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08 22:16:45
Name 오렌지 태양 아래
Subject [질문] PC 견적요정님들 오지랖 부탁드립니다!(질문빌런 주의)
평소같았으면 제가 이것저것 온라인으로 조합짜보고 올려서
이륙 허가 받으면 되겠지만

제가 지금 일본입니다...
오늘 월급이 들어와서 주말중으로 본체를 하나 마련하려고 합니다.
선택지가
1.그냥 다 세팅되어 있는 완본체 사서 선만 꼽고 쓰기
2. 오프라인 매장에서 부품 고른 후 공임주고 조립 맡기기
3. 직접하기
가 있었습니다만

1. 완본체가 생각보단 합리적인 가격이었지만 글카,메인보드, 파워 등의 정확한 메이커, 모델명을 써놓지 않음.(여기서 원가 절감하려했던 느낌이 듬)
2. 조립 공임비가 10만원(한국의 2~3배)인 압박

등등의 이유로 그냥 제가 엑조디아 하려고합니다...

그래서 내일 집근처 도스파라나 PC공방에 입국할 때 썼던 캐리어 끌고가서 부품 한번에 담아와서 주말에 조립하려고 하는데

부품별로 이것저것 생각이 많네요...
서두에 미리 말씀드리지만 좀 많이 길 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참견 부탁드립니다.

*이하는 읽기 편하시게 간결한 문체로 적겠습니다. 제가 혼자 메모 한 내용이라 생각하시고 읽어주세요
*가격을 원기준으로 적겠지만 환율은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어차피 엔화를 채굴해서 엔화로 소비하는거니...
따라서 (엔*10)원으로 적을텐데 그냥 한국 가격이라 생각해주세요.

----------------------------------------------------------------------------

*용도
-자바, 파이썬, 오라클 등등 개인 코딩공부용+게임용(스타+롤이 메인)
-모니터 27인치 144Hz보유 중
-글카까지 사려면 현재 예산에서 많이 초과되어, 애매한 글카 사느니 한두달은 내장그래픽으로 돌리고 이후에 제대로 된 글카 사서  추가 할 계획중. 롤 스타 정도는 내장으로 충분히 커버될것으로 생각 됨
-예산 MAX 120만원 생각 중


1.CPU
-내장그래픽 돌릴것이니 당연히 F가 붙지 않는 모델을 살 것
-i7도 잠시 생각해봤지만 컴살때마다 항상 i7을 생각했지만 타협해서 i5를 썼으면서도(직전컴 12400) CPU때문에 벽느낀 적은 없음. -> i5 결정
-여기저기서 라이젠도 많이 추천해줘서 모델명 공부를 해보려 했지만 도저히 이게 어느정도의 성능인지, 가성비가 어떤건지 전혀 모르겠음...
-그냥 어느정도 감이 오는 인텔을 가려하지만 라이젠이 유의미한 가격대비 메리트가 있다면 쓸 의향은 있음
-일단 인텔로 생각하고 i5가려했지만 13400 13500 13600 세종류가 있었음.
오프라인 완본체 보니 대부분 13400. 13600은 주류는 아닌듯 했음.
-3400 13600 가격차이가 약 10만원 차이가 나는데 이것이 유의미한 차이인지? 10만원을 따른데 투자하는게 하거나  맛있는거 사먹는게 나을지?
예산 13400일 경우 35, 13600일 경우 45정도로 파악중

2.COOLER
-그냥 기쿨of기쿨로 갈 것. 비싼거 쓴다고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
-돈을 아낀다면 여기서 아끼는게 맞을지도? 3만원대 생각중. 최대 5만 이상은 쓰기 싫음.
-뭐 신경써야 할 스펙은 없는 것 같아 그냥 가격대 맞으면 쓰려고 생각중

