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0/27 10:53:54
Name Charli
Subject [질문] 역사적으로 코로나 대처는 어떻게 평가 받을까요?
의학적 사회적 경제적 아무 관점이나 좋습니다.

1. 한국 vs 다른 나라들
한국의 방역이 상대적으로 좋았다 vs 아니다

2. 락다운
락다운이 효과적이었다 vs 아니다

3. 백신
백신과 각종 백신 정책들이 효과적이었다 vs 아니다

4. 바이러스의 기원
자연발생 vs 실험실 유출

이외에도 많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rscream
23/10/27 10:55
수정 아이콘
향후에 평가가 바뀔 건덕지가 있나요? 그냥 다 왼쪽 아닌가요? 2번이 애매하다면 좀 애매하지만....
몽키매직
23/10/27 10:58
수정 아이콘
1. 되돌아보면 더 잘 할 수 있는 부분이 없었던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비교해보면 최상워권의 대처수준이었다고 봅니다.
2. 락다운은 그 자체보다, 시점이 중요한 거라 그 자체로 평가하기는 어렵습니다...
3. 백신은 효과적이었죠. 백신정책을 따로 이야기하시는 것이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점에 대한 평가가 궁금하신 것인지...
4. 개인적인 생각이고 자연 발생으로 봅니다...
가성비충
23/10/27 11:00
수정 아이콘
0과 1로만 보는건 진영논리에 갇힌 사고라고 생각하구요.
전반적으로 잘했다고 생각하고 전반적인 평가는 왼쪽이 맞겠지만, 그게 완벽한 답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분석하고 고민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3/10/27 11:08
수정 아이콘
지금 보면 부족한 점도 있지만 그때 당시로서는 최선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부족했던 걸 잘 분석해서 다음 위기 때 살려야겠죠
23/10/27 11:08
수정 아이콘
만점은 아니지만 당시로선 최선이었다고 봅니다.
23/10/27 11:15
수정 아이콘
시행착오는 있었지만 잘했고 나중에 더 잘할 수 있겠다. 치명률만 봐도 결과적으로 많은 생명을 지켜낸 건 맞으니까요.
23/10/27 11:15
수정 아이콘
결과적으로 방역관점에서 보면 잘했죠.
자영업자 규제 보상 지연이라던가 세부적으로 보면 잘못한부분이 있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다음 펜데믹에도 그대로 하면 되겠네 할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피우피우
23/10/27 11:16
수정 아이콘
다 왼쪽이죠 뭐.. 락다운은 애초에 락다운까지 안 가도록 한국처럼 미리 거리두기 같은 거 했으면 좋았겠지만 이미 그 상황이 된 상태에선 불가피한 선택이었겠고요.
성야무인
23/10/27 11:21
수정 아이콘
Y2K버그 무사하게 넘어간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그 많은 포트란 프로그래머들이 이거 수정 못했다면 은행에서부터 대란 일어났을 겁니다.

그래도 피해가 적으니까 이렇게 넘어간 것이겠죠?
23/10/27 11:28
수정 아이콘
이게 우리나라 얘긴지 전세계 얘긴지는 모르겠지만
미국은 너무 돈을 풀어서 대책이 없는 수준까지 온 것 같긴 합니다.
그 여파는 전세계가 받을 예정이구요. 현재진행형..
봄바람은살랑살랑
23/10/27 11:33
수정 아이콘
할 수 있는 만큼은 했다고 봅니다. 메르스, 사스 였으면 진작 방어 끝났을 정도로요. 다만 이 코로나 라는 놈이 이래적으로 더 강한 놈이였다는게 문제죠
23/10/27 11:43
수정 아이콘
다 왼쪽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9시, 10시, 4명, 5명 뭐 이런 자잘한 방침들이 다 합리적이고 옳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나 큰 틀에서 보면 어려운 상황에서 최선의 방침을 다했다고 생각합니다.
23/10/27 11:58
수정 아이콘
락다운을 코로나 자체로만 보면 우리나라 같은 유연한 거리두기보다 잘 막긴 했겠지요. 다른 경제 사회분야를 고려 안한다면..
근데 락다운 사례는 중국정도 제외하면 주로 서유럽 위주로 알려져 있고 그런 나라들은 백신을 일찍 받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능했지 우리나라처럼 백신 늦게 받는 나라에서는 아마 못버텼을듯 합니다. 다른 약소국들의 락다운 사례가 궁금하네요.
이부키
23/10/27 12:08
수정 아이콘
단순히 사망자수 같은 데이터만 봐도 잘했죠.
손금불산입
23/10/27 12:11
수정 아이콘
지금 코로나 다 까보고 판단을 하니까 이런거지 그 당시에는 아예 코로나에 대한 정보가 없었죠. 정말로 얼마나 치명적인지 정확하게 파악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의 대응이라... 그것도 고려를 해야합니다.
23/10/27 12:24
수정 아이콘
전염병의 대처는 전염병으로 입을 피해를 얼마나 최소화 해냈냐가 핵심이라고 생각해서
그걸 따지면 우리나라는 선방한게 맞다고 봅니다.

