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0/22 12:38:09
Name 제드
Subject [질문] 체중계의 수명에 몸무게가 관련이 없을까요?
아무리 얘기를 해도 서로 의견이 좁혀지지 않아서 피지알에 글써봅니다
저는 체중계라해봤자 결국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되어있고 거기에 기계장치를달아 무게를 재는것일뿐
결국은 유리나 플라스틱인데 40키로 여자가 계속 올라갓다 내려오는거랑 100키로 남자가 올라갓다 내려오는거랑
하중차이가 있는데 당연 100키로를 계속 버텨야하는 남자쪽이 먼저 고장나는게 맞다인데
친구는 체중계 자체가 무게를 어느정도 버티게 설계된거라 1도 상관없을거란 입장입니다
너무답답해서
친구둘이서 사서 몸무게 덜 나가는애가 먼저고장나고 이럴순있지만
1년안에 고장비율도 아니고 수명이 다할때까지
40키로 여자 만명이 체중계 만개사서 매일재는것과
100키로 남자 만명이 체중계 만개사서 매일재면
어느쪽 체중계 고장비율이 높을거같냐니까 그래도 체중계니까 비슷할거랍니다
이걸 어떻게 이해시켜야할까요
아니면 제가 틀린건가요? 너무 완고해서 내가 틀렷나 의심까지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니쏠
23/10/22 12:51
수정 아이콘
뭐 관련한 전문기술은 전혀 없는 사람이지만, 직관적인 생각과 경험으로 미뤄 봤을때, 일상적인 용도로 가정집에서 쓰는 체중계는 사용자의 체중이 수명에 끼치는 영향은 다른 요인들에 비해 아예 없다시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남자/여자가 나뉘어 사용하는 일상적인 상황, 예를들어 목욕탕 남탕/여탕의 체중계 역시 수명에 유의미한 차이는 전혀 없을 것 같네요.
다만, 실험기관에서 내구성 테스트를 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체중계 측정범위의 최대치와, 중간이하의 값 정도의 압력을 고장날때까지 반복하는거라면 말씀하신대로 최대치의 압력을 주는 쪽이 먼저 고장날 것임이 거의 확실하겠죠.
결국,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무게가 체중계의 수명에 영향을 주느냐가 논점이라면 친구분의 말씀이 맞는것이고, 극한의 상황을 가정했을때는 글쓴분의 말이 맞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cruithne
23/10/22 13:02
수정 아이콘
1도 상관없을수는 없고, 유의미한 차이가 나기도 어렵겠죠
홍익인간
23/10/22 13: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피로파괴를 말씀하시는 거면 차이는 없고 파괴의 확률적 접근으로 가면 차이는 있겠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안날겁니다
오타니
23/10/22 13:13
수정 아이콘
이 논리면 같은 차량도 몸무게가 다른 운전자에 따라, 감가상각이 달라야 된다는건데..
유의미할까요..?