3.BOARD
-보드도 이번에 공부해 봤는데 B760, H770 ,Z790 순으로 좋은거 같았음. 근데 정확히 뭔차인지는 모름
-메모리 슬롯 4개로 갈 것(완본체 보드는 8기가 2개꼽아서 빈슬롯이 없었다... 직접조립하게 된 이유중 하나)
-저번주에 오프라인 매장 가보니 아직 DDR4가 많았음, DDR5는 이제 막 보급 시작된거 같은...
-이유는 모르겠지만 왠지 DDR5는 가고싶음
-Plce인가? 이것도 4.0 3.0 뭐가 좀 차이 인것 같은데 이건 레알 모르겠음.... 글카 연결할때 쓰는 방식인가...
예산 15만원. 17 18정도는 상황이 그렇다면 쓰겠지만 20이상은 쓰고 싶지 않음

4.RAM
- 16기가. 8 X2 or 16X1정도로 고민중. 가격도 정직하게 용량에 비례해서 늘어났음
- 보드에도 적었듯이 DDR4와DDR5가 있었는데 가격차이는 거의 안났음
- 뭐 메모리 오버클럭 이런거 할 줄도 모름. 그냥 순정으로 쓸 예정.
- 그래서 항상 삼성 시금치(?, 맞나) 썼는데 이나라는 또 삼성램이 잘 안보임.
- 그래서 여기도 그냥 현장에서 많이 나가는 기본 메모리로 가기로
- 신경써서 봐야 할 스펙이 있는지?

5.SSD
-한국이었다면 그냥 이것저것 안따지고 귀에 익은 삼성 에보라인 사려했지만. 일본은 삼성게 잘 안보임. 그래도 그나마 눈에 익은 crucial 갈까 고민중.
-보드에 '딸깍'하는게 M.2엿나? 암튼 그걸로 1TB.
-그 이외의 여분 저장공간은 한국에서 자료 백업해둔 HDD 2개와SSD1개가 올 예정.
-예산은 8생각중. 최대 10.


6.POWER
-700~750W 생각하고 있었지만 견적에서 아낀다면 여기서 650W 해도 될 것 같음. 글카 꼽아도 600이나 650이면 되지 않을까??
- 브론즈 골드 인증은 많이 들어봤는데 이게 안정성에 큰 의미가 있는가? 여기서 좀 아끼면 되지 않을까??
살면서 파워 뻑난적은 한번도 없음. 아, 낙뢰 맞아서 한번 교체한 적은 있음. 그래서 파워 안전불감증 아닌가 싶기도...
예산 8~10

7.CASE
-어차피 집에두고 쓸거라 좀 커도 상관없음. 글카사고 사이즈 안맞아서 안들어가는거보다 그냥 넉넉히 큰거 사고 싶음.
- 보아하니 대응 글카 사이즈가 보통 300mm였음. 글카스펙을 보니 2팬은 보통 280mm, 3팬은 320mm인것 같음
-글카를 뭘 쓸지를 아직 모르니 320은 넘는거 사야하지 않을까...
-대응보드 사이즈가 ATX, mATX이런게 있는게 있는거 같은데 이건 사기전에 현장에서 호환여부 점검받을 것.

8.OS
- 윈도우 11 HOME [FPP] 일본어판
- 가격은 어딜가도 17만원 국룰 정찰제인듯?
- 완본체 싫었던 이유중 또 하나. 완본체 DSP로 컴바꿀때마다 윈도우 사기 싫었음.
- 일본어판 구입해도 초기 설치할때 언어만 한국어로 설정하면 한국어판 윈도우하고 다를게 없겠지??

*따라서 총예산을 너그럽게 잡을시
CPU 45
COOLER 5
BOARD 15
RAM 10
SSD 10
POWER 7
CASE 7
OS 17
대충 120 안짝으로 구성하고 싶음. 이 이상은 좀 부담 됨.

