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9/01 11:58:14
Name 니체
Subject [질문] 고등학교 물리 커리큘럼 질문
제가 지금 고등학교 물리 수업을 들으면 이해가 매우 잘되는데요

고등학교 다닐 때는 물리가 너무 싫었던 것 같습니다.

근데 이유를 생각해 보면 대학 때 배운 선형대수나 일반물리학의 배경이 있는 상태에서 들으면 이해가 잘 되는 내용인 것 같아요.

그 중에서도 특히 스칼라와 벡터의 개념이 핵심이라고 보이는데,

고등학교 때는 이 개념에 대한 설명 없이 바로 속도, 가속도 등에 대한 공식 얘기만 나왔던 것 같거든요.

요즘 고등학교 물리 커리큘럼 보신 분들 계신가요?

제가 당시에는 들어도 이해가 안돼서 그랬던건지

아니면 요즘에는 스칼라, 벡터 개념부터 설명을 해주는지, 여전히 이런 기본 개념없이 공식부터 가는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01 12: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 교육과정에서부터 이미 물리 시간과 수학 시간에 스칼라 벡터 개념을 설명하고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 때는 글쓴 분과 저를 비롯해서 많은 물포자들이 벡터 개념을 받아들이기엔 어린 나이였던거죠.
저도 일반 물리를 대학교 가서야 깨우쳤었습니다.
근데 그제서야 뒤돌아보니 고등학교 때 선생님이 속력과 속도의 차이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시면서 이미 스칼라와 벡터 설명을 하신게 기억이 나더라구요..

추가로, 가속도라는 것도 미분 개념이 제대로 확립이 되어 있어야 가능한데, 예전 교육 과정에서는 수학에서 미적분을 배울 때 물리를 동시에 배워서 더 어려웠을 겁니다. 수학에서 미적분을 배우는 건 1학기 중반 이후인데, 물리에서 속도 가속도를 배우는 건 1학기 초반이니까요.
그런데 요즘 고3 친구들은 벡터를 안 배우는 대신에 미적분을 엄청 디테일하게 공부해서 그런지, 그래프에서 접선의 개념, 속도와 가속도의 차이를 비교적 잘 알고 있긴 하더군요.
23/09/01 12:35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듣고도 이해가 안됐었던거였군요. 미분 적분을 미리 이해했으면 물리에서 기울기와 면적을 이해하기가 더 쉬웠겠네요. 이런걸 보면 과목을 통합적으로 생각하는 커리큘럼이 좀 더 정교해지면 좋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3/09/01 12:44
수정 아이콘
대학 06학번인데 Stylish님 말씀처럼 스칼라/벡터개념 고등학교때 전부 다 배우고 물리시작합니다.
참고로 수능물리 만점이었습니다.(지금은 바보가 됨)
23/09/01 14:24
수정 아이콘
원래 역학 제일 처음에 설명하고 시작 했습니다.
속력과 속도의 차이 설명할 때부터 바로 등장.
메모장시인
23/09/01 15:49
수정 아이콘
고등교과서 및 개념서에는 (하이탑제외) 벡터와 스칼라 라는 용어 자체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크기는 존재하지만 방향성이 있다없다, 크기는 절대값을 의미한다 등 풀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학교 및 학원 선생님들은 역학시작전 벡터와 스칼라 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수업하고있습니다
23/09/01 17:0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저는 벡터의 개념이 운동을 표현하는데 매우 명쾌하다고 생각해서 벡터를 먼저 배우는게 매우 유리하게 느껴지네요.
메모장시인
23/09/01 18:09
수정 아이콘
물리학1(고2과정)에서는 직선상의 운동을 배우다 보니 방향이라는것 자체가 + 또는 - 두가지로 표현이 가능하거든요, 그래서 자세하게 다루지 않네요,
물리학2(고3과정)에서는 가장먼저 벡터의 연산부터 배우기는 합니다, 다만 수능 및 수시에 필수가 아니고, 물리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없다보니.. 알고있는 학생이 많이 없습니다( 수학 선택과목 기하에서도 다루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082 [질문] 사기를 당할뻔했는데.. [13] 방탄노년단7193 23/12/20 7193
174081 [질문] 그래픽 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쑈메8214 23/12/20 8214
174080 [질문] 몸이 자주 아픈 직원 때문에 난감하네요 [31] 앗흥12111 23/12/20 12111
174079 [질문] 윈도우 비밀번호를 분실했습니다. [6] 삭제됨7663 23/12/20 7663
174078 [질문] 아이패드를 샀는데 지불방법 추가가 안 됩니다. [5] 귀여운호랑이7160 23/12/20 7160
174077 [질문] WiFi 연결해서 인터넷방송을 들을 수 있는 라디오가 있을까요? [4] 바다로6635 23/12/20 6635
174076 [질문] SUV 가 세단에 비해 주차가 어려운가요? [17] 카페알파8323 23/12/20 8323
174075 [질문] 예산 4000 정도로 살수 있는 자동차는 어떤게 있을까요? [43] 펠릭스8558 23/12/20 8558
174074 [질문] 리디북스 메가 마크다운 만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Arya Stark7041 23/12/19 7041
174073 [질문] 컴퓨존 게이밍 pc 그냥 사도 되나요? [22] 묵리이장8687 23/12/19 8687
174072 [질문] 크리스마스 혼자 재미있게 보내는 방법 질문 드립니다. [21] 송기범8070 23/12/19 8070
174071 [질문] 차의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가 의전원인가요? [9] Judith Hopps7431 23/12/19 7431
174070 [질문] 결혼하고 첫 크리스마스인데 선물로 추천해 주실만한게 있을까요? [23] 안녕!곤7968 23/12/19 7968
174069 [질문] 알뜰폰+인터넷 추천 부탁드립니다. [5] 7107575 23/12/19 7575
174068 [질문] 엑셀 행/열 간격 조절시 딜레이가 크게 발생합니다 [2] 수리검6377 23/12/19 6377
174067 [질문] 어렸을 적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일본 애니메이션 질문 드립니다. [18] 회색사과7107 23/12/19 7107
174066 [질문] 탈모약 프로페시아 1년치 약값이 어느정도 나오나요? [19] 원장8487 23/12/19 8487
174065 [질문] 어머니 생신 선물 어떤 것이 좋을까요? [2] 욱상이6231 23/12/19 6231
174064 [질문] 인스타에서 광고하는 세미패키지 여행 상품 어떨까요? [7] 호비브라운7182 23/12/19 7182
174063 [질문] 멀티페어링 키보드 1티어는 뭘까요. [7] 엔쏘6665 23/12/18 6665
174061 [삭제예정] 불법주장차 된 제 차에 사고를 낸 쪽에서 9:1를 주장합니다. [13] 어센틱7354 23/12/18 7354
174060 [삭제예정] [삭제예정] 여친이 제 폰을 새벽에 몰래 보고 기분이 나쁜 상태입니다 [2] 삭제됨6753 23/12/18 6753
174059 [질문] 롤 하는데 룬이 자꾸 바뀝니다... 어떻게 방법이 없을까요..? [4] 까만고양이7173 23/12/18 71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