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4/22 22:50:03
Name 서귀포스포츠클럽
Subject [질문] 프로스포츠들의 극적인 기술적 진화가 있을까요? (수정됨)
요즘 테니스 치면서 드는 생각인데

20년?전만해도 이스턴 그립쥐고 플랫으로 스트로크를 넣었다면 지금은 세마이웨스턴 쥐고 탑스핀으로 치는게 대세잖아요

그래서 테니스장 고인물 할아버지들보면 여전히 구시대 방식으로들 치시더라고요

이런게 10년 20년 후에는 또 극적으로 변하려나요?

축구나 야구 그리고 농구도 뭔가 기술적으로 극적인 변화가 생길 수 있을런지 궁금합니다

야구는 발사각 이론이랑
커터랑 스위퍼로 이어지는 투수들의 진화가 있어보이는데
10년 후에는 모든 투수들이 너클볼만 던진고 있다거나 하는식의 메타 변화가 없으려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4/22 22:56
수정 아이콘
너클볼은 뭐 사실상 계승이 안되고 있어서...그건 무리일겁니다...대충 한두번 딸깍 쓰는거를 넘어서 너클볼 전문이라 할 만한 선수는 메쟈에서도 몇 없었는데요...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2 23:0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뭔가 투수들의 구속 경쟁이 팔꿈치나 내구성에 무리가 많이 온다고 해서 역으로 저런 시대가 올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봤습니다 흐흐
닉네임을바꾸다
24/04/22 23:02
수정 아이콘
아무리 그래도 던지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어디로 갈지 모르는 너클볼이 메인이 되는건 크크 포수가 죽어날겁니다...
24/04/22 23:41
수정 아이콘
너클볼의 알려진 단점은
1. 제대로 구사했더라도 구사하는 순간의 경기장의 공기 흐름에 따라 제구가 운빨망겜이 된다
2. 아무리 변화무쌍한 너클볼이라 하더라도 구속이 너무 느리면 타자들의 먹잇감이 될수 있기에 구속을 어느 정도는 올려야 하는데, 문제는 구속과 너클볼 특유의 느린 회전수는 상반된 성질이라 동시에 갖추기 매우 어렵다.
3. 의외로 신체조건을 탄다. 강한 악력, 긴 손가락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너클볼 구사 메커니즘이 타 구질과는 매우 다른지라 너클볼 구사에 익숙해 지면 되려 다른 구종을 익히기가 어려워진다.
정도라 메타에 관계없이 구사하기가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포수 문제는 그래도 ABS 도입으로 프레이밍이 필요없어지는지라 좀 덜해질것 같긴 합니다만...
서린언니
24/04/23 09:59
수정 아이콘
거기에 더해서 포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용포수가 필요하지요
덕 미라벨리가 퇴물이 되었는데도 웨이크필드 너클볼 받아주기 위해서
메이저 엔트리에 있었죠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0:29
수정 아이콘
미트랑 복대(?)를 크게하는 방법으로는 무린가요 흐흐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0:2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너클볼도 너무 느리면 안되는구나...
이야기상자
24/04/23 16:52
수정 아이콘
가장 최근에 성공했던 너클볼러인 RA디키가 너클볼로 130이 나왔습니다
130이면 일반인은 던지는 사람은 없는게 당연하고
사회인야구에서도 1부는 가야 볼 수 있는 구속이에요 꽤 구속이 중요합니다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7:09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손금불산입
24/04/22 23:51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는 그런게 많았던 것 같네요 뮤탈뭉치기라던가...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0:28
수정 아이콘
배럭입구막기가 진짜 컬쳐쇼크 였는데
24/04/23 00:45
수정 아이콘
ai 발달로 인해 변화가 많이 생기지 않을까 싶습니다.
PARANDAL
24/04/23 03:21
수정 아이콘
최근 팀게임에서 바뀐건 통계, 데이터가 중요해졌다는거 아닐까 싶네요. 20년쯤 전부터 바뀌기 시작해서 이젠 AI를 이용해서 더 다양한 데이터를 뽑아낼수 있어서 많이 활용되고 있죠. 아마 기술적인 부분에도 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페로몬아돌
24/04/23 09:17
수정 아이콘
탁구가 아니래도 유승민이 마지막? 펜홀더 위너고 이제는 없어진거?
interconnect
24/04/23 09:22
수정 아이콘
제가 좋아하는 스포츠 한정으로 느낀 건
야구에서 투수의 투구 메커니즘 혁신이랑 탁구에서 펜홀더가 마이너가 된 것이네요.
20060828
24/04/23 09:23
수정 아이콘
골프도 트렌드가 있더라구요.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0:27
수정 아이콘
오 그러고보니 퍼터 같은거 기괴하게 생긴거 쓰는걸 본 것 같기도
Starscream
24/04/24 09:29
수정 아이콘
장척퍼터를 몸에 붙이지 못하게 룰이 바뀌기도 했어요.
골프도 사실 다 같아 보이지만 스윙이론 그리고 무엇보다 선수들의 트레이닝법 거기에 장비의 진화(특히 볼)로 비거리가 엄청 늘어났습니다.
