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2/14 18:59:54
Name 서쪽으로가자
Subject [질문] 4륜구동 관련 (기아 쏘렌토 17년구매)
2017년 말에 신차로 구매한 쏘렌토 디젤 2.2 4륜 몰고있습니다.
상시 4륜 아니고, 저속시 및 필요시 혹은 버튼 누르면 작동한다는 전자식(?), 자동(?) 으로 불리는 4륜입니다.

질문은
- 버튼 눌러서 상시 4륜으로 다녀도 (고속도로 주행도) 상관없나요?
- 4륜이 눈길이나 험한 환경 외에 빗길이나 특정 환경에서 도움이 되기도 하나요?

입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Zakk WyldE
24/02/14 20: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쏘렌토의 4륜 방식이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SUV라면 연비와 가격 빼면 나머지는 다 장점이죠.

평상시에도 주행 안전성은 4륜이 더 좋습니다.
견인할때만 주의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Zakk WyldE
24/02/14 22:13
수정 아이콘
제가 쏘렌토 4륜을 안 타봐서요 꼭 설명서 보세요.
서쪽으로가자
24/02/14 22:44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설명서를 봐야겠다고 생각이 드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카페알파
24/02/14 23:18
수정 아이콘
상시 4륜이 아닌 특정조건에서만 4륜을 사용할 수 있게 해 놓은 차를 상시 4륜처럼 사용한다면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꼭 설명서를 보시고 거기에서 사용하라고 한 경우에만 사용하세요.

그리고, 4륜을 사용할 수만 있다면 아무래도 코너링이 더 안정적이 되고, 2륜보다는 극한의 상황에서 좀더 접지력이 유지되긴 합니다......만 일상적인 주행에서 4륜은 버티는데 2륜은 못 버티는 상황은 거의 없겠지요. 다만 코너링이 좀더 안정적이다보니 코너링 시 좌우 흔들림은 좀 덜할 겁니다.

또, 몇몇 이유로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같은 2륜이라도 전륜보다는 후륜이 승차감이 좋다고 하고 4륜은 그 사이정도의 승차감이라고 합니다. 즉 후륜 > (상시) 4륜 > 전륜의 순서로 승차감이 좋다는 거죠.

다만 이러한 것들은 대개 상시 4륜에 해당하는 이야기라서...... 특정 조건에서만 4륜을 쓰는 차는 어떨지 모르겠네요.
24/02/15 00: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들 잘못 알고 계시는 것 같은데, 들어가있는 전자식 4륜은 상황따라 앞뒤 토크 배분이 자동이고, 버튼 누르면 강제 5:5 배분입니다.
전자식 awd를 수동으로 5:5 사륜 만들면 시속 30인가 50인가 까지 유지되고 그 이후는 자동으로 8:2 인가 9:1로 바뀝니다.
버튼 안누른 상태에서는 전자식으로 알아서 속도와 상황(바퀴 저항에 따라) 5:5~ 9:1 상시 사륜입니다.
(반대로 10:0 전륜이 안됩니다.)

바퀴 두개이상 구덩이에 빠지거나 떠있을 때 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4/02/15 00:50
수정 아이콘
https://carmanuals2.com/get/kia-sorento-2017-111325
매뉴얼 5-22 에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찾아보니 버튼 누르면 30km/h 까지 5:5 강제 유지 가능한거네요.
제 차도 동일한 기아 awd라서 댓글 남기고 갑니다.
p.s) 매뉴얼에 나와있는 '거의 2륜' 이라고 하는게 9:1 배분이라, 10:0 이 불가해서 적혀있는 내용입니다. 이륜구동 가까울수록 연비가 좋거든요.
서쪽으로가자
24/02/15 07:34
수정 아이콘
매뉴얼보니 일반도로 주행시 고정해 놓지 말라고 되어있네요. 커브에서 부품애 무리를 줄 수 있다고.

링크 감사드립니다.
24/02/15 10:53
수정 아이콘
네. 버튼 누르는건 4륜구동 on/off 가 아니라 5:5 고정입니다.
안켜고 그냥 다니셔도 항상 4륜 켜져있는거니 믿고 타세요. 좋은 옵션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968 [질문] 예전 오락실 예의 관련 드립(?). 진지한 얘기인가요? [28] 헤나투7187 24/02/18 7187
174967 [질문] 라면 샀는데 스프가 안 들어있을 때 [4] 새님6415 24/02/18 6415
174966 [질문] 9급공무원 주민센터 창구업무 [14] 방구차야6854 24/02/17 6854
174965 [질문] 윈도우용 오프라인 위키 프로그램 있나요? [4] 삭제됨5239 24/02/17 5239
174964 [질문] .... [48] 삭제됨6573 24/02/17 6573
174963 [질문] 의사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 건가요? [2] 칭찬합시다.5153 24/02/17 5153
174962 [질문] 4070 ti super 적정가는 어느정도일까요? [5] APONO5319 24/02/17 5319
174961 [질문] 주변에 국제결혼한 젊은 분들 실제로 있으신가요..? [47] nexon7706 24/02/17 7706
174960 [질문] 조조전을 스마트폰으로 할 수있나요? [7] 정공법7970 24/02/17 7970
174959 [질문] 키보드 관련 질문입니다. [4] 행복a5490 24/02/17 5490
174958 [질문] 광역버스를 타고 다니면서 의문점이 하나 있는데요... [6] 잘가라장동건6004 24/02/17 6004
174957 [질문] 7살 조카들에게 자전거를 체험시켜주고 싶습니다.(서울) [10] 앙겔루스 노부스5609 24/02/17 5609
174956 [질문] 캐리어 손잡이가 고장이 나서 안 접히는데 탑승 가능할까요? [4] 고요6988 24/02/17 6988
174955 [질문] 식기세척기 설치하려는데 부품은 어디서 살 수 있을까요? [4] 사람되고싶다6471 24/02/17 6471
174954 [질문] 듄 영화 시청 질문드립니다 [7] 인민 프로듀서5285 24/02/17 5285
174953 [질문] 윗집 아들 혼내는 소리 정상인가요? [25] 버류버7689 24/02/17 7689
174952 [질문] 메모리의 클럭이 중요할까요, 용량이 중요할까요? [11] 휘군5796 24/02/17 5796
174951 [질문]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1] 코시엔6681 24/02/17 6681
174950 [질문] DOS 기반 PLC 에 대해 조언을 구합니다. (2편) [3] 늘새로워5236 24/02/17 5236
174949 [질문] 용산아이파크 듄2 3월6일 예매 언제 풀릴까요? [4] 어센틱4750 24/02/17 4750
174948 [질문] [무도 장면찾기] 무한도전 고수를 찾습니다ㅠㅠ [2] 김유라5887 24/02/17 5887
174947 [질문] 자차로 대전 갔을 때 성심당 빵 사오는 좋은 동선이 있을까요? [8] 호비브라운5225 24/02/17 5225
174946 [질문] 술/담배 제로 vs 운동 제로 어느 쪽이 건강에 이로울까요? [17] armian5516 24/02/17 55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