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4/26 22:33:51
Name LG의심장박용택
Subject [질문] 금투세는 일반적인 전국민 찬성률? 의견은 어떨까요?
1) 민주당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 부자들 혹은 상위권 트레이더 들에 대한 세금이다
-> 나는 상관없고, 조세 정의 차원에서 찬성!

2) 반기 원천징수, 건보료 상승 등 여러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임.
제도적인 보완이 일부 필요하지만 수입이 있는 곳에 세금은 당연! 그러나 보완을 하자

3) 맛없는 밥집(KOSPI)이 음식 가격까지 올려버리면, 누가 먹으러 오겠는가..
시장 자체의 매력도가 떨어지고, 제도적 문제 등도 많아 보이니. 철폐하자!

4) 금투세 그게 뭔데 저 JR 들이여? 난 몰라 알아서들혀~

어느 정도 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4/26 22:35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따지면 4번일걸요...
NoGainNoPain
24/04/26 23:29
수정 아이콘
오늘 발표된 갤럽 여론조사에서는 금투세 찬성 여론이 높게 나왔습니다.
물론 이런 사안에서는 여론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실행해야 하는 정책인 건 아닙니다.
24/04/26 23:57
수정 아이콘
1-45, 2-10, 3-35 예상합니다.
10%는 기타.
예컨데
저는 3의견에 금투세 도입은 미국장으로 이탈 뿐만 아니라
투자자산으로서 부동산(특히 최근 공시지가 조정 등 세제혜택 많이 준 상황)을
더 권장하는 사회로 가게되는 효과를 가져올거라고 생각합니다.
덴드로븀
24/04/27 00:48
수정 아이콘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476
[데일리 오피니언 제582호(2024년 4월 4주) - 경제 전망, 금융투자소득세 (4월 통합 포함)]
[금융투자소득세] 시행해야 한다 44%, 시행하지 말아야 한다 38%
· 주식 투자자 사이에서도 찬반 분분
· 생활수준 상/중상층, 사무직 종사자 절반가량 현재 주식 투자 중

해당 여론조사 참고해보시면 됩니다.
24/04/27 01:00
수정 아이콘
일단 PBR 1이하 회사들 다 조지고 시작하면 인정합니다..
24/04/27 02:07
수정 아이콘
지금도 국장을 해야 하는 이유를 1도 못찾겠는데 금투세까지 생기면 누가 국장 할까요
24/04/27 04:25
수정 아이콘
공매도 좀 다시 풀어주지 하이브 뉴스 나와도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되니 국장 요즘에는 쉬고 그냥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있는데...
이러니까 msci 선진국 지수에 들어가질 못 하지...
지구사랑
24/04/27 09:14
수정 아이콘
일단 현재 법안 자체가 졸속입니다. (2 항은 심각한 사안입니다.)
계좌 하나만 인정이 되고 다른 계좌들은 원천징수 후 나중에 정산한다니 주식을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입법한 티가 너무 나죠.
아무리 개미라도 계좌 하나만 갖고 있는 경우는 드물죠. 하물며 원천징수라니 이 무슨... 하물며 건보 산정에도 포함한다고?

본 금투세가 부자에 대한 증세도 아닌 것이 대주주는 이미 양도세를 내고 있기에 상관 없고 중간에 애매하게 위치한 투자자만 타격하는 법입니다.
전업 투자자가 아니더라도 투자 자산 규모가 일이 억만 되어도 좋은 장이 오면 수익이 오천 이상 나올 텐데 바로 대상이 되죠.
금융소득 종합과세 커트라인이 낮아지는 역사를 보면 금투세도 일단 도입되면 지금의 오천이 향후 낮아질 가능성이 높은 것은 덤입니다.

사족을 붙이자면 주식과 경쟁하는 대표적인 자산이 부동산인데 현재 법안에는 장기 보유 혜택도 없습니다.
전 정부의 부동산 실정을 넘어서는 실정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앨마봄미뽕와
24/04/27 09:32
수정 아이콘
타겟이 누구든 미장에 비해 이득이 없어지는거니 주가에 영향이 가리라 봅니다.
24/04/27 10:17
수정 아이콘
부자증세 타이틀이 붙으면 대다수의 국민들은 당연히 찬성합니다.
별다른 이유나 세부내용이나 이런것도 필요없고 예상되는 부작용도 그다지 관심이 없어서요.
각각의 정당에서 추진하는 정책도 거의 비슷한 결이죠.
반대하면 집단이기주의, 밥그릇이 그렇게 중요하냐 뭐 그런식으로 프레임이 짜여져버리니.
셧업말포이
24/04/27 11:36
수정 아이콘
현대식 인민재판이죠.
거위 배가르는 거 생각 못하고.
항정살
24/04/27 12:48
수정 아이콘
주식 안 하는 입장에서 오천 벌면 세금 당연히 내야하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24/04/27 13:10
수정 아이콘
1이나 4는 주식 안하는 일반 서민들 의견일거고, 
조금만 국장 투자해본 사람이면 3이죠
아직 시기가 너무 이릅니다
이정재
24/04/27 13:52
수정 아이콘
국장 알면 오히려 1이 많을거같은데
24/04/27 16:35
수정 아이콘
대주주는 이미 세금을 내고 있기 때문에 부자 증세는 아니다라고 하기에는 이번 정권이 대주주 조건을 10억에서 50억으로 왕창 올려 버렸죠. 그래서 그 동안 몇십억씩 주식 투자해서 억대 이상으로 벌어 간 사람들은 세금 한 푼도 안내고 희희낙락 했을 것 입니다. 괜히 돈 많은 사람들이 국민의 힘 지지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그 이전 대주주 조건이 10억이었을 때는 멀쩡한 세금이었냐고 물으면 그것도 아닙니다. 세금을 딱 연말 하루동안 10억 이상을 가지고 있었는지 아니었는지 0 또는 1 디지털로 정하다보니 연말에 멀쩡히 가지고 있는 주식을 팔았다가 다시 사는 웃기지 않는 촌극이 벌어지곤 했었죠.