40대 중반인 타이거우즈가 만신창이의 몸으로 20대 팔팔한 시절보다 비거리가 더 나오고있어요.
따라서 투어를 진행하는 코스들은 해마다 개조를 해서 거리를 늘리는데 그것도 한계가 와버려서 이제 다시 룰개정을 통해 공의 반발력을 줄일 예정입니다. 이미 여러번 공이나 클럽의 반발계수를 제한해왔는데 그 이상으로 장비의 기술 선수들의 신체능력 제고가 더 커서요.
24/04/23 09:28
수정 아이콘
전신수영복?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0:22
수정 아이콘
그것도 그렇네요!
카즈하
24/04/23 09:29
수정 아이콘
높이뛰기에서 배면뛰기가 발견된 정도의 혁명적인 발전은, 이제 인체개조가 아닌이상 힘들지 않겠습니까?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0:26
수정 아이콘
그런 혁명 없을까요!
제가 테니스 쪽만 관심있어서 그런데
포핸드도 투핸드로 치는 교육도 있는 듯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4/23 09:50
수정 아이콘
스위칭 투구 가즈아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0:27
수정 아이콘
진정한 원투펀치!!
근데 이런것도 어릴 때 교육하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은데 흐흐
이야기상자
24/04/23 16:55
수정 아이콘
그럼 테니스도 스위칭 포핸드하면 더 강력하지 않을까요? 크크
서귀포스포츠클럽
24/04/23 17:09
수정 아이콘
제가 테니스 처음 칠 때 궁금해서 질문글 올렸는데
시각동기화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흐흐
마그네틱코디놀이
24/04/23 17:33
수정 아이콘
축구는 전술적 유행, 야구는 구종의 유행.
야구는 스위퍼라는 구종이 화제고, abs 적용으로 커브가 유리하다는 말이 많죠.
배글이
24/04/24 07:37
수정 아이콘
프로농구 한정으로 20년전하고 지금하고 상당히 다르죠 지금은 센터도 3점을 던져야하는 시대!
24/04/24 08:26
수정 아이콘
종합격투기요
초창기에는 주짓떼로의 강세에서 현재는 다게스탄 레슬링으로 불리는 기술들이 지배하고있고
스트라이커의 경우에도 초창기 킥복싱위주의 기술에서 현재는 mma식 카프킥,바디잽으로 이어지는 레벨체인지 타격으로 발전하고있죠
요약하자면 하빕,마카체프의 다게스탄식 레슬링
페레이라,볼카노프스키가 완성한 레벨체인지 타격으로 들수있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290 [질문] 신혼여행으로 발리와 카오락 어디가 나을까요? [13] 욱쓰3035 24/05/18 3035
176289 [질문] 스타크래프트2 컨텐츠 관련 질문입니다. [3] 일월마가2042 24/05/18 2042
176288 [질문] 닌텐도 스위치용 스포츠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산밑의왕2180 24/05/18 2180
176287 [질문] 최근 맥북 트랙패드 먹통 되신 분들 있나요? Carliot882 24/05/18 882
176286 [질문] 책상 하부 가리는 가림판 제품이 있을까요? [1] Ellun1076 24/05/18 1076
176284 [질문] 자동차 전조등 칸델라 이거 정상인가요? [3] 앗흥1003 24/05/18 1003
176283 [질문] 손바닥을 펴서 마주보게 한 후 교차로 둥글게 돌리다보면 서로 밀쳐내는 힘이 느껴지는데 무슨 원리인지 궁금하네요 [8] 소오강호1398 24/05/18 1398
176282 [질문] 해외여행 가시면 얼마나 걸으시나요? [12] 종이컵1251 24/05/18 1251
176281 [질문] 치앙마이 지리 아시는 분 계신가요? 모찌피치모찌피치674 24/05/18 674
176280 [질문] 밀알시스템에 메인보드 수리할려고 합니다 틀림과 다름568 24/05/18 568
176278 [질문] 해오름극장 시야 잘 아시는 분! 띠우966 24/05/18 966
176277 [질문] 주말인데 개꿀잼 소설 하나 추천받고 싶습니다. [4] 짐바르도1310 24/05/18 1310
176275 [질문] 퇴직금을 IRP 계좌로 받았습니다. 해지하고 퇴직소득세를 낼지.. 아니면 운용하여 연금소득세 내를 낼지 고민입니다 [12] 마스쿼레이드3456 24/05/17 3456
176274 [질문] pc견적 질문입니다. [4] 죽음불꽃소나기1900 24/05/17 1900
176272 [질문] 혹시 영양제 갑자기 많이 먹으면 두드러기?알러지? 날 수 있나요? [5] Alfine2267 24/05/17 2267
176271 [질문] 보이스피싱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6] 허느1864 24/05/17 1864
176270 [질문] 스타1 설치 문의드립니다. [9] 유니꽃1332 24/05/17 1332
176269 [질문] 호텔 돌잔치 축의금? 질문입니다. [7] 돈테크만1589 24/05/17 1589
176268 [질문] 샵백 vpn 100퍼 캐시백은 왜 하는 건가요? [3] 그때가언제라도1073 24/05/17 1073
176267 [질문] 알리 직구 질문입니다 [2] 원주민877 24/05/17 877
176265 [질문] [스타2] 경기를 찾습니다 Liberation637 24/05/17 637
176264 [질문] 일본 세금쪽 관련 문의및 아마존매출 수령시 영세적용 질의 [1] 마인부우615 24/05/17 615
176263 [질문] 딸 소변검사 결과인데 특별한 문제가 있는 걸까요? [4] 삭제됨1379 24/05/17 13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