물론 그 피해에 자엉엽자에 대한 보상미비로 인한 국내 서민경제 문제도 포함될거고
국가입장에선 중국 입국금지를 했을때/안했을때에 따른 득실같은것들도 포함이겠구요.
철판닭갈비
23/10/27 13:15
수정 아이콘
절대평가가 아니라 상대평가의 영역이고, 그런 면에서는 엄청 잘한거죠
다리기
23/10/27 14:18
수정 아이콘
백신 확보 하는 과정의 삽질이나 백신호송 쇼.. 의료진 갈라치기 이런거는 매우 나빴지만
전체적인 대처는 세계를 둘러봐도 좋은 편이었죠. 일단 전 세계가 다 너무 개판이었고 이정도 한 나라도 거의 없으니까요
23/10/27 14:35
수정 아이콘
자세한 건 기억하지 못할거고 선방했다고 그렇게 기록될 것입니다. 신종플루, 사스가 지나간 것 처럼 지나갈 겁니다.
파고들어라
23/10/27 16:48
수정 아이콘
전 의외로 평가가 바뀔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잘 했다 생각하는게 다 삽질이라고 평가 받거나...
'학교생활'이라는 만화였던가요? 좀비 사태의 원인이 "어느 멍청이가 손을 잘 안 씼어서 인류가 멸망했다" 라고 나온게 코로나 이후 재평가 받은것 처럼...
좋구먼
23/10/27 17:41
수정 아이콘
윗분 말대로 상대평가로는 잘했다고 보지만
개인적으로는 초반부에 신상 까발리기,감염자 방문장소 문닫고 방역 같은게 너무 별로였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자랑하는 사람 극혐하는지라 문정부의 k방역 타령 정말 보기 싫더군요
은때까치
23/10/27 19:32
수정 아이콘
모든게 다 끝난 지금 시점에서 :
상대평가로 보면 거의 전세계에서 제일 잘한거 같고
절대평가로 봐도 자영업자 보상 건 등을 제외하면 크게 잘못한건 없는거 같습니다.

그때 당시의 대혼돈 상황을 감안해서 그때그때의 선택이 최선에 가까웠냐? 라고 본다면 :
개인적으로는 A0 정도 주고 싶습니다.
에이치블루
23/10/27 23:38
수정 아이콘
그냥 두면 죽었을 많은 분들을 백신 나올때까지 막아서 안 죽게 했으니 성공입니다.
부르즈할리파
23/10/28 14:37
수정 아이콘
전 세계적으로 통화정책이 제일 궁금하네요
지금 분명 후폭풍이 너무너무 세긴 한데 당시에 다른 방법이 있었을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339 [질문] 비타민씨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3] 아케르나르7073 23/11/01 7073
173338 [질문] 인터파크 콘서트 티케팅 질문드려요 [9] 파쿠만사7999 23/11/01 7999
173337 [질문] 신의 개입으로 진화했다는 의견은 진화론인가요? [24] 칭찬합시다.9495 23/11/01 9495
173336 [질문] 미국주가가 상승한 다음날 국장도 오른다? [10] 붕붕붕8454 23/11/01 8454
173335 [질문] 장례식장 부의록 질문드립니다.. [4] 사계8532 23/11/01 8532
173334 [질문] 공무원이 '다' 포기하면 어디까지 할 수 있나요? [22] 바쿠13578 23/10/31 13578
173333 [질문] 엑셀 시간 서식 질문입니다. [3] 바람의 빛8903 23/10/31 8903
173332 [질문]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운동 노래 추천해 주세요! [2] 악포7522 23/10/31 7522
173331 [질문] 새 PC 견적 내보려고 합니다. [7] 한아9805 23/10/31 9805
173330 [질문] 차사고로 차량 문을 교체했는데 이물질이 묻어있습니다, 무슨자국인지 봐주실분있나요 [5] 애플이염9866 23/10/31 9866
173329 [질문] 화학질문 전이원소에 12족 (아연 카드뮴 수은~) 포함유무 [2] 스핔스핔8843 23/10/31 8843
173328 [질문] 인천공항 2터미널 주차 질문 드립니다 [6] Alfine7909 23/10/31 7909
173327 [질문] 가락시장 초장집? 질문 올립니다. [9] 회색사과10078 23/10/31 10078
173326 [질문] 스마트폰 보호필름 종류 질문 [3] 데비루쥐8527 23/10/31 8527
173325 [질문] 가죽자켓 줄이는거 가능한가요? [4] 월터화이트8563 23/10/31 8563
173324 [질문] (스포주의) 공포/스릴러 영화 제목이 기억나지 않습니다(찾았습니다) [7] 띠우8184 23/10/31 8184
173323 [질문] 혹시 농협 스마트뱅킹 어플사용하시는분들 잘되시나요? [8] 개념은?9507 23/10/31 9507
173322 [질문]  보통 자녀계획 세울때 계획형 vs 자연스럽게 어느 경우가 많을까요? [23] 수지짜응8986 23/10/31 8986
173321 [질문] 삭제됨 상태로 남아있는 글과 아예 없어지는 글은 뭐가 다른가요? [3] 유료도로당7853 23/10/31 7853
173320 [질문] 롤 시즌 종료일 [2] 툼레이더10015 23/10/31 10015
173319 [질문] 미적분 문제 하나 질문입니다. [5] 카키스8200 23/10/30 8200
173318 [삭제예정] 지나치게 속물적인거 같은 여자친구가 고민인데요 [54] 삭제됨9857 23/10/30 9857
173317 [질문] 전기 잘 아시는 분? led등 전선 연결 [4] Pika489771 23/10/30 97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