수학에서 입실론이라고, 가장작은 수를 정의하는 기호가 있는데..
그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으신거면, 글쓴이의 주장이 맞고.
일상생활에서 의미없는 수준을 이야기하고 싶으신거면, 상대방의 주장이 맞는거라.
논지전개의 출발선이 다르네요.
23/10/22 13:33
수정 아이콘
아 글을제가 너무 잘못쓴거 같은데 1도 상관없다를 설득하려는겁니다
그냥 체중계를 놓고 고장날때까지에서요
유료도로당
23/10/22 13:15
수정 아이콘
굳이 따지면 무게 차이보다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가 더 중요한 요인일수 있어서 여자쪽이 더 자주재면 더 빨리 고장날수도 있습니다.
23/10/22 13:28
수정 아이콘
기계장치에 대한 신뢰가 너무 없으신게 아닐까 싶습니다.
23/10/22 13:36
수정 아이콘
아 제가 글을 너무잘못쓴거 같은데 일반적인 체중계의 신뢰도가아니라
무게가 고장에 끼치는영향이 1도없다고 해서 올린겁니다ㅜㅜ
오타니
23/10/22 13:43
수정 아이콘
영향은 있는데,
제가볼땐 0.00000001정도 있어서
님말도 맞고, 그건없는것과 같다는 상대말도 맞는거죠.
23/10/22 13:48
수정 아이콘
1도 상관없다라는게
영향이 0은 아니다. 라는 게 글쓴분의 주장같고
의미없을 정도로 충분히 작다. 라는 게 친구분의 주장같아 보이는데
설령 친구분이 영향이 0이라고 보더라도 넘어가는게 나아 보입니다.
23/10/22 13:46
수정 아이콘
친구분 의견이 상식적인데요. 크게 중요하지않은 논쟁인데 1도 차이없다에 집착하시면 말꼬리잡기밖에 안되죠.
남행자
23/10/22 14:06
수정 아이콘
친구분이랑 말꼬리잡고 싸우고싶으신가요
무딜링호흡머신
23/10/22 14:11
수정 아이콘
이거 약간 커뮤식 화법인데
현실세계에서는 안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에서야 키배뜰때 좋지만요
싸구려신사
23/10/22 14:14
수정 아이콘
그정도면 증명불가능할정도의 차이에 불과할 것이니 그쯤에서 각자 덮는게 최선이겠습니다.
개그니
23/10/22 14:26
수정 아이콘
조금 학술적으로 접근하면,
1. 체중이 체중계의 고장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기계적 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로, 이 경우는 피로 파괴에 해당합니다. 피로 파괴는 일반적으로 피로한이 설정된 재료가 아니고서는 말씀하신대로 하중이 증가할수록 일반적으로 파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하지만, 현대의 체중계는 기계적 하중에 의한 파손보다는 전자 부품의 손상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이런 전자부품의 파손시간은 하중시간과는 특별한 상관이 없이 전류가 흐르면 발생하게 되는데 사용시간에서 쉽게는 지수분포 또는 와이블 분포를 가정하여 사용하고 이는 하중과는 큰 상관이 없습니다.
3. 물론 1+2 가 체중계 전체의 수명이므로 매우 극한적인 화법을 사용해서 1 + 2 확률 > 2 확률 이라고 주장해서 체중계의 수명은 체중을 재는 사람의 무게차에 의해서 달라진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만, 일반적인 상식으로 봤을 때, 즉 평균적으로 체중계의 사용연한을 ~10년으로 보면 그 이내에 무게 차에 의해서 고장난다는 증거를 찾기에는 어려울 것입니다. 님꼐서 사용하신 가속수명법으로 쓰더라도 말이죠.
4.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일반적인 체중계 수명 한도내에서 체중차에 의한 파손 확률은 특정 유의수준 보다 낮다라는 되게 어려운 말을 일반인들은 그냥 단순하게 줄여서 이야기를 할 것 같고, 이것을 님께서 말씀하신 정밀한 근거를 제시하면서 대화를 나누고 토론을 통해서 정의하기에는 일반적인 화법이 아닌 것 같네요.
23/10/22 15:45
수정 아이콘
체중계인데 40kg vs 100kg 정도는 진짜 1도 차이 없지 않을까요?

40kg 대 3~400kg쯤 되면 모르겠습니다만
샤르미에티미
23/10/22 16:31
수정 아이콘
저도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없다고 하면 정말 1도 차이가 없을 거냐 이런 생각들은 많이 합니다. 하지만 정말 유의미한 차이라고 생각되지 않으면 그다지 큰 부분은 아니라고 보기도 합니다. 미세한 차이라도 없진 않겠지만 고장 나면 새로 사면 되는 거고 차이가 있으면 체중 감량 크게 할 거고 아니면 증량 할 것도 아니고, 이걸 갖고 논쟁에서 이기는 게 내 인생에 그렇게 중요한 부분도 아니고 다른 사람이 나와 의견이 다르다고 해서 비상식적이거나 고집을 피운다고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요.
메피스토
23/10/22 17:34
수정 아이콘
1도 상관없다에서 1이란게 무슨 단위인지, 100중 1이란건지 10중 1이란건지 1000000중 1이란건지 모르겠는데
상관 없을 순 없죠.

