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2/04 09:18:44
Name 사람되고싶다
Subject [질문] 한국의 LLM, AI 관련 현황은 어떤가요?

한국은 자체 모델보다는 기존 모델을 이용한 서비스단, AI 연산에 필요한 HBM 메모리 쪽에서 밸류체인 형성하고 모델은 그나마 네이버가 니치 마켓을 파고들어 그나마 생존을 도모할만하다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요즘 보면 개나소나 자체 LLM을 만들고 있더라고요? 네이버는 당연하고 통신사들부터 삼성 LG 기타 스타트업들까지...

솔직히 얼마나 진지한지는 모르겠습니다. 현재는 일단 '나중에 어떻게 될지 모르겠으니까 일단 만들어놓고 보자!' 같은 느낌이긴 합니다. 내부 데이터는 쌓여있을테니. 근데 정작 국내 1등이라고 할만한 네이버만 봐도 상태가 영 거시기하다보니 저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고...

통신사들은 아예 야심차게(?) NPU 설계 쪽까지 거느리거나 제휴하는 거 보면 완전 구색내기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만... 저 팹리스들도 실제로 어느정도의 수준인지도 확신이 안듭니다.


국내 AI 업계에서 어중이 떠중이들 말고 진짜 키 플레이어라고 할만한 쪽들은 누가 있을까요?

그리고 이런 AI 업계 소식 같은 건 주로 어디서 얻으시나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가성비충
23/12/04 09:24
수정 아이콘
개나소나 다 만든다고 생각되시면.. 그건 대부분 fine-tuning이구요.
실제로 백본부터 만드는 플레이어는 어느정도 인프라를 굴릴 힘이 있는 사이즈의 기업들입니다.
걔중에는 좀 작은 모델 만들면서 진짜 큰 모델을 만들까 말까 고민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구요.

주로 AI 업계 소식은.. 주로 그런 소식들에 밝은 사람들을 facebook, twitter, linkedin 등에서 팔로우 하는 것부터 시작인것 같구요.
요즘 관련된 포럼이 많으니 좀 나가서 감을 잡아보시는것도 방법일 듯 합니다.
사람되고싶다
23/12/04 09:35
수정 아이콘
사실 개나소나라고 말씀 드리긴 했지만 그게 우리나라 통신사들, 삼성 LG 같은 대기업이긴 합니다... 그치만 LLM 시장이 글로벌 빅테크 수준에서도 경쟁이 치열한데 과연 국내 대기업 수준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가? 정도가 의문이더라고요. 한국 전체에서도 그나마 살아남을 플레이어가 나오면 다행 아닌가 싶었는데...

괜찮은 인플루언서들 추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럼 같은 것도 좀 찾아봐야겠네요.
23/12/04 12:11
수정 아이콘
저도 전문가는 아닙니다만 적어도 한국 내에서는 빅테크 발끝이라도 따라올만한 플레이어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통신사나 삼엘이 한국에서나 대기업이지 세계 레벨에서는 규모면에서도 부족하고, 그렇다고 투자할 컴퓨팅 리소스가 넉넉한것도 아니고, 노하우가 있는 것도 아니고, 하다못해 돈이나 비전으로 빅테크 리서쳐들 빼올만한 수준도 아니니까요. LLM 특성상 그럴듯한걸 보여주는 초기 단계까지는 몰라도 롱테일 문제로 들어가면 글쎄요.

그리고 업계 소식은 가성비충님 말씀대로 링크드인의 유명인들을 팔로우하는것에서 시작하시면 되긴 합니다만 내부에서 보는 바로는 각 플레이어들이 자기 달리기 바쁘고 대부분의 정보들은 기밀이라 제대로 된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고 보긴 힘들 것 같네요. 구글의 gemini가 공개되는 시점에서 윤곽이 드러날만한 것들이 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사람되고싶다
23/12/04 13:1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저도 그게 의문이었습니다. 아무리 봐도 잽이 안되는데 대체 왜 다들 약속한듯이 발표를???? 솔직히 국내 중소 B2B나 B2G용으로 하나쯤만 겨우 살아남지 않을까 싶은데...

