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4/24 14:22:38
Name 콘칩콘치즈
Subject [질문] 아이명의 통장에서 아이 학원비 이체시 증여세 신고가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아이이름의 통장을 만들어 1500만원가량을 증여했고 증여세신고를 마쳤습니다.

원래계획은 아이가 성인이될때까지 그냥 둘 생각이었으나...아이가 크면서 학원비 지출을 많이 해야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아이 통장에서 돈을 빼서 제 통장으로 옮기면 당연 증여세 신고를 해야할텐데요. 학원으로 바로 송금해도 뭔가 신고를 해야할까요?

경험이나 지식을 좀 나눠주십시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플토의부활乃
24/04/24 16:41
수정 아이콘
1500만원까지는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되지 않나요...?
콘칩콘치즈
24/04/24 16:4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10년 2천만원인데, 증여이후 10년이 아직 지나지 않아서요...
타츠야
24/04/24 17:15
수정 아이콘
아이 계좌에서 다시 옮기는 것이니 수증자와 증여자가 바뀌니 증여 면제한도는 두 개가 별개 아닌가요?
콘칩콘치즈
24/04/25 09:09
수정 아이콘
아하 감사합니다!
24/04/24 17:02
수정 아이콘
전문가가 아니라서 조심스러운데
지돈 지 학원비에 쓰는걸로 태클이 걸릴까 싶습니다.
콘칩콘치즈
24/04/24 18:4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절대불멸마수
24/04/24 17:05
수정 아이콘
1. 증여는 받는 사람 기준 과세입니다.
콘칩콘치즈님이 콘칩콘치즈주니어에게 준 1500만원은 증여가 끝났습니다.
콘칩콘치즈주니어가 콘칩콘치즈님에게 100만원을 다시 준다면, 이는 별개의 증여거래입니다.

직계비속으로부터 증여받을때 5000만원까지 공제됩니다.

2.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생활비는 증여재산으로 보지 않습니다.

3. 요약하면, 절대 증여로 과세될 우려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또, 주니어가 다니는 학원비를 주니어가 직접 내는 것은, 어느 관점으로 봐도 부모에대한 증여로 보기 어렵겠습니다.
24/04/24 18:26
수정 아이콘
문득 궁금해졌는데 사회통념상 증여로 보지않는 생활비가 한달기준 얼마정도인가요?

당사자의 소득수준같은거에 따라 고무줄인지 아니면 적당한 가이드라인같은게 있는지 궁금해요
절대불멸마수
24/04/24 20:28
수정 아이콘
고무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쪽을 깊게 알고 업무해본것은 아니라서 더 자세한 설명은 어렵습니다.
콘칩콘치즈
24/04/24 18:4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972 [질문] 혹시 댓글에서 엔터키 안눌리시는 분 있나요? [12] 라이징패스트볼3098 24/04/28 3098
175970 [질문] 블랙핑크 노래 찾습니다 [3] 월터화이트3335 24/04/27 3335
175968 [질문] 뉴징스 앨범 뽐뿌가와서 질문 [5] HolyH2O3020 24/04/27 3020
175967 [질문] 아버지 핸드폰 추천부탁드립니다! [11] 유니꽃3680 24/04/27 3680
175966 [질문] 세면대 폽업 배관을 그라인더로 잘라야 하는데 [8] 블랙리스트3956 24/04/27 3956
175965 [질문] (요리)찌개에 들어가는 국거리용 소고기가 조리후 먹어보니 딱딱해서 질문드립니다. [13] 보로미어3249 24/04/27 3249
175964 [질문] 임차권 등기 관련 궁금한 점 [15] 3439 24/04/27 3439
175963 [삭제예정] 사기 의심 사항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8] 삭제됨3827 24/04/27 3827
175962 [질문] LOL) 원딜은 피지컬 딸리면 비추하는 라인인가요? [21] jip4951 24/04/26 4951
175961 [질문] 금투세는 일반적인 전국민 찬성률? 의견은 어떨까요? [20] LG의심장박용택3838 24/04/26 3838
175960 [질문] 다이어트 하시는 분들께 물어보고 싶은 증상이 있습니다. [9] 독각3333 24/04/26 3333
175959 [질문] 시트커버형(?) 통풍시트 쓸만 할까요? [3] 친친나트2768 24/04/26 2768
175958 [질문] 맛있는 뼈치킨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미카3851 24/04/26 3851
175957 [질문] 서울에서만 맛볼 수 있는 음식이 있을까요?(혼밥) [27] 사람되고싶다3523 24/04/26 3523
175956 [질문] 갤럭기 s8 빅스비 키 비활성화 하는법 없나요? [5] 제니2809 24/04/26 2809
175955 [질문] 고1 수학문제 하나 질문드립니다 [7] 파이리3019 24/04/26 3019
175954 [질문] 부산 부모님 모시고 갈만한 식당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콘초3089 24/04/26 3089
175953 [질문] 자전거 안장 좀 여쭤봅니다. [1] 아케르나르2300 24/04/26 2300
175952 [질문] 유산소 운동후 손톱/입술이 보라색으로 변하는 현상 [15] Lord Be Goja3202 24/04/26 3202
175951 [질문] 분당~판교에서 출발하는 드라이브 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버드맨2691 24/04/26 2691
175950 [질문] 자동차 이정도 긁힌거는 얼마정도로 합의하나요? [13] 황신강림3511 24/04/26 3511
175949 [질문] 43인치 티비 추천부탁드립니다!! [1] 언니네 이발관2398 24/04/26 2398
175948 [질문] 자전거 전동 펌프 질문입니다 [1] 레드드레곤~2356 24/04/26 23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