*항상 자본주의적 관점에서 조립공임 주고 해결했는데, 처음이라 잘 되려나. 조립 전 주의점 알아보기
*조립 이런건 평소에 평균이상이라고 생각하는 편이고 유튜브 몇 개 보니 주요부품들은 뭐 억지로 욱여넣지만 않고, 쎄하면 한발 물러나고... 그냥 '딸깍'만 잘하면 될거 같은데 유일하게 걱정되는건
메인보드에서 케이스의 전면 USB, 램프 등등 자잘한 선 연결하는게 좀 겁남. 잘 숙지 한 다음 할 것

*현장에서 묶음구매 할인 네고 가능하면 할것.
*랜선, 멀티탭등 어차피 추가로 사야되는거 서비스 달라고 떠볼 것. 그런게 또 뭐있지...(크크)

----------------------------------------------------------------------------

죄송합니다. 많이 길죠...
계속 생각하다 보니 꼬리에 꼬리를 물고 한도끝도 없이 길어져서...

전체적으로 제 생각에 대해 참견, 훈수 부탁드립니다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ymaster
23/09/08 22:52
수정 아이콘
질문 드릴게 있었는데 댓글 날아가서 다시 씁니다...
일본 쪽은 달라서 함부로 조언하기는 뭐 하지만 그래도 짜보기 전에 질문 드리자면,
기존 컴에서 회수 가능한 것이 스토리지 뿐인건지, 윈도우는 처음 사용자용(FPP)이면 키 회수 가능하고, 13400 고려하셨다면 12400에 비해 멀티 성능만 살짝 강화된 거고, 13600K는 저 둘에 비해 확실히 성능이 좋다는 걸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글카는 뭘 고려하신건지 궁금합니다. 이에 따라 추천 파워도 달라질 것 같군요.
오렌지 태양 아래
23/09/08 23:01
수정 아이콘
아 기존 컴은 일단 프리볼트가 아니었고
그렇다고 직접 가져가기도, 화물로 보내기도 부담스러워서
현지에서 맞추자고 결정하고

윈도우를 포함한 본체를 사촌동생에게 착한가격에 주고 왔습니다.

C드라이브로 쓰던 메인보드에 달려있던 M.2 SSD 만 주고
제가 개인적으로 쓰던 2.5인치(맞나?) SSD와 3.5 HDD2개는 따로 분리해서 한국 본가에 보관하고 있구요. 여기서 컴맞추면 보내달라고 해놓은 상태입니다

CPU는 확실히 다르군요. 감사합니다. 고려해보겠습니다.

글카는 한국에선 마지막으로 3060썼는데 결국 AAA게임은 잘 안하고 롤 스타 머신이 되긴 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사양 요구하는 게임도 하고 싶어서....
그래도 70까지는 안 살것 같고
결국 60친구들인데
지금 3060, 3060Ti,4060,4060Ti 줄을 못세우겠습니다.크크

금액적으론 50만원 언저리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탐 켄 치
23/09/08 23:11
수정 아이콘
와 일본은 어떤가 해서 도스파라 가보고 말해야지 싶어서 보니까 한국보다 비싸네요. 보증도 짧다는데...
CPU는 개인용, 작업용으로는 인텔이 좋습니다. 계속 로드를 쭉 거는상황이면 라이젠이 더 저전력인데 라이젠은 켜놓기만해도 보드칩셋이랑 전기를 퍼먹어요. 13500 추천
보드는 B660 정도면 개인용으로 충분할듯.
ASRock B660M Phantom Gaming 4 (B660 1700 MicroATX) ドスパラ限定モデル 업글 안할꺼면 요제품 사시고 업글하실거면 B760 적당히 좋은거 사세요
쿨러는 딥쿨 AK400
메모리는 DDR5 16*2 32GB 추천 십만엔 초반대네요. 오버클럭 안할꺼면 회사는 별 상관없는게 보통 초기불량 말고 고장 잘 안나고 단종시까지 워런티 됩니다.
파워도 좀 적고 비싸네요. 딥쿨꺼 추천합니다.
오렌지 태양 아래
23/09/08 23:2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가격은 막 최저가 근처까지 안가더라도
어느정도 납득가능한 금액이면 시간아끼는 금액이라 생각하려구요.

