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3/03 18:58:23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북한이 미국 유럽급 저출산이라는게 말이 된다고 보시나요?
최근 인터넷에 북한 출산율이 2020년쯤에 1.36명까지 떨어졌다는 글이 떠돌던데 전 의심스럽던데요

애초에 평양 제외하면 피임도구조차 살 돈도 없을 정도로 비참하게 사는 사람들밖에 안 사는 나라고

아프리카 빈국들마냥 그냥 생기는대로 애를 낳지만 영아사망률과 위상상태때문에 인구가 잘 늘지 않는거같은데...

한류 어쩌고 해도 그건 평양에서도 상위 1% 특권층들의 얘기고 대다수 사람들에게는 아예 해당사항 없는 얘기일테고

사람들 대부분이 피임도구 살 돈도 없을 정도로 찢어지게 가난한 나라가 출산율이 낮다? 이건 아닌거 같은데요

그냥 북한 특성상 제대로된 통계가 나오지 않는걸 이용해서 국내 언론들이 마음대로 통계를 낸거라고 보는데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3/03 18: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 그런건 국제기구들이 추정치로 내지 국내언론이 마음대로 숫자 만들어서 내진 않을겁니다...
그리고 그정도 영양상태면 불임되기도 쉬울거라서 불가능한 수치도 아니죠...
좀 찾아보니까 한국은행이 북한이탈주민 조사로 연구해보니까 대충 비슷하게 가는거 같다고는 하네요...
보리야밥먹자
24/03/03 19:06
수정 아이콘
그정도 영양상태라서 불임되기도 쉽다면 중동과 아프리카내 최빈국들의 높은 출산율 수치가 설명이 안되죠
소독용 에탄올
24/03/03 19:18
수정 아이콘
UN 인구기금쪽 추계로는 1.78(2023), 한국 통계청 추계로는 1.61 정도가 나옵니다.
말씀하신 1.36은 한국은행 북한분석 부처 연구원이 탈북자를 모집단으로 한 설문조사로 추정한 수치일겁니다.

북한 출산추이는 고난의 행군때 급락+비공식 경체참여 증가 때문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출산 문제로 북한도 출산유도정책을 시행 하고 있습니다.
초콜릿
24/03/03 19:22
수정 아이콘
북한은 제대로 된 통계가 없어서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는 만큼, 추산에 의존할 수밖에 없긴 하겠습니다만, 그래도 명색이 UN 가입국인 만큼 UN에서 시행하는 각종 통계나 조사 프로그램에 응하지 않을까요? UN에서 발표한 북한 출산율이 1.7~1.8명대라고 보이고, 1.3명대이라고 하는 수치는 최근에 한국에서 탈북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서 얻은 수치로 보이는데요. 이건 표본의 문제가 있을 수밖에 없긴 한데, 그래도 자료에 따르면 1000명 이상의 집단을 가지고 통계를 낸 것이라 통계학적으로 아예 의미가 없다고 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어찌되었건 2가 넘지 않는다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관련 뉴스 보도에 따르면 북한에서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나는 것을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했네요.
사람되고싶다
24/03/03 19:27
수정 아이콘
출산률에 경제력이 큰 영향을 미친다지만 그걸로만 설명되는 건 또 아니라서... 문화나 사회 상황도 중요하죠. 당장 중진국 수준인 태국이나 중국 출산률이 소득 한 3배쯤 되는 일본보다도 낮은 수준인데요. 한민족의 문화가 피임 금지 기독교나 다산 장려 이슬람처럼 문화적으로 딱히 덮어놓고 다산을 장려하는 것도 아니고요.
통계가 부정확할 수는 있는데 그게 주작이라고 단정짓는 것도 섣부른 것 같습니다.
비오는일요일
24/03/03 19:42
수정 아이콘
부정할 수 있는 증거가 있는 게 아니라면 일단 국가기관이나 그에 준하는 단체의 통계를 믿을 수 밖에 없죠.
더구나 북한같이 폐쇄적인 집단을 상대로는
24/03/03 20:18
수정 아이콘
진실을 알 방법이 없으니 애 만들 힘도 없나보다 하고 넘어가는게 맘 편하긴 하죠 크크크크
공부맨
24/03/03 20:29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빈국이 피임기구가 없어서 출산율이 높다는건 오해이고
빈국이기때문에 여렇낳고 그중 특출난 자녀를 몰아줘서 가난에서 벗어나자는 관념
여성의 출산결정권 등에서 차이가 온다고 책에서 읽었습니다
김삼관
24/03/03 21:14
수정 아이콘
풍족해서 출산률이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생존위기의식이 출산률을 낮추는 것이라
실제로 빈곤해서 낮아질 수 있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왜 아프리카 중동은 상대적으로 빈곤한 곳에서 출산을 마구 하느냐 라고 물으신다면
그냥 그쪽의 문화에서는 세계와 비교하여 '빈곤하다'라는 인식이 낮을 수도 있고 종교적인 문제도 있을 수 있겠죠..
스토리북
24/03/03 22:49
수정 아이콘
김정은이 공식석상에서 "저출산을 막아야 한다"고 했으면 말 다한 거 아닐까요....?
다자녀를 낳으면 모성영웅 칭호를 하사하고, 주택도 우선해서 준다고 하네요.

