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01 11:58:14
Name 니체
Subject [질문] 고등학교 물리 커리큘럼 질문
제가 지금 고등학교 물리 수업을 들으면 이해가 매우 잘되는데요

고등학교 다닐 때는 물리가 너무 싫었던 것 같습니다.

근데 이유를 생각해 보면 대학 때 배운 선형대수나 일반물리학의 배경이 있는 상태에서 들으면 이해가 잘 되는 내용인 것 같아요.

그 중에서도 특히 스칼라와 벡터의 개념이 핵심이라고 보이는데,

고등학교 때는 이 개념에 대한 설명 없이 바로 속도, 가속도 등에 대한 공식 얘기만 나왔던 것 같거든요.

요즘 고등학교 물리 커리큘럼 보신 분들 계신가요?

제가 당시에는 들어도 이해가 안돼서 그랬던건지

아니면 요즘에는 스칼라, 벡터 개념부터 설명을 해주는지, 여전히 이런 기본 개념없이 공식부터 가는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01 12: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 교육과정에서부터 이미 물리 시간과 수학 시간에 스칼라 벡터 개념을 설명하고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 때는 글쓴 분과 저를 비롯해서 많은 물포자들이 벡터 개념을 받아들이기엔 어린 나이였던거죠.
저도 일반 물리를 대학교 가서야 깨우쳤었습니다.
근데 그제서야 뒤돌아보니 고등학교 때 선생님이 속력과 속도의 차이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시면서 이미 스칼라와 벡터 설명을 하신게 기억이 나더라구요..

추가로, 가속도라는 것도 미분 개념이 제대로 확립이 되어 있어야 가능한데, 예전 교육 과정에서는 수학에서 미적분을 배울 때 물리를 동시에 배워서 더 어려웠을 겁니다. 수학에서 미적분을 배우는 건 1학기 중반 이후인데, 물리에서 속도 가속도를 배우는 건 1학기 초반이니까요.
그런데 요즘 고3 친구들은 벡터를 안 배우는 대신에 미적분을 엄청 디테일하게 공부해서 그런지, 그래프에서 접선의 개념, 속도와 가속도의 차이를 비교적 잘 알고 있긴 하더군요.
23/09/01 12:35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듣고도 이해가 안됐었던거였군요. 미분 적분을 미리 이해했으면 물리에서 기울기와 면적을 이해하기가 더 쉬웠겠네요. 이런걸 보면 과목을 통합적으로 생각하는 커리큘럼이 좀 더 정교해지면 좋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3/09/01 12:44
수정 아이콘
대학 06학번인데 Stylish님 말씀처럼 스칼라/벡터개념 고등학교때 전부 다 배우고 물리시작합니다.
참고로 수능물리 만점이었습니다.(지금은 바보가 됨)
23/09/01 14:24
수정 아이콘
원래 역학 제일 처음에 설명하고 시작 했습니다.
속력과 속도의 차이 설명할 때부터 바로 등장.
메모장시인
23/09/01 15:49
수정 아이콘
고등교과서 및 개념서에는 (하이탑제외) 벡터와 스칼라 라는 용어 자체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크기는 존재하지만 방향성이 있다없다, 크기는 절대값을 의미한다 등 풀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학교 및 학원 선생님들은 역학시작전 벡터와 스칼라 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수업하고있습니다
23/09/01 17:0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저는 벡터의 개념이 운동을 표현하는데 매우 명쾌하다고 생각해서 벡터를 먼저 배우는게 매우 유리하게 느껴지네요.
메모장시인
23/09/01 18:09
수정 아이콘
물리학1(고2과정)에서는 직선상의 운동을 배우다 보니 방향이라는것 자체가 + 또는 - 두가지로 표현이 가능하거든요, 그래서 자세하게 다루지 않네요,
물리학2(고3과정)에서는 가장먼저 벡터의 연산부터 배우기는 합니다, 다만 수능 및 수시에 필수가 아니고, 물리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없다보니.. 알고있는 학생이 많이 없습니다( 수학 선택과목 기하에서도 다루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820 [질문] 신차 틴팅 관련 질문 드립니다. [10] 원스5976 24/04/17 5976
175818 [질문] 비슷한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Aiurr6570 24/04/17 6570
175817 [질문] 사이버펑크 2077할만 한가요? [13] 구급킹7394 24/04/17 7394
175816 [질문] 유재석의 12제자는 누구인가요? [23] 오타니8880 24/04/17 8880
175815 [질문] 아기가 키즈카페 대신 어린이집에 가야 하는 이유 [28] 랑비8740 24/04/17 8740
175814 [질문]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쿨럭6999 24/04/17 6999
175813 [질문] 기자가 A모 인사, B모 인사 식으로 익명 출처를 남길때 허위로 쓸 수도 있나요? [9] No.99 AaronJudge6893 24/04/17 6893
175812 [질문] 위탁수화물 물건 중 빼야되는 것을 골라주세요 [7] DogSound-_-*6828 24/04/16 6828
175811 [질문] 5600x에서 5700x3d 업글 가치가 있을까요? [7] 레이오네7154 24/04/16 7154
175810 [질문] 5G 통신사는 어디가 제일 나을까요?? [5] 꿀벌6917 24/04/16 6917
175809 [질문] 이렇게 나오는 음식은 어떻게 먹는게 정석인가요? [7] SaiNT7452 24/04/16 7452
175808 [질문] 버즈2프로는 절대볼륨 비활성화 안 되나요? [2] 귀여운호랑이6287 24/04/16 6287
175807 [질문] 삼체를 보다가 수알못 물리알못이 보기에는... [15] 개가좋아요6215 24/04/16 6215
175806 [질문] 결혼기념일을 집에서 안전하게 보내기 위한 조언을 구합니다. [14] JoyB7062 24/04/16 7062
175805 [질문] 요즘 필름 현상 인화는 어디서 얼마에 하나요? [3] 고요6448 24/04/16 6448
175804 [질문] USB-C KVM 입력에 PC HDMI 연결 가능할까요? [2] 바쿠7414 24/04/16 7414
175803 [질문] 풀리오 목 어깨 마사지기 [11] SKT T1 FAKER7691 24/04/16 7691
175802 [질문] LOL) 본캐가 에메랄든데 실버에서 허덕입니다 [22] 서귀포스포츠클럽8024 24/04/16 8024
175801 [질문] 혹시 뤼튼 사용해서 글을 다듬거나 작성하시는 분 계실까요? [5] Part.36212 24/04/16 6212
175800 [질문] 층간소음 유발 세대 알아내는 방법 없을까요? [15] 43년신혼1년7210 24/04/16 7210
175799 [질문] 드디어...! PC견적 질문 드립니다. [21] Winter_SkaDi8166 24/04/16 8166
175798 [질문] 컴퓨터 본체 중고가격 책정 좀 부탁드려요 [7] 정유미6088 24/04/16 6088
175797 [질문] 경주 여행 교통편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13] 황신강림6034 24/04/16 60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