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8/30 18:35:38
Name 공부맨
Subject [질문] 이사할 집 잔금 어떻게 맞추어야 할까요? (수정됨)
중거리 출퇴근을 하다가 직장 근처로 집을 사서 이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사는 집과 비슷한 시세인데요
기간이 1년 반이나 남은 전세낀 집을 매수 했습니다.
현재집은 이사해서 들어가면서  팔 계획입니다.

현재는 주택담보대출은 없고 신용대출 조금과 부모님께 빌린 돈만 있습니다.
3인가구이며,  일시적 2주택에 해당하면  특례보금자리 대출이 가능한것 같습니다.

근데 들어갈집이 구축이라  인테리어를 조금 하고 싶은데요..
세입자가 나갈때 줄 돈도 마련해야 하구요.

그래서 생각한 방안이

1.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니   현재 미리 특례보금자리 대출등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서
세입자에게 줄돈을 미리 대출받아서 가지고 있다가
나갈때 주고, 인테리어 기간동안 현재 집에서 살다가 팔면서 이사한다.

가장 안정적이지만, 대출을 미리 받아놔서  그동안 이자가 많이 나가는것 같습니다.


2. 세입자가 나갈때 집을 팔아서 금액을 지급하고
인테리어 공사를 하고, 그 기간 동안만 이삿짐 센터에 짐을 맡기고,  모텔에서 가족과 지내던지, 부모님 집에 붙던지  불편하더라도 참는다.


3. 1년반뒤일을 벌써 걱정할필요는 없다. 집 매도할 금액이 있으니 그때 상황봐서 그때 대출을 받던지 나중에 고민한다.
(대출 정책이 바뀌어서 일시적2주택자라고 대출이 안나올까봐 무섭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우스
23/08/30 19: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일단 집 사고 팔때는 현금흐름에 리스크를 가져가는건 절대 안 좋은 방향인거 같습니다. 당장 정치/경제 상황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나 정책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흘러가면 잔금 치르는 날에 답도 안나오는 상황이 생길수 있으니… 따라서 3번은 제외할거 같고요
1번이 정말 대출이 가능하다면 인테리어 기간 감안해서 적당한 가격과 일정에 빨리 매도하고 리스크를 최대한 줄이겠습니다. 괜히 좀 더 높은 가격에 판다고 계속 매도시점 기다리다가 부동산 시장 갑자기 얼어 붙고 몇개월간 아무도 집보러 안오는 경우도 있어서요
어제본꿈
23/08/30 21:28
수정 아이콘
현재 집을 전세나 월세끼는 형태로 팔고, 본인이 전세 또는 월세로 현재 집을 전입 시기와 맞춰서 계약하고,
그럼 현금 흐름이 생기니 그걸 이용하여 어떻게 해보는 건 어떨까요?
그리고, 현재 집을 파는 건 생각보다 오래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팔리도록 준비해야 할듯 하네요.
하아아아암
23/08/31 12: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1번은 일단 가능하지 않습니다. 세입자 안나가면 주담대 안나와요.

일시적 2주택이라고 해도 새 집 들어가면서 기존 집 팔기 전에 대출이 나오는거지 세입자 있는 상태로는 안나올겁니다. 새 집에 주담대 + 세입자면 이미 담보가치를 넘기때문에...

지금 살고 계신집으로는 주담대 나오긴하는데, 이걸로 받으시면 어짜피 이사갈때 정리하고 새로받아야합니다.

3으로 갈 수 밖에 없고, 매도를 하시든 기존 집으로 대출을 받든 융통할 돈은 어떻게든 만들 수 있으실겁니다. 꼬이면 비용이나 조금 깨지겠지만요
화서역스타필드
23/09/01 09:25
수정 아이콘
3번 밖에 선택지가 없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781 [질문] 반깁스 후 미서부여행 관련 질문입니다. [5] bettersuweet5474 23/09/24 5474
172777 [질문] iCloud 사용법 질문입니다 [4] 회전목마5637 23/09/24 5637
172715 [질문] 주식투자 좀 아시는 분들께 문의 [13] 안녕!곤6355 23/09/20 6355
172679 [질문] 평창 맛집 아시는 분 들 계실까요? [8] LG의심장박용택5894 23/09/18 5894
172668 [질문] 10명 제주도 비행기 티켓 구입 [6] 대고7141 23/09/18 7141
172602 [질문] 아이폰 업그레이드 질문. 현재 SE+11을 쓰고 있습니다. [4] 애플프리터5113 23/09/14 5113
172561 [질문] 부모님 핸드폰을 바꿔드릴 타이밍이 되었는데요 [2] 손금불산입5042 23/09/11 5042
172529 [질문] 가족이 해외에서 손목 바깥쪽을 크게 베여 힘줄이 손상됐습니다... [3] 맛있는사이다5819 23/09/09 5819
172446 [질문] 7세 닌텐도 스위치 게임 추천해주세요 [12] 비싼치킨5458 23/09/04 5458
172368 [질문] 이사할 집 잔금 어떻게 맞추어야 할까요? [4] 공부맨4908 23/08/30 4908
172344 [질문] 추석연휴에 영국여행을 갑니다. [4] 가이브러시6117 23/08/29 6117
172269 [질문] 중고 SUV 고민입니다(토레스? QM6? 서퍼티지?) [18] 사이시옷6750 23/08/24 6750
172193 [질문] 삿포로 징기스칸집 추천가능할까요 [8] 진공묘유6124 23/08/19 6124
172165 [질문] 제가 원하는 조건에 핸드폰을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9] 불독맨션5271 23/08/17 5271
172071 [질문] 코어장전 선수가 졸린 눈인지 궁금합니다. [18] 인생은아름다워6881 23/08/11 6881
171909 [질문] 11월 오사카 비행기 예매는 언제 하는 것이 좋을까요? [4] 사다드4742 23/08/01 4742
171904 [질문] 스마트폰 변경 잘 하는법 [3] 최적화5466 23/08/01 5466
171854 [질문] 전동 킥보드 사고 [1] 엘리엇5551 23/07/29 5551
171846 [질문] 모기의 계절이 왔습니다. 홈메트 추천좀 부탁드려요 [10] SaNa5122 23/07/28 5122
171790 [질문] 컴퓨터, 전자기기 장비 구입 질문(컴맹) [7] 고드방4958 23/07/25 4958
171703 [질문] 아파트 전세 연장 질문드립니다!(조금 상황이 복잡...) [11] 총알인생6729 23/07/19 6729
171697 [질문] 소득대비 월세 지출 비중이 어느 정도가 적정할까요?(자가X) [14] 라니안6652 23/07/18 6652
171653 [질문] 교통사고 민사소송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요? [5] 유니꽃6466 23/07/16 64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