사실 막 엄청난 정보가 알고싶은 건 아니고 약간 영화보면서 팝콘 뜯는 느낌이긴 합니다 흐흐. 그냥 떡밥 더 나올 때까지 잊고 있는 게 낫겠군요.
회색사과
23/12/04 13:39
수정 아이콘
백본을 직접 만든다 - 글로벌에서도 10개 회사가 안됩니다. 1,2,3 위 사이에서도 차이가 솔찌 좀 나는 것 같습니다. - 논외
백본을 직접 굽는다 - 이게 우리나라 LLM 하겠다는 회사들이 갖는 포지션이죠
백본 갖다 쓴다 (튜닝은 한다) - 이게 LLM으로 서비스 한다는 대부분 회사입니다. - 논외

일단.. 백본을 설계하고 학습시켜볼 인프라나 능력은 우리 나라에는 없습니다.

백본을 직접 굽는 건 의미가 있냐 - (공개된 모델을 한국어용으로 수정하고 학습시키는 것)
이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습니다.

챗GPT나 GPT4 같은 탑급 모델이 성능은 무조건 좋아요. 그런 모델을 직접 만들 수는 없죠... 우리나라 사정으로는
근데 저거 써서 서비스 만들면 비용이 어마어마 합니다.
(챗GPT로 논문에 쓸 데이터 구축만 해봐도 천만원 이천만원은 우스워요.. 상용서비스를 하면 사이즈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억 수십억 우스울겁니다.)

대안으로...
한국어 LLM 모델을 만들어서, 특정 서비스용으로 튜닝해서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탑급 모델보다 멍청할거고 범용성은 더 떨어지겠지만,
튜닝 잘하고 잘 만지작 거리면 특정 서비스 특화용으로는 쓸 수 있는거죠..

한국에서 LLM 정말 잘 해서 글로벌 탑 되겠다는 기업은 없을 겁니다.
Open AI 말고는 공개 모델로 돈 버는 회사도 아마 없을거에요.. (돈 주고 쓸거면 open AI 쓰죠..)

