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11 22:47:01
Name 호비브라운
Subject [질문] 허리디스크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한 운동은 어떤 게 좋을까요?
3달 전 축구하다가 허리에 크게 통증이 와서 바로 병원을 가서 디스크가 조금 나왔다는 소견을 들었습니다. 허리보단 왼쪽 다리에 이어지는 방사통이 고통의 90% 이상이었습니다. 도수치료 조금 받고, 무리하지 않고 자연치유되길 기다렸습니다.

그간 왼쪽 다리에 잔잔한 저릿함을 빼면 많이 호전됐습니다.  런닝이나 등산은 무리 없이 되고, 그저께는 부상 이후 처음으로 풋살을 했습니다.  1시간 반 정도 하니 약간 허리에 신호가 올락말락했던 거 말고는 직후나 다음날 통증이 크진 않았습니다.

최근 건강검진으로 ct를 찍어보니 여전히 요추 5번-천추 1번 사이 추간판 탈출증이랑 요추4-5번 사이 팽윤증 소견이 나왔네요.

문제는 앞으로도 축구나 그에 준하는 운동이나 레저를 열심히 하고 싶은데, 또 그때처럼 디스크로 큰 통증과 부상이 있을까 염려됩니다.

유연성과 코어근육을 기르는 운동을 하면 좋다고 해서, 필라테스를 해볼까 합니다. 아니면 코어운동 위주로 PT를 받는 것도 고려 중이고요.

디스크로 고생하셨거나 극복하신 분들은 어떤 운동으로 예방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11 23:36
수정 아이콘
이 밑으로 많은 분들이 좋은 조언해주실거고, 글쓴분 스스로도 좋은 내용들 많이 알아보실거라 믿으면서 몇자 적겠습니다.1

1. 어떤 운동을 하시기로 결정하더라도
2. 100% 확신이 들었더라도
3. 일단은 쉬면서 더 알아보세요.
4. 몸이 모두 회복되시거든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자세가 가장 중요합니다.
5. 내 상황에 맞는 운동(혹은 관리)에 대해서 200% 확신이 들 때,
6. 그 때 조금씩 운동 시작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저 같은 경우는 허리디스크 터졌었고, 나름대로 열심히 알아보고 운동했었던 기억이 나서 몇글자 적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당시 제 나름대로 충분히 열심히 알아보고 신중하게 운동했었지만,
그렇게 열심히 운동했던게, 되려 독이 됐었던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끝으로 운동은 '수영' 추천드립니다. (배영 위주)
고블린점퍼케이블
23/12/12 01:15
수정 아이콘
러닝 추천드립니다.
런닝머신이든 실제 달리기든 아무 러닝이나 다 좋아요.
23/12/12 01:32
수정 아이콘
걷기랑 수영이 정말 좋다고 들었습니다
뭐하지
23/12/12 03:26
수정 아이콘
걷기요.
19~20살 때 허리 아파서 5분도 못 앉아 있었는데 수영, 병원 치료, 헬스 안 해본 게 없었습니다.
전부 다 효과가 없었는데 하루 2시간 걷기 2주하고 바로 나았습니다.
그때 몸소 느꼈습니다. 허리 아픈 데에는 바른 자세로 걷는 게 최고라는 걸.
군령술사
23/12/12 04:03
수정 아이콘
저도 허리디스크로 고생했던 사람인데, 철봉을 추천드려요.
턱걸이도 좋지만, 그냥 하루에 매달리기 수십초만 해도 도움이 됩니다.
요령은 허리 아래 힘을 빼고 늘어뜨려 주는 건데요, 견인치료의 효과를 볼 수 있어요.
절대 무리는 마시고, 스트레칭 정도로 생각해주세요. 저는 조심하기 위해 매달린 다음엔 침대에 누워서 쉬었습니다.
척추에 음압을 가하는 게 목적이기 때문에 딥스 자세로도 가능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058 [질문] 류호정 의원이 정의당 탈당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20] 퓨나9043 23/12/18 9043
174057 [질문] 작은 조직 워크샵에서 사용할 업무유형 검사 컨텐츠 같은게 없을까요? [3] 가성비충7385 23/12/18 7385
174056 [질문] 오타니 보고 떠오른 세금 궁금증 [11] 콩돌이7798 23/12/18 7798
174055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4] 에프랑지아7635 23/12/18 7635
174054 [질문]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사기를 당했습니다.(안드로이드 재설치문의) [4] reionel7018 23/12/18 7018
174053 [질문] 태블릿알못 탭 구매 질문입니다. [1] 오트레하오7711 23/12/18 7711
174052 [질문] 자동차 겨울철 시동 관련 질문 드립니다. (경유차) [8] 스콜스8023 23/12/18 8023
174051 [질문] 로지텍 마우스가 가품이 온 경우 [16] 이민들레9020 23/12/18 9020
174050 [질문] 보험사 긴급출동에서 연결해주는? 정비소는 믿을만 할까요? [6] 보리밥6562 23/12/18 6562
174049 [질문] 모니터 한대에 여러 기기 물려쓰시는 분들 스피커는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16] 모나크모나크8447 23/12/17 8447
174048 [질문] 힘들 때 어떻게 하세요? [16] 200608287764 23/12/17 7764
174047 [질문] 주요 뉴스 정리해서 쉽게 말해주는 유튜버 [9] 마제스티7529 23/12/17 7529
174046 [질문] 대만여행 꿀팁전수받고싶습니다 [15] 빠르8036 23/12/17 8036
174045 [질문] 아이용 아이패드 어떤걸 사는게 좋을까요? [7] 귀여운호랑이7814 23/12/17 7814
174044 [질문] 저가형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그냥가끔8792 23/12/17 8792
174043 [질문] pgr21 모바일 찍먹방 참여코드를 알 수 있을까요? [1] 아타락시아17393 23/12/17 7393
174041 [질문] 와이파이 속도 및 환경 구성? 질문입니다 [4] 기무라탈리야7750 23/12/16 7750
174040 [질문] 뚝섬역 근처 점심 회식할곳 추천 부탁드려요 [7] SaNa6549 23/12/16 6549
174039 [질문] 갤럭시탭과 아이패드 터치 민감도 [1] 교대가즈아6604 23/12/16 6604
174038 [질문] 로톡 서비스 괜찮을까요 [3] moonland7024 23/12/16 7024
174037 [질문] 목사가 기도로 병치료해주는건 사기일까요? [24] 붕붕붕8724 23/12/16 8724
174036 [질문] 90년대 오락실 게임 제목 질문 [3] 해맑은 전사7452 23/12/16 7452
174035 [질문]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는 포경수술을 안 하는데 거부감 없는지요..? [5] nexon7640 23/12/16 76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