/21 23:46
수정 아이콘
이젠 진짜 관우 아세요? 가 진지한 질문이 될지도 크크
지니팅커벨여행
24/05/22 10:58
수정 아이콘
11살 조카가 삼국지 마니아인데 만화 삼국지 보고 빠져들더라고요.
장난감 선물도 사주고 했는데 저랑 이야기하면 대화가 잘 통합니다 흐흐흐
24/05/23 01: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래도 아동용 만화나 애니로 콘텐츠가 계속 나오긴 하나보네요. 하긴 콘텐츠 생산자들이 삼국지 세대이긴하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736 [질문] 혹시 돈 질문해도 될까요 20대분들 저축 어떻게 하고계시나요 [43] 마그데부르크2821 24/06/19 2821
176734 [질문] 장호항에서 스노클링 해보신 분 계신가요?? [7] 원스1582 24/06/18 1582
176733 [질문] 온게임넷 과거 스타크래프트 다큐멘터리 관련 질문입니다. [1] 구아바구아바1333 24/06/18 1333
176732 [삭제예정] 주식 리딩방에서 몇억대 사기를 당한 분이 계신데, [26] 안녕!곤3710 24/06/18 3710
176731 [질문] 한쪽 시력이 안 좋은 사람은 vr 기기를 쓰기 어려울까요? [7] TheLasid1414 24/06/18 1414
176730 [질문] 러닝 초보가 질문 드립니다. [10] 테오도르1198 24/06/18 1198
176729 [질문] 야구룰 질문입니다. [10] cherish1124 24/06/18 1124
176728 [질문] 헤드폰 좋은거 한번 사봤는데 [14] 샤한샤1365 24/06/18 1365
176727 [질문] 명동,동대문 근처 질문 [7] 한지민짱489 24/06/18 489
176726 [질문] 안구건조 극복하신 분 있나요? [24] 탄야1123 24/06/18 1123
176725 [질문] 신세계 롯데 본점 샤넬 본점 매장 방문 문의 [17] 오징어개임1300 24/06/18 1300
176724 [질문] 일본에서 한국의 스타크래프트1과 같은 포지션인 스포츠 종목은 뭐가있을까요? [14] 보리야밥먹자1791 24/06/18 1791
176723 [질문] 환경(지구온난화, 기후변화) 관련 다큐멘터리, 책 추천 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4] 라온하제695 24/06/18 695
176722 [질문] 사람 심리 질문입니다. [22] 짐바르도1717 24/06/18 1717
176721 [질문] 부동산 질문입니다. [10] 교자만두1225 24/06/18 1225
176720 [질문] 몇 가지 질문 드려봅니다. [8] 아케르나르845 24/06/18 845
176719 [질문] 차 사면 활동반경 넓어지고 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 [52] 사람되고싶다2404 24/06/18 2404
176718 [질문] 다음 내용이랑 비슷한 전개의 소설이 있을까요? [5] 20060828809 24/06/18 809
176717 [질문] 인바디 , 운동, 식이 고민입니다 [2] 속보650 24/06/18 650
176716 [질문] 단식 35시간 중입니다. 단식 전문가 있으실까요? [8] 선플러1397 24/06/18 1397
176715 [질문] 치과 선택 기준 등 여쭙니다. [12] 라니안1653 24/06/17 1653
176714 [질문] 교통사고 관련 질문입니다. [4] 더미짱1337 24/06/17 1337
176713 [질문] 이 곡의 제목이 뭔가요? [5] 마스터충달1463 24/06/17 14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