특정 서비스 특화로 어케든 비벼보는 모델 만들어서 비용 절감하는게 목표라고 봅니다.
(예전에 서버 관리 비용이나 감가 생각하고 AWS 같은 클라우드로 넘어갔던 회사들 상당수는 다시 서버실 지은 것처럼요...)
사람되고싶다
23/12/04 13:58
수정 아이콘
백본을 굽는 건 라마 같은 오픈 소스 모델 기반으로 만드는 걸까요?
글로벌 빅테크 모델은 죄다 너무 무겁고 비싸서 좀 성능 떨어지지만 싼 모델 수요도 있다고는 생각하는데 뭔가 그거 감안해서도 너무 많은 기업들이 달려드는 모양새 같은 게 의문이었습니다.
말씀 주신 거 종합해보면 실제로 그 경량 모델 싸게 파는 쪽이라기보단 그냥 기업 내부적으로 서비스 런칭할 때 써먹을 AI라는 느낌이네요. 외부에서 돈 주고 사다 쓰느니 그냥 우리가 해보자는 느낌?
회색사과
23/12/04 15:08
수정 아이콘
라마2 gpt3 t5 같은것들이 많이 보이더라구요
23/12/05 00:07
수정 아이콘
ClovaX가 그래도 바닥부터 만든 모델인데 써보시면 성능이 그닥입니다. 그래도 특정 도메인에서는 GPT-4 파인튜닝보다 라마를 커스터마이즈한 모델들이 유용할 수 있고 이런 영역에서 국내 기업들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한국AI는 일단 잊으시고, 트위터에서 팔로우 많은 연구자들 팔로우해서 보시면 됩니다.
사람되고싶다
23/12/05 22:13
수정 아이콘
그쵸 흐흐. 사실 국내 최고인 네이버도 이 정도인데 딴 놈들은 대체 무슨 깡으로 하겠다는 거지??? 정도가 궁금했던지라. 그래도 나름 완전 뒤떨어져서 쳐다보고만 있는 수준은 아닌 것 같아 다행이네요. 1군은 못먹어도 2군은 먹어야 나름 부스러기라도 주워 먹지...
23/12/05 21:34
수정 아이콘
듣기로는 네이버에서는 다른 기업들 중 그나마 KT가 자기들과 같이 경쟁할 가능성이 조금 있다고 보더군요
사람되고싶다
23/12/05 22:15
수정 아이콘
사실 딱 KT 보고 궁금해서 쓴 글입니다 흐흐. 아니 네이버까진 그렇다치고 얘는 대체 뭐지???? 싶었거든요 흐흐. 하는 거 보니까 간만 살짝 보는 것도 아니고 거의 여기에 적극적으로 베팅하는 모양새던데 대체 무슨 자신감으로 그러나 싶었거든요. 제가 모르는 뭔가가 있었던가 싶었던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109 [질문] 연말 외출룩 고민 [23] 찹쌀탕수육6014 23/12/22 6014
174108 [질문] 로아 입문 조언 부탁드립니다 [13] Rsunny6316 23/12/22 6316
174049 [질문] 모니터 한대에 여러 기기 물려쓰시는 분들 스피커는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16] 모나크모나크5816 23/12/17 5816
173991 [질문] [컴퓨터] 데스크탑 심폐소생술 [8] 규현5614 23/12/13 5614
173966 [질문] 저 롤 분석좀 부탁드립니다. [14] 고블린점퍼케이블5851 23/12/12 5851
173965 [질문] 새벽출근 아침밥 아이디어 없나요 [32] 앗흥6971 23/12/11 6971
173901 [질문] 보통 공부하시는 방법이 어떻게 되시나요?? [8] 라리5515 23/12/08 5515
173878 [질문] 엑셀(오피스365) 빠른실행도구모음 자동 생성 문제 [3] Vertigo5343 23/12/06 5343
173876 [질문] 10년? 15년? 만에 싱글게임 위쳐3 vs gta5 [34] 하나둘셋6453 23/12/06 6453
173847 [질문] 도쿄3박4일 일정 조언 부탁드립니다. [2] Falling5757 23/12/04 5757
173839 [질문] 한국의 LLM, AI 관련 현황은 어떤가요? [11] 사람되고싶다5991 23/12/04 5991
173789 [질문] 좋은 음악 추천 받습니다 [8] 욱상이5544 23/11/30 5544
173755 [질문] 짜증이나는 역치가 매우 낮습니다. 어떻게 올릴까요? [34] 교자만두7571 23/11/28 7571
173754 [질문] 이번 월즈 결승에서 페이커의 '그 토스' 플레이 설명이 듣고 싶습니다. [26] 득이7904 23/11/28 7904
173724 [질문] 컴퓨터 부품만 바꿔도 될까요? 아니면 새로사야 할까요? [6] Liberal6745 23/11/26 6745
173695 [질문] 여운이 콱하고 박히는 애니 추천 부탁 드립니다. [35] EZrock7039 23/11/24 7039
173671 [질문]  제가 예능 프로그램을 좋아합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레뽀6139 23/11/22 6139
173665 [질문] LOL 페이커의 업적과 실력을 스타나 농구에 비교한다면? [23] Meister7986 23/11/21 7986
173657 [질문] 롤 전반적으로 공부하는데 몇시간 정도 소요될까요? [22] 젤리롤6853 23/11/21 6853
173633 [질문] 스타2 저테, 저프 메타 질문 [3] 모찌피치모찌피치5846 23/11/19 5846
173624 [질문] (롤알못) 요즘 KT는 잘하는가요? [7] 김유라6182 23/11/18 6182
173608 [질문] 4k 모니터로 스타하시는 분 계신가요? [5] 교대가즈아5832 23/11/17 5832
173510 [질문] 롤알못인데요. 결승대진 티원이 정배인가요? [29] Judith Hopps7598 23/11/12 75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