말씀해주신 보드 보고왔습니다.
https://www.dospara.co.jp/SBR1530/IC477965.html
가격이 10만원 초반대라 램에 더 투자할 수 있을 것 같긴하네요.
근데 DDR4대응인것 같아서요...
탐 켄 치
23/09/08 23:33
수정 아이콘
앗 자세히 안봤더니 D4 보드네요 ㅠ. https://www.dospara.co.jp/SBR1755/IC484087.html 애즈락제품이 저렴하고 괜찮아보이는데, 3슬롯 이상 고사양 글카 달거면 ASUS TUF GAMING B760M-PLUS (B760 1700 MicroATX) 보드나 ATX 보드로 업하세요.
오렌지 태양 아래
23/09/08 23:3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1만7천엔....ㅠ
저번주 시장조사하러 매장 둘러볼때도 느낀건데
DDR5보드 되면 가격이 1만7천엔은 되는군요

DDR4보드 만엔 초반
DDR5보드 1만7천 시작~

그때도 딱 이 느낌이었는데
manymaster
23/09/09 00:08
수정 아이콘
그러면 일단 한 번 짜보겠습니다.

CPU: 인텔 코어i5-13세대 13500 (랩터레이크)
컴파일러는 멀티코어를 많이 쓰다보니 이 정도만 되어도 체감 차이가 확 될껍니다. 12400에서 E코어만 8개 추가된 형태입니다. 게임에 비중을 더 두고 싶다면 코어 구성은 같지만, 코어 클럭도 더 높고, P코어 L2 캐시도 더 많은 13600K로 업하셔도 됩니다. 13600은 뒤에 K 붙은 걸 사셔야 합니다! 13600 노말은 보기 어려우실 수도 있겠지만, 13500하고 사실상 다른 것이 없습니다.
비슷한 가격대의 라이젠인 7600은 멀티 성능이 13400하고 12400 사이일 정도로 낮고 게이밍 성능이 13600K에 준할 정도로 높습니다. 내장 그래픽은 롤 30프레임도 버겁습니다. 이 견적에서는 프로그래밍 우선인거 같고, 내장그래픽으로도 롤이나 스타를 돌린다고 하셨으니까 인텔로 짜는 걸로 하겠습니다.
CPU 쿨러: PentaWave Z06D (BLACK)
일단 공랭 쿨러는 바람을 보드 반대 쪽으로 불어주는 플라워형, 보드 옆쪽으로 불어주는 타워형이 있고, 타워형에는 방열판 타워 하나 팬 하나 있어서 비교적 얇은 싱글 타워형, 방열판 타워도, 팬도 둘 있어서 뚱뚱한 듀얼 타워가 있습니다. 플라워형은 기쿨에도 쓰이는 최하급이고, 타워형은 당연히 듀얼 타워 쪽이 더 고급입니다.
13500에 이런 듀얼타워 중급~중상급은 좀 오버스펙 같긴 하지만, 뭘 구할 수 있을지도 모르고, 13600K에 쓰기에도 무난한 걸로 골랐습니다. 13600K는 RC1800도 가능하고, 13500에는 대부분의 듀얼 타워가 커버 가능합니다.
메인보드: MSI MAG B760M 박격포
13600K면 이거 구하시는 것이 베스트일 거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21만원 정도 하고, B760 칩셋이라 B660보다는 전압 관리도 잘 되고, 전원부도 드라이버 모스펫으로 구성되어있어서 13600K는 여유있게 커버할 수 있습니다. DDR5하고 DDR4는 게임 성능 차이도 좀 나고, 13600K에 DDR4는 좀 아깝다는 평도 많습니다. 13500이면 이 보드의 B660판이 가장 베스트 일거 같고, ASUS TUF Gaming B660M-PLUS 보시는 것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저 개인적으로 기가바이트 보드는 추천을 잘 안하긴 한데, 기가바이트 보드를 사실 생각이라면 13500에는 GIGABYTE B760M GAMING X, 13600K에는 GIGABYTE B760M AORUS ELITE 보시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보드 사면서 DDR4인지 DDR5인지 확인해주세요. 램하고 맞춰야 합니다!
메모리: ESSENCORE KLEVV DDR5-5600 CL46 (16GB) *2
프로그래밍용으로는 메모리 많이 먹는다고 하더라고요. 특히 가상 머신 돌린다면 16기가로도 모자르다는 이야기도 많아서 32기가로 잡았습니다. 특히 컴 성능이 늘어나다보니 기존에 램이 충분하다 하셨더라도 컴을 더 많이 돌리면서 램 부족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있고 최신 고사양 AAA 게임도 램을 32기가 요구하는 것도 있어서 32기가로 맞췄습니다. 16기가로 낮춘다고 하더라도 8기가 2개 권장드립니다. 듀얼 채널이라고, 램 대역폭을 늘리는 기술이 있는데 램을 2개 꽂아야 적용되고, 이거 적용이 안 되면 CPU 성능도 떨어집니다.
DDR5는 AMD 쪽에서는 호환 이슈가 많지만, 그게 아니더라도 불량 이슈가 곳곳에서 있긴 합니다. 삼성도 불량 이슈가 있지만, 거기서는 없다고 하니 클레브, 팀그룹, 마이크론 순으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600, 혹은 44800으로 표기되는 것이 성능이 미세하게 뛰어나고 4800, 혹은 38400으로 표기되는 것은 성능이 미세하게 떨어집니다.
DDR4 보드로 사셨다면 DDR4 메모리는 마이크론 3200이면 무난하니까 이거 우선으로 추천드립니다.
SSD: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M.2 NVMe
한국에서 이거 아주 가격 팍팍 떨어지는 군요. 마이크론이 잘 보인다고 하니까 이거 골랐습니다. P3 계열은 QLC라서 속도 하드급입니다. 이 SSD는 PCIe 4.0 치고도 비교적 뜨겁다고는 한데 제가 추천한 보드들에서는 M.2 방열판 제공하니까 큰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파워: 시소닉 A12 STANDARD 230V EU SSR-600RA LLC
13500에 4060 Ti면 600W 정도면 여유 있습니다. 13600K에도 괜찮아 보이고, 700W 가는 것도 생각해볼만합니다. 시소닉 A12나 FSP HYPER K 이 둘이 안정성 1티어니 구하실 수 있으면 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케이스: darkFlash DF2100 MESH RGB 강화유리
다크플래시에서 나온 신제품으로 한국에서는 6만원대 하고, 이 가격대에서는 평 좋은 제품입니다. 다크플래시 브랜드가 한국 브랜드가 아닌 만큼, 한국 바깥에서도 구할 수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픽카드를 달 예정이다보니 전면 팬은 있는 것이 좋고, 듀얼타워 공랭 달 정도면 싸구려는 아닌 게 좋긴 합니다. 4060, 4060 Ti면 250mm 미만의 작은 글카도 꽤 있고, 심지어 4070도 작은 글카가 있습니다.