피로파괴 개념으로 말하자면 피로파괴란 결국 양 손으로 플라스틱 자를 굽히고 다시 정상으로 돌리는 행위를 반복하면 결국 점진적으로 자는 파손되고
유리도 반복해서 두드리면 깨집니다.

그런 개념으로 보자면 당연히 사람이 올라갔을 때 체중계에서 일어나는 변형,

부품이던 스프링이던 하다못해 발에 접촉하는 유리 상부에 가해지는 변형이 40키로인 사람보다 100키로인 사람이 올라갔을 때 더 일어난다는 것은 자명합니다.

그게 체중계의 수명 안에서 파손이 일어날 만큼의 부품 내구력이 갖춰졌냐의 문제, 즉 1년이냐 10년이냐 100년이냐의 문제 이고

그게 언제 확률적으로 파손이 일어나는지는
40키로인 사람은 점프로 올라가고 100키로인 사람은 다소곳히 올라가냐, 얼마나 자주 올라가냐 등의 문제와 겹칩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다리의 하중이 40톤은 너끈히 지지한다고 해도 40톤의 차량이 매번 진동을 주며 지나가는 것과 20톤의 차량이 진동을 주며 지나가냐는 다리의 수명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가정용 체중계가 130 키로 정도의 하중이 한계하중인 것도 있고 180인 것도 있고 200인 것도 있습니다.

그러니 가해지는 하중이 한계하중의 70퍼인지 80퍼인지 50인지도 체중계의 수명과 가해지는 하중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결국, 말씀하시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는
1. 체중계의 한계하중
2. 체중계의 사용 내구 연한
3. 얼마나 자주 올라가는지
4. 어떻게 올라가는지
5. 구조적으로 최대충격하중을 받는 위치의 부품의 내구도가 어떻게 되는지, 기타 하중이 전달되는 부품들 중에 한계하중 / 가해지는 하중의 비율관계가 어떤지 ( 한계하중과 가해지는 하중의 비율은 피로충격, 즉 누적변형, 즉 한번 일어나는 부품의 변형량과 연관이 있어서 수명과 연관이 있음)

정도가 정해져야 합니다.

근데 이미 읽어보셨다면 아시겠지만, 1도 의미 없는 수준 (일반적으로 전혀 의미없음을 나타내는 관용어라면) 임을 증명하시려면
체중계 as기간이 구매후 1년이나 2년임을 주장하시고 100키로나 40키로나 2년 안에 부서져도 바꿀수 있으니 의미 없다는 것을 주장하셔야 승산이 있겠네요.

