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8/21 17:12:31
Name 기다리다
Subject [질문] 장기적으로 70평 아파트의 수요는 어떤 분위기인가요?
부동산은 잘 모르는 입장에서 그냥 평범한 생각을
하자면 70평 아파트는 왠지 출산율 저하 등의 이유로
수요층이 점점 줄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차라리 이거 팔아서 같은 동네 40평대 2채를 사거나
하는게 투자의 입장에서 낫지 않나?라고 무지성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부동산 쪽 공부 많이 하신 고수분들
의견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3/08/21 17:19
수정 아이콘
가족 단위가 줄어서 대형평수 수요가 줄긴 하지만 공급은 그거보다 더 심하게 줄어들고 있어서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짓는 신축 아파트들은 펜트 제외한 양산형 최대평수가 대부분 50-60평입니다. 프리미엄이라고 홍보하는 아파트들도 그래요.
재건축 사업성을 아주 조져놔서 그나마 잘 팔리는 국평 (지방 30평대, 서울 20평대) 위주로 많이 만드는 추세입니다.
23/08/21 17:20
수정 아이콘
인구수보단 가족구성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까요.
그리고 70평이상 아파트 세대수 자체가 상당희 희소해서.. 그렇게 출렁거리진 않을거 같네요
요즘 기준으로 1000세대 이상 대단지에도 70평 이상 평수는 5세대 안넘을 겁니다.
아예 없는 단지가 더 많을거구요.
김유라
23/08/21 17:27
수정 아이콘
상류층의 수는 유지된다고 봤을때, 그들의 큰집에 대한 수요는 견고할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레이티스트원
23/08/21 17:30
수정 아이콘
최상급지는 상관없을거 같고요 중급지 이하는 거래가 잘안되지 싶어요 그러다보면 30,40평대랑 가격이 많이 좁혀지겠죠
화서역스타필드
23/08/21 18:22
수정 아이콘
70평을 쪼개서 팔수는 없으니 투자성은 애매하고 거주 환경은 좋으시겠네요.. 저라면 팔고 32평 하나 24평 두채해서 3주택 할것 같아요..
리얼월드
23/08/21 22:38
수정 아이콘
다주택자 빌드 탔다가 정부정책에 따라 갑자게 나락가는 경우가....
마술사
23/08/21 19:06
수정 아이콘
최근 큰평수는 거의 신규공급이 안되고 작은평수는 법적으로 의무공급 비율이 정해져 있어서
비교적 신축의 70평이라면, 5년정도를 보면 상당히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의견은 나름 유튜브에서 균형잡힌 시각으로 유명한 이현철님의 의견을 참조했습니다.
일각여삼추
23/08/21 19: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급지에 따라 다릅니다. 최상급지(압구정 등)는 갖고 있는 게 나아보이고 나머지는 30~40평으로 급지 업그레이드 하는 게 장기적으로 어떨까 싶네요.
꿀깅이
23/08/22 00:11
수정 아이콘
환금성이 너무 떨어지죠
대신 부르는게 값일 수 있어서 매수자만 잘 만나면 대박날 수도 있죠 (삼성동 아이파크 같은)
고오스
23/08/22 04:14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씀대로 수도권이나 광역시 1급지 이상에서 대형 평수는 메리트가 있는데

그 밑에서 대평평수는 함정카드라고 봅니다
기다리다
23/08/22 07:46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23/08/22 11:21
수정 아이콘
근데 그렇게 쪼갤거면 30 / 20 / 20이 더 환금성이 좋지 않을까요
23/08/22 14:07
수정 아이콘
여러분들의 생각이 항상 맞습니다.

‘최’상급지 말고는 70평팔고 더 나은 상급지의 25평이나 32~34평 한채가 낫죠(정부규제). 급지 떨어질수록 40평대도 큰데 70평은 더더욱이죠. 코로나때 절정으로 치달을때도 대형평수는 소형평수에 비해서 보통은 늦게 올라갔습니다.

근데 그 70평이 재건축 사업성이 나오는 단지라면 대지지분보고 가져가던가(예전에는 이런게 저평가되어서 싸게 살수 있었는데 요즘은 다들 전문가라..) 예를 들어 압구정 현대나 한남더힐 같은곳들은 오히려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255 [질문] 마이너스 통장 개설문의 [7] 잠이오냐지금6515 23/08/23 6515
172254 [질문] 해외법인카드 결제 방법? [2] 교자만두6429 23/08/23 6429
172253 [삭제예정]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이라는 책을 읽어보신 분 계실까요? [10] 영혼의 귀천7547 23/08/23 7547
172252 [질문] LG나 삼성 무선 청소기의 스팀 기능은 쓸만한가요? [2] interconnect6443 23/08/23 6443
172251 [질문] 종로 금은방 신뢰도가 얼마나 되나요? [1] 안녕!곤8581 23/08/23 8581
172250 [질문] 물고기 어항 구입하고 싶은데 제품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8] Beyond7581 23/08/23 7581
172249 [질문] 영업장에서 가정용 술 [6] 언니네 이발관8795 23/08/23 8795
172248 [질문] 십몇년전 재밌게 보다 중단한 무협소설을 찾습니다..? [7] 55만루홈런5758 23/08/23 5758
172247 [질문] 커피가게 얼음도 정수된 물을 사용하나요 [6] 종이컵7889 23/08/22 7889
172246 [질문] 쇄골 수술 서울 병원 추천 부탁드려요. [4] 대왕세종6792 23/08/22 6792
172245 [질문]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번들을 샀는데 질문있습니다! [12] 스터너6265 23/08/22 6265
172244 [질문] 운동(pt)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7] 비행기타고싶다6666 23/08/22 6666
172243 [질문] 조기석(승) vs 이영호(패) 테테전 무슨 경기였는지 궁금하네요. [4] 모나크모나크7635 23/08/22 7635
172242 [질문] 혹시 이 부위가 삼겹살이 맞다고 생각하시나요? [49] flowater8326 23/08/22 8326
172241 [질문] 대전 맛집/카페 추천 부탁드립니다. [8] JoyB5881 23/08/22 5881
172240 [질문] 저희같은 상황에서 어느지역에 어떻게 전셋집을구하는게 최선일까요? [24] 정공법7659 23/08/22 7659
172239 [질문] 버스에 카드 찍을 때 숫자 색이 다른 이유? [1] 세츠나7835 23/08/22 7835
172238 [질문] 몰디브 리조트 추천 부탁 드립니다. (해외여행 무경험자) [15] 삭제됨6819 23/08/22 6819
172237 [질문] 혹시 새마을금고 예금 예치중이신분이 계실까요? [15] 유유할때유8502 23/08/22 8502
172236 [질문] 하지정맥때문에 병원에 가보려고 하는데요. [10] 로하스8993 23/08/22 8993
172235 [질문] 야수 실책 없는 인사이드 파크 홈런이 있을수 있나요? [17] 똥꼬쪼으기7966 23/08/22 7966
172232 [질문] 기억나지 않는 고사... 도움 부탁드립니다! [2] 다시마두장7950 23/08/22 7950
172231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 [8] 마네8315 23/08/22 83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