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8/21 17:12:31
Name 기다리다
Subject [질문] 장기적으로 70평 아파트의 수요는 어떤 분위기인가요?
부동산은 잘 모르는 입장에서 그냥 평범한 생각을
하자면 70평 아파트는 왠지 출산율 저하 등의 이유로
수요층이 점점 줄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차라리 이거 팔아서 같은 동네 40평대 2채를 사거나
하는게 투자의 입장에서 낫지 않나?라고 무지성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부동산 쪽 공부 많이 하신 고수분들
의견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3/08/21 17:19
수정 아이콘
가족 단위가 줄어서 대형평수 수요가 줄긴 하지만 공급은 그거보다 더 심하게 줄어들고 있어서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짓는 신축 아파트들은 펜트 제외한 양산형 최대평수가 대부분 50-60평입니다. 프리미엄이라고 홍보하는 아파트들도 그래요.
재건축 사업성을 아주 조져놔서 그나마 잘 팔리는 국평 (지방 30평대, 서울 20평대) 위주로 많이 만드는 추세입니다.
23/08/21 17:20
수정 아이콘
인구수보단 가족구성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까요.
그리고 70평이상 아파트 세대수 자체가 상당희 희소해서.. 그렇게 출렁거리진 않을거 같네요
요즘 기준으로 1000세대 이상 대단지에도 70평 이상 평수는 5세대 안넘을 겁니다.
아예 없는 단지가 더 많을거구요.
김유라
23/08/21 17:27
수정 아이콘
상류층의 수는 유지된다고 봤을때, 그들의 큰집에 대한 수요는 견고할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레이티스트원
23/08/21 17:30
수정 아이콘
최상급지는 상관없을거 같고요 중급지 이하는 거래가 잘안되지 싶어요 그러다보면 30,40평대랑 가격이 많이 좁혀지겠죠
화서역스타필드
23/08/21 18:22
수정 아이콘
70평을 쪼개서 팔수는 없으니 투자성은 애매하고 거주 환경은 좋으시겠네요.. 저라면 팔고 32평 하나 24평 두채해서 3주택 할것 같아요..
리얼월드
23/08/21 22:38
수정 아이콘
다주택자 빌드 탔다가 정부정책에 따라 갑자게 나락가는 경우가....
마술사
23/08/21 19:06
수정 아이콘
최근 큰평수는 거의 신규공급이 안되고 작은평수는 법적으로 의무공급 비율이 정해져 있어서
비교적 신축의 70평이라면, 5년정도를 보면 상당히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의견은 나름 유튜브에서 균형잡힌 시각으로 유명한 이현철님의 의견을 참조했습니다.
일각여삼추
23/08/21 19: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급지에 따라 다릅니다. 최상급지(압구정 등)는 갖고 있는 게 나아보이고 나머지는 30~40평으로 급지 업그레이드 하는 게 장기적으로 어떨까 싶네요.
꿀깅이
23/08/22 00:11
수정 아이콘
환금성이 너무 떨어지죠
대신 부르는게 값일 수 있어서 매수자만 잘 만나면 대박날 수도 있죠 (삼성동 아이파크 같은)
고오스
23/08/22 04:14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씀대로 수도권이나 광역시 1급지 이상에서 대형 평수는 메리트가 있는데

그 밑에서 대평평수는 함정카드라고 봅니다
기다리다
23/08/22 07:46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23/08/22 11:21
수정 아이콘
근데 그렇게 쪼갤거면 30 / 20 / 20이 더 환금성이 좋지 않을까요
23/08/22 14:07
수정 아이콘
여러분들의 생각이 항상 맞습니다.

‘최’상급지 말고는 70평팔고 더 나은 상급지의 25평이나 32~34평 한채가 낫죠(정부규제). 급지 떨어질수록 40평대도 큰데 70평은 더더욱이죠. 코로나때 절정으로 치달을때도 대형평수는 소형평수에 비해서 보통은 늦게 올라갔습니다.

근데 그 70평이 재건축 사업성이 나오는 단지라면 대지지분보고 가져가던가(예전에는 이런게 저평가되어서 싸게 살수 있었는데 요즘은 다들 전문가라..) 예를 들어 압구정 현대나 한남더힐 같은곳들은 오히려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383 [질문] 53년생 아버지 갤럭시 워치 6 40mm 사드릴만 할까요? [17] 콩순이8189 23/08/31 8189
172382 [삭제예정] 스벅 1+1 쿠폰 가져가실분있나요? [3] 핸드레이크6816 23/08/31 6816
172381 [질문] 회사에 들어온 명절 외부 선물을 직원들에게 배포하는 방법 [18] 일신8143 23/08/31 8143
172380 [질문] 신차 사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4] 김리프6941 23/08/31 6941
172379 [질문] 차박을 해보려 하는데 필요한 장비가 뭐가 있을까요? [14] 포이리에9976 23/08/31 9976
172378 [질문] 오랜만에 글카를 바꿉니다 [3] 류 하야부사7440 23/08/31 7440
172377 [질문] 삼국지 11 PK 다이렉트x 관련 [2] 탑클라우드9102 23/08/31 9102
172376 [질문] 전세계약해지 관련 질문 [4] 쓸때없이힘만듬6455 23/08/31 6455
172375 [질문] 노래 하나만 찾아주세요. [2] possible7415 23/08/31 7415
172374 [질문] 신용카드 청구할인에 관한 질문입니다! [4] 마지막처럼9638 23/08/31 9638
172373 [질문] 오늘 용산CGV에서 영화 보실 분 있으신가요? (영화지정되어있음) [19] Rorschach9771 23/08/31 9771
172372 [질문] 면접을 해야합니다.(인사/채용담당자님 도와주세요) [4] 민서7995 23/08/30 7995
172371 [질문] 우리금융그룹 초청 국가대표 평가전 티켓팅 어떻게 하는지 아시는분 계실까요? [4] nekorean7833 23/08/30 7833
172370 [질문]  혹시 주말부부 하는 유부 분들 만족도 어떠십니까? [20] 빵떡유나10163 23/08/30 10163
172369 [질문] 축 늘어지고 우울할 때 볼만한 영상 있을까요? [10] 상록일기6660 23/08/30 6660
172368 [질문] 이사할 집 잔금 어떻게 맞추어야 할까요? [4] 공부맨7155 23/08/30 7155
172366 [질문] 인터넷tv 재약정vs 통신사 옮기기 [8] 꿈꾸는사나이8781 23/08/30 8781
172364 [질문] 직장에서 본인보다 나이어린사람들에게 존대하시나요? [92] 목캔디9428 23/08/30 9428
172363 [질문] 대형폐기물 스티커 vs 경비실 [16] CastorPollux8390 23/08/30 8390
172362 [질문] 구글 시트 특정 셀을 특정인만 수정권한을 주는방법 [2] 마인부우7520 23/08/30 7520
172361 [질문] 차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13] zzzzz8577 23/08/30 8577
172360 [질문] 문자왔는데 낚시일까요? [20] monkeyD7270 23/08/30 7270
172359 [질문] 중고차 구매 및 차종 선택에 조언 구합니다 [29] 스토너8301 23/08/30 83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