하지만 일반적 체중계의 수명 5년 10년이나 20년 단위로 가게 되면 승산이 없어보입니다.
부품이 철이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이라면 결국 부식될거고 그럴 수록 가해지는 하중에 취약해지는건 자명한 사실입니다.
체리과즙상나연찡
23/10/23 01:52
수정 아이콘
뭐가 다른데 상관이 없을리는 없겠죠. 다만 확인되지 않은 변수가 많은거 같아요. 체중계마다 스펙도 다르고 얼마나 써야하는지도 없고.. 술마시다가 얘기할법한 주제인데 친구와 원만한 합의하시길 바랍니다!!
23/10/23 08:49
수정 아이콘
반대로 아무것도 안올리고 방치해놔도 고장나는 경우는 어떻게 설명되나요?
파와미
23/10/23 11:23
수정 아이콘
제가 자동차관련 공장에 일을하다보니 예를 이렇게 들어볼게요.
1톤 포터에 화물을
1. 500kg을 주로 옮기는 차주
2. 800kg을 자주 옮기는 차주
를 비교하면 운행거리 습관등이 비슷하다면 유의미한 차이는 없습니다.
한계중량을 벗어나면 님 말이 맞을수도 있겠지만(이것도 엄청난 중량차이 아니면 별의미 없을듯) 한계중량 이내라면 똑같이 만번을 오르내린다고 더 무거운쪽이 먼저 망가질것같지는 않습니다.
23/10/23 11:41
수정 아이콘
뻘댓이기는 한데.... 서로 다른 두 가지 주장 내지 의견이 있고, 두 의견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증명하기 위해 드는 수고와 노력이 실제 이 두 의견의 차이보다 크다면 저는 굳이 다투지 않습니다
본문에 빗대자면 당연히 제드님 의견대로 차이가 있기는 있겠지요 그런데 그 차이가 너무나 작아서 오히려 이 미세한 차이를 정밀하게 증명하는 데 드는 수고가 훨씬 더 클 것이므로 굳이 상대방을 이해시키려 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603 [삭제예정] LOL 월드챔피언십 결승전 구로 CGV 3자리 원가에 양도 받으실 분 있으신가요? [3] 스윗번즈4427 23/11/17 4427
173593 [질문] 친구 집들이 선물로 샴페인 사려고하는데 어디서 사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5] 잡식토끼6634 23/11/17 6634
173573 [질문] 요즘 피쟐에 움짤 어떤 식으로 올리시나요?? [2] KanQui#15766 23/11/16 5766
173550 [질문] 부산 월즈 경기 볼 수 있는 곳 [2] 흘레바람5890 23/11/15 5890
173543 [질문] 영상편집용 PC를 이 케이스에 맞춰주세요(?) [8] 원숭이손7328 23/11/14 7328
173508 [질문] 대전 롤드컵 결승 볼만한데 있을까요 [8] 하나6875 23/11/12 6875
173491 [질문] 내일 롤드컵 큰스크린으로 볼수있는 식당이나 술집있을까요.. [2] 계란말이매니아6906 23/11/11 6906
173411 [질문] 한 20여년전에 유명했던 판타지,무협 소설에 어떤게 있었죠? [25] 라리6604 23/11/06 6604
173355 [질문] 방수되는 폰으로 실생활에서 어느정도 침수 되보셨나요 ㅜ [13] 안녕!곤5860 23/11/01 5860
173327 [질문] 가락시장 초장집? 질문 올립니다. [9] 회색사과6896 23/10/31 6896
173286 [질문] 남자 바디워시 향 좋고 가성비 좋은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노래하는몽상가6973 23/10/29 6973
173253 [질문] KBO 포스트시즌 이렇게 바뀌는 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 아엠포유6333 23/10/26 6333
173245 [질문] 남자들 심리라고 해야할까요? 호구처럼 보이는 여자 문제라고 할까요ㅜㅜ [38] nekorean9179 23/10/25 9179
173238 [질문] 페이스북이 해킹 당했는데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도움이 필요합니다 칭찬합시다.6021 23/10/25 6021
173234 [질문] 게임용 마이크 추천부탁드립니다 [2] longtimenosee6060 23/10/25 6060
173231 [질문] PC 견적 문의 [8] 이동파6436 23/10/25 6436
173198 [질문] 친구의 부친상 안내를 맡았어요. 연락을 어디까지해야할까요. [4] 계란후라이6754 23/10/23 6754
173186 [질문] 체중계의 수명에 몸무게가 관련이 없을까요? [22] 제드6808 23/10/22 6808
173124 [질문] ‘크’ 갯수 이게 세대?마다 어감이 다른가요? [15] No.99 AaronJudge5884 23/10/18 5884
173119 [질문] 홋카이도 2박3일 여행 질문드립니다. [22] Aiurr6708 23/10/18 6708
173117 [질문] 미니멀 리스트에게 선물 구매 질문 [6] 따식이5951 23/10/18 5951
173076 [질문] 영문 필기체 독해 도와주실분 [5] 차이7081 23/10/14 7081
173042 [질문] 마트나 편의점에서 살 수 있는무난한 와인 추천부탁합니다. [17] 언니네 이발관7082 23/10/12 70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