그리고 아프리카와의 대표적인 차이로는,
아프리카는 여전히 여성이 출산과 육아를 전담하지만, 북한은 고난의 행군 시기부터 맞벌이가 급격하게 늘었다고 합니다.
출산율만 따지자면 가부장 사회가 당연히 높겠죠.
닉네임바꿔야지
24/03/03 23:03
수정 아이콘
다짜고짜 사람 수가 많은 게 이익이 되느냐 아니냐가 크지 않을까 싶어요. 경제가 힘들고 치안이 안 좋으면 오히려 사람 수가 많으면 뭔 수가 생기긴 생기는 거라...북한은 통제가 강한 사회라 사람 수가 많다고 이익으로 전환하기가 힘들지 않을지.
24/03/04 12:11
수정 아이콘
그냥 여성의 경제참여 여부가 출산율에 영향이 큰듯..
24/03/04 18:01
수정 아이콘
김정은이 공식적으로 '저출산을 막아야 한다'
'다자녀에게 각종 혜택을 주겠다'

저출산 대책을 위해 어머니들을 모아서 위대한 조국 어쩌고 칭송등..

을 공개적으로 진행했는데. 김정은은 저출산이 아닌데 저런 뻘짓을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3/12/09/2RE6AKPD5JB2LCDQKLLWQB4K4Y/

참고로

북한군이 128만여명이나 되는 상비병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저출산의 한 이유다. 국군은 50만여명 수준이다. 북한 인구는 한국의 절반 수준인데 상비병력은 2.5배다.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도 징병하고, 또 매우 오랜 기간 군에 복무하도록 하고 있어 이런 대규모 병력을 유지할 수 있다.

국제기구에서는 '북한이 긴 시간 군대를 유지' 하고 있는게 저출산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292 [질문] 댓글 알림 기능 어떻게 설정해야하나요? [3] 제논3589 24/03/11 3589
175290 [질문] IP 셋탑을 무선으로 스마트TV에 연결해서 볼 수는 없을까요?? [4] 트라팔가 로우5089 24/03/11 5089
175289 [질문] 영상편집용 노트북 하나만 문의드립니다 [18] 개념은?6322 24/03/11 6322
175288 [질문] 괜찮은 영어 일상 회화집 있을까요? [6] 사람되고싶다4732 24/03/11 4732
175287 [질문] 전세 묵시적 갱신에 대해서 여쭈어 봅니다. [8] 토마스에요5653 24/03/11 5653
175286 [질문] 영어공부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4] Indigo4668 24/03/11 4668
175285 [질문] 소래포구 킹크랩 시세 잘아시는분 계실까요 [8] 데비루쥐5634 24/03/11 5634
175284 [질문] 집 와이파이 연결문제 [4] 쿄우가4397 24/03/11 4397
175283 [질문] 아이핀인증 차단 문자가 계속 와서 확인해봤는데요.해킹? [4] 노래하는몽상가4840 24/03/11 4840
175282 [질문] 일본 만화계에 3대 만신으로 여겨지는 사람이 있나요? [15] 무냐고6081 24/03/11 6081
175281 [질문] 수면분석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5] EnergyFlow4266 24/03/11 4266
175280 [질문] 결혼식 너무 짧으면 좀 그런가요? [51] Alfine8644 24/03/11 8644
175278 [질문] 스마트폰 알람중에 이런 알람이 있을까요? [8] EZrock4379 24/03/11 4379
175277 [질문] 썬팅 재시공감? 판단이 안되네요 [3] 카오루4477 24/03/11 4477
175276 [질문] 휴대폰 변경 조건 [7] 모챠렐라4517 24/03/11 4517
175275 [질문]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창업 & 중간 매니저 관련) Cielo Sereno4115 24/03/11 4115
175274 [질문] 체팅과 동시에 야구중계를 볼 방법은 없을까요? [5] 펠릭스4653 24/03/11 4653
175273 [질문] 데일리 위스키 추천 부탁드립니다. [46] WhiteBerry6126 24/03/10 6126
175272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이랑 추천 구걸입니다 ㅠㅠ [2] wersdfhr5433 24/03/10 5433
175271 [질문] 유니콘 오버로드 기종문의 (PS5 스위치) [7] 니플5555 24/03/10 5555
175270 [질문] 태아보험 가입하셨나요?? 많은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24] 라붐솔빈5040 24/03/10 5040
175269 [질문] 무선 이어폰 음질 어떤가요? [11] 월터화이트4354 24/03/10 4354
175268 [질문] 파묘 내용 질문입니다 (스포일러) [8] Lord Be Goja5259 24/03/10 52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