http://shop.danawa.com/short/4i70FB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혹시 그 쪽에 제가 말씀드린 것이 없다면 얼마든지 질문 다시 올리셔도 됩니다. 그러면 만족할만한 컴퓨터 구매가 되길 빕니다.
오렌지 태양 아래
23/09/09 00:54
수정 아이콘
선생님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ㅠ
생각이 정말 많이 정리되었습니다.
지금 부품 하나하나 검색하고 보고 있습니다.(폰으로 보려니 너무 불편....ㅠ)

CPU는 13600까진 제가 전혀 체감을 못할 것같고 13500으로 예산을 확보 후 다른 부품에 나눠주는게 나을 것 같네요

보드는 13500이면 B660도 괜춘. 현장에서 총액 따져본뒤 여유있으면 670업글? 근데 13500으로 간 이상 일단 우선순위 젤 뒤로...
DDR5 꼭 확인할 것

메모리는 제가 가격을 착각했군요
8*2가 8만원정도인줄 알았는데 16*2가 8만원대였나요... 세상에.... 이럼 당연히 32로...
DDR5확인 후, 말씀해주신 미세한 넘버링 체크하기.
선생님 근데 클레브도 잘 안보이네요 커세어 지스킬 CFD?, crucial 정도로만 보이네요...
메이커 차이가 없으면 말씀하신 조언 내에서 사도록 하겠습니다

파워도 글카 70번대 안쓰고 60(Ti)친구들 쓰면 600대에서 해결 가능하군요

쿨러도 기쿨보단 한단계 더 보겠습니다. 생각보다 다른부품에서 여유가 생길 것 같네요.