금투세처럼 대주주인지 아닌지 구분하지 말고 일정 금액 공제한 다음 공평하게 양도세를 매기면 해결되는 문제입니다. 세율도 종합소득 과세나 금융소득 종합과세의 누진세율과 비교하면 낮습니다.
수지짜응
24/04/27 17:41
수정 아이콘
손해도 이득도 안보는 사람이 90%라고 해서
실질적으로 손해보는 10% 사람이 참아야 되는게 민주주의가 맞나요??
바람돌돌이
24/04/27 18:26
수정 아이콘
그냥 미국처럼 연말에 정산하고 소득세 물리면 되는거 아닌가요? 소득세율을 미국보다 좀 낮게 하면 될거 같은데요.
24/04/28 16:10
수정 아이콘
지금도 국장이 미장보다 구려서 미장으로 다들 투자하라는게
국룰재태크인데
(S&P부터)
금투세까지 하면 국장은 더 할 이유가 없죠

현 시대는 글로벌시대라서 상대비교도 중요한건데..
24/04/28 17:53
수정 아이콘
의대증원과 비슷한 관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부작용따윈 알바 없는 하향평준화 포퓰리즘. 당연히 찬성률은 높을거에요.
김소현
24/04/30 21:12
수정 아이콘
금투세 있으면 국장할 이유가 1도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341 [질문] 깔창 끼고 점프하면? [8] 만원의행복940 24/05/22 940
176340 [질문] 1년 중고차 탈때 제일 감가상각 없는 차 추천요청 [14] 1315 24/05/22 1315
176339 [질문] 아이폰 입문용 꼬다리 케이블 일체형 OTG 케이블 젠더 추천받습니다. [1] Pika48489 24/05/22 489
176337 [삭제예정] [대학원 질문] 학술대회, 학술 논문지 질문 [8] 싸구려신사938 24/05/22 938
176336 [질문] 전남 해남쪽 숙소 문의드립니다. [2] 쉬군740 24/05/22 740
176335 [질문] 50대 남자 테니스 초보 라켓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고우 고우1027 24/05/22 1027
176334 [질문] 국제학회 세션이 터질 상황인데 어떻게할까요? [13] 다크템플러1713 24/05/22 1713
176333 [질문] 신혼집 위치 추천부탁드립니다 [22] 노암2279 24/05/22 2279
176332 [질문] 트리플 모니터용 본체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10] Red Key907 24/05/22 907
176331 [질문] 잠실새내 맛집or카페 추천부탁드립니다. [5] 하우스룰즈1567 24/05/22 1567
176330 [질문] 8인치 저가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호떡집2086 24/05/22 2086
176329 [질문] 얼굴이 얼얼합니다. [8] Hubris2280 24/05/21 2280
176328 [질문] 초보운전 아내 중고차 선택 관련 질문 [23] 산산물물2328 24/05/21 2328
176327 [질문] 방 분리를 위한 책상 침대 배치 문의 [9] Kaestro1958 24/05/21 1958
176326 [질문] 요즘 학생들한테 삼국지는 어떻게 받아들여질까요? [15] 렙터1980 24/05/21 1980
176325 [질문] 구글플레이스토어 정기결제가 어디인지 확인가능할까요? [7] 기다리다1300 24/05/21 1300
176324 [질문] 퀵쉐어(컴-폰) 전송속도 질문드립니다. 스핔스핔923 24/05/21 923
176323 [질문] 순토 워치 질문 [3] 앵글로색슨족949 24/05/21 949
176322 [질문] 사업자 등록증 상의 사업자와 실제 운영자가 다른 경우의 불편 [5] Tigris1258 24/05/21 1258
176321 [질문] 부모님 모시고 가려는데 발산역 근처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캐로802 24/05/21 802
176320 [질문] 크롬 OS 노트북 쓰는데 불편함 없나요? [6] 김세정661 24/05/21 661
176319 [질문] 결혼 10주년 선물 준비하려 합니다. 도와주세요 [36] 진아린롱1410 24/05/21 1410
176318 [질문] 중고차 구매 고민입니다. [4] 최종병기그녀908 24/05/21 9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