등등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하나하나 따로 시키는게 여간 귀찮아서 내일 한번에 매장에서 쓸어오려 하는데 역시 변수는 원하는 제품이 있는지 문제군요.... 답변해주신 댓글 잘 참고해서 현장에서 잘 판단 해 보겠습니다.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글 올려놓고 추가로 생각난 게 하나 더 있는데

이전컴 쓰면서 유일하게 성능 아쉬움을 느꼈을 때가
플래닛 코스터 할 때였는데요
오브젝트 좀 늘어나니까 버벅거리는...

아마 글카사면 처음으로 할 게임이 플코일것 같은데 이런 문제는 역시 램문제겠죠?? 32로 가면 좀 나으려나....
manymaster
23/09/09 01:57
수정 아이콘
플래닛 코스터 관련해서는 이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FXYCida6YWk

도스파라 사이트 있는 거 알았으니까 저도 다시 짜보겠습니다.
CPU: Intel Core i5 13500 BOX 37,730円 https://www.dospara.co.jp/SBR1481/IC484138.html
자세한 이야기는 전에 설명했으니까 여기서는 패스.
CPU 쿨러: DEEPCOOL AG620 ARGB R-AG620-BKANMN-G-1 7,929円 https://www.dospara.co.jp/SBR282/IC481708.html
듀얼 타워 중에서는 이게 가장 싼 걸로 보이네요. 그런데 꽤... 비싸네요. 이 정도면 성능 살짝 까지더라도 AK400 보셔도 될 것 같긴 합니다.
메인보드: ASRock B760 Pro RS 20,980円 https://www.dospara.co.jp/SBR1755/IC484084.html
전원부 모스펫이 드라이버 모스펫이면서 B760인 보드들 중에서는 이게 가장 싼 거 같습니다. 13600K도 커버합니다. 전원부 방열판도 작지 않고, 두꺼운 글카도 달 수 있고, M.2 방열판도 있고... 괜찮은 보드입니다.
메모리: G.SKILL F5-5600J3636C16GX2-RS5K (DDR5 PC5-44800 16GB 2枚組) 14,600円 https://www.dospara.co.jp/SBR1534/IC477977.html
지스킬... 이 메모리는 원래 튜닝램이라고, 램 모듈을 어디서 받아다 자기들이 오버클럭한 다음, 이걸 XMP 같은 특정 기술을 통해 다른 메인보드에도 쓸 수 있게 하여 내놓은 제품입니다. 물론 오버는 오버라서 아예 지원 안 되는 메인보드에 쓰면 곤란하기에, 램 제조사에서는 QVL을 명시하여 어떤 보드에서 안 되면 교환이나 환불 등, 보증을 해주겠다고 합니다. 이 램의 QVL( https://www.gskill.com/qvl/165/377/1640229565/F5-5600J3636C16GX2-RS5K-F5-5600J3636C16GA2-RS5K-QVL )에서는 제가 이번에 고른 메인보드가 있네요.
이 메모리의 XMP는 5600 클럭에 타이밍도 조여진 형태인데, 이를 적용시킬 생각이라면, 바이오스에서 XMP 관련 설정을 만지시면 됩니다. 궁금하시다면 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QR3PFkSnYW4 )을 참고해주시고, 굳이 적용하시지 않으실 생각이라면 도스파라에서 말하는대로 그냥 4800 표준으로 쓰실 수 있으실껍니다.
SSD: Samsung 970EVO Plus MZ-V7S1T0B/IT (1TB) 9,430円 https://www.dospara.co.jp/SBR1144/IC457781.html
970 에보플 있었네요. 원래도 믿을만하셨다고 하니까 사족은 패스.
파워: SUPER FLOWER LEADEX V G130X 650W 14,490円 https://www.dospara.co.jp/SBR83/IC490320.html
슈퍼플라워 리덱스가 반갑네요... 파워는 이거 밑으로는 아예 모르거나, 안정적이라 검증을 받았는지 모르는 브랜드 뿐이라 이걸로 골랐습니다. 슈퍼플라워 리덱스 골드면 전기료도 아껴주고 길게 쓰면서 장기적으로 싼 파워 가는 것보다 돈을 더 아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일본 전기료는 잘 모르겠네요.
케이스: DEEPCOOL CH560 BK R-CH560-BKAPE4-G-1 (E-ATX ガラス ブラック) 12,369円 https://www.dospara.co.jp/SBR79/IC491144.html
전면 팬이 있는데 후면 팬은 없는 케이스도 있네요... 문화 충격입니다.
일단 전면 팬, 후면 팬 둘 다 기본제공 하는 케이스를 찾다보니 여기까지 왔네요. 아니면 싼 케이스를 사고 팬을 집어넣어야 하는데... 집어 넣을 팬은 또 따로 봐야하는지라... 그냥 기본 제공하는 걸로 골랐습니다.
OS: Microsoft Windows 11 HOME 日本語パッケージ版 (HAJ-00094) 15,680円 https://www.dospara.co.jp/SBR170/IC479480.html
OS 패키지 판이라고 하는데 이거 FPP겠죠?

다 더하면 133,208엔, 원으로 하면 5000원 정도 예산 초과가 나오네요.
그리고 윈도우 설치하고 나서 메인보드 드라이버를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가급적이면 찾아서 까셔야 합니다. 제가 이번에 말씀드린 메인보드는 이 곳( https://www.asrock.com/mb/Intel/B760%20Pro%20RS/#Download )에서 맨 위부터 VGA 드라이버까지, SATA Floppy Image 빼고 다 설치하셔야 합니다. 그 밑으로는 유틸리티이고, 일부 유틸리티는 충돌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설치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 밖에 조립은 연습을 해야 부품 망가트릴 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만... 그 조립 연습용 PC는 없을테니... 이거 하나는 명심하세요. 조금이라도 억지로 끼워질 거 같으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겁니다. 억지로 하시지 마시고 잘 되고 있나 두세번 확인 권장드립니다.
오렌지 태양 아래
23/09/09 02: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 선생님 굳이 이렇게 수고스럽게 견적까지...ㅠ

플코 영상 감사합니다. 그냥 겜 최적화가 쓰레기였네요...크크 겜 자체가 무식하게 돌아가는건 알고는 있었는데...

근데 견적이...ㅠ 보시기 편하시라고 제가 그냥 임의로 *10해서 원으로 표기한건데,
제 예산은 12만엔 이었습니다.ㅠ 어떻게 좀 타협하면 11만, 진짜 맥시멈 12만엔은 안넘기려 했는데..ㅠ
CPU,SSD 정도 빼면 부품 전체적으로 생각한 것보다 조금씩 가격이 올라서 어디서 타협을 봐야하나 고민되네요.... 더 질문 드리기도 죄송합니다. 제가 공부 더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조립팁은 본문에도 적었지만 원체 들은게 많아서...크크 쎄하면 일단 한발 물러나서 확인하라고...
유튜브 영상 몇개 보고 할만한데? 싶었는데
조언듣고 경각심이 다시 생기네요. 조심하겠습니다
(조립비 10만원에 이 무슨 스트레스....크크)

감사합니다 ㅠㅠ
manymaster
23/09/09 03:40
수정 아이콘
저기서 조금 더 싸구려를 가야한다면...
CPU 쿨러: DEEPCOOL AK400 R-AK400-BKNNMN-G-1 2,980円 https://www.dospara.co.jp/SBR282/IC478940.html
메인보드: ASRock B760M PG Riptide (B760 1700 MicroATX) 17,980円 https://www.dospara.co.jp/SBR1755/IC484087.html
케이스: ENERMAX PABYS PB30 ECB-PB30-BB-ARGB (ATX ガラス) ドスパラ限定モデル 4,390円 https://www.dospara.co.jp/SBR79/IC471734.html
케이스 쿨러: DEEPCOOL RF120 FS DP-FLED3-RF120-FS *3 1,800円 https://www.dospara.co.jp/SBR283/IC466527.html
이렇게 가시는 걸 권장드리겠습니다. CPU 낮추는 것도 생각해봤는데 고작 천엔 차이라서 그냥 13500에서 성능 살짝 까고 쓰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아... 메인보드는 저 밑으로 진짜 개 구린 거 밖에 없는데 그나마 저게 전원부 방열판이 커서 뭐라도 될 거 같긴 하네요. 전원부 페이즈는 하나하나가 노답인 걸 숫자와 방열판으로 겨우 보완한 메인보드입니다. 13500 100퍼 커버는 장담 못합니다. 그리고 조립 초보분께 케이스 쿨러를 따로 사서 조립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것도 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583 [질문] 그랜저 하이브리드 vs k8 하이브리드 선택 고민입니다. [10] 기억의습작7283 23/11/16 7283
173558 [질문] 게임용 PC 구입 질문입니다. [7] 빠른정형돈6324 23/11/15 6324
173549 [질문] 컴퓨터 구매 직전입니다. [2] 꿀벌6736 23/11/15 6736
173545 [질문] 조립 컴퓨터 견적 검토 부탁드립니다. [15] 꿀벌7373 23/11/15 7373
173498 [질문] 7800X3D 4080 견적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Skyfall6633 23/11/11 6633
173448 [질문] 조립 PC 질문드립니다. [6] Buybitcoin7436 23/11/08 7436
173331 [질문] 새 PC 견적 내보려고 합니다. [7] 한아6630 23/10/31 6630
173231 [질문] PC 견적 문의 [8] 이동파6426 23/10/25 6426
173206 [질문] 사는집 샤시 교체 어떨까요..? [15] 탄야7345 23/10/23 7345
173148 [질문] 이사 견적 적당한지 봐주실 분? [4] Pika486451 23/10/19 6451
173128 [질문] 완제품(?) 데스크탑은 보통 어느 브랜드가 저렴한가요? (추가 PC 견적 문의) [22] 라인하르트6633 23/10/18 6633
172978 [질문] 컴퓨존 vs 아이코다 200만원컷 게이밍 피씨 견적 비교 [10] 김꼬마곰돌고양8435 23/10/09 8435
172908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입니다. [7] 닉네임이뭐냐5856 23/10/04 5856
172887 [질문] 오래된 책을 어떻게 정리하시나요? [10] 개그니6152 23/10/02 6152
172878 [질문] 기본 컴퓨터 견적 질문입니다 [2] 회전목마6017 23/10/02 6017
172860 [질문] 집 리모델링 인테리어 공사 견적이 어느정도 될까요? [10] GogoGo5320 23/09/30 5320
172801 [질문] PC 견적 질문 [6] 최적화6209 23/09/25 6209
172766 [질문] PC견적 부탁드립니다. [6] 산밑의왕6311 23/09/23 6311
172757 [질문] 안녕하세요 PC 컴퓨터 견적 문의드립니다 [11] 코왕6544 23/09/22 6544
172731 [질문] 맥북 패러럴즈가 궁금합니다 [13] Choi`5605 23/09/21 5605
172666 [질문] 노트북 그래픽 카드와 데스크탑 그래픽 카드가 다른가요? [9] 꿀벌6682 23/09/17 6682
172622 [질문] PC 견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유자마카롱5213 23/09/15 5213
172596 [질문] 사무용피씨 견적좀 부탁드립니다. [5] 재이소이6652 23/09/14 66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