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8/16 19:43:45
Name 오월의날씨
Subject [질문] 전세계약갱신권 사용 중 조기 퇴거시(임차인측) 복비 관련
전세계약갱신권 사용 중 조기 퇴거시(임차인측) 복비 관련 질문드립니다.
제가 2020.12 ~2022.12 까지 아파트에서 2년 반전세를 살다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서
월세 5% 증액하여 2년 추가로 계약(2022.12~ 2024.12까지)하고 거주 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제 사정으로(직장을 옮겨서 발생한 출퇴근 거리 문제) 이사를 가야할 상황이 생겨
집주인에게 3개월 뒤 퇴거해야 한다고 말씀드렸는데,
부동산에 연락해서 세입자를 구하고, 복비를 부담하라는 말을 하시더라구요
제가 알기로는 묵시적 갱신과 계약갱신권 사용시에는 복비 부담이 의무가 아니라고 알고있는데
최근 판례가 계약갱신권 사용시 복비 부담해야 된다고 나왔다고 하시며 요구를 하시는데,
어떤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타니
23/08/16 20:04
수정 아이콘
계약기간중 계약파기주체가 복비와 이사비를 부담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개정법이 바뀌었다고 해도 집주인과 마찰없이 퇴거하는 것이 더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오월의날씨
23/08/16 21:56
수정 아이콘
네 의견 감사합니다. 저도 집주인과 마찰없이 진행하는게 좋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가 알기로 일반적 전세계약은 계약해지가 양측의 협의 없이는 계약일자 종료시점에 발생하고, 계약갱신청구시에는 계약해지 의사 표시 3개월 이후 계약해지가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때문에 복비 부담에 대한 부분이 두 계약방식 사이에 실제로 다르게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었기에, 좀 알아보고 가능하다면 좋은 방식으로 집주인과 협의하고 싶습니다.
하아아아암
23/08/16 20:45
수정 아이콘
알고 계신 것이 맞고, 최근 판례가 이를 부정한다는 얘기는 금시초문입니다.
오월의날씨
23/08/16 21: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저도 이렇게 알고 있는데 검색해보니 https://blog.naver.com/tiamatrotad/223169382110 이런게 있긴 하더라구요.
1심 판결이라는데, 아마 이 내용으로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이 판결 하나만으로 전액을 제가 부담하는게 맞나 싶더라구요.
widemoat
23/08/16 22:00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확히 모를 겁니다. 우선 아래 기사를 읽어보세요.

갱신 석 달 뒤 "집 뺄게요"... 역전세 부메랑 '갱신계약해지권' - 한국일보
https://naver.me/xr6T8nxv

임대차2법 자체가 워낙 졸속으로 입법되어서 분쟁 사례가 굉장히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후 중도해지입니다.

법령만 보면 계약갱신요구권 사용 후 중도해지는 묵시적 연장의 경우를 따른다고 되어 있어서 언제든 3개월 후 계약해지가 가능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입법 당시에도 그렇게 해석하는게 주류였고, 대부분 그렇게 받아드렸죠.

2022년부터 역전세 문제가 생기면서 계약해지 요구 후 3개월 내에 보증금을 돌려받으려는 분들이 늘어납니다. 그러다가 소송으로 간 분들이 생겼죠. 집주인 분이 말하는 최근 판례는 위 기사에 나오는 서울북부지방법원의 판례입니다.

판결 근거는 법조항의 묵시적 갱신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경우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후 계약기간을 2년으로 정해서 연장한 경우 묵시적 갱신에 따른 중도해지 조항을 준용해서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죠.

길게 설명드린 이유는 이게 아직은 확정적인 것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3개월 해지가 맞는 것으로 생각해왔지만 반례가 생겨버렸죠. 반대로 위 판결도 상급심에서 뒤집힐 수도 있고요. 법이 치밀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문제라 명확한 답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꿀깅이
23/08/17 00:25
수정 아이콘
오 질문자는 아니지만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도 묵시적이랑 같은 효과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군요!
오월의날씨
23/08/17 21:2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참 어렵네요. 집주인과 적당한 선에서 협의해서 풀어가는게 정신건강에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361 [질문] 차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13] zzzzz8577 23/08/30 8577
172360 [질문] 문자왔는데 낚시일까요? [20] monkeyD7270 23/08/30 7270
172359 [질문] 중고차 구매 및 차종 선택에 조언 구합니다 [29] 스토너8302 23/08/30 8302
172358 [질문] 키보드 타건샵 질문입니다. [2] 트리거8234 23/08/30 8234
172357 [질문] 런닝머신 용 운동화 [22] 오하영10880 23/08/29 10880
172356 [질문] 스타 리마스터 마우스 포인터 색감 [2] 윤지호7588 23/08/29 7588
172355 [질문] 메모장에 저장 안 한 상태로 컴퓨터가 꺼지면 회복하는 방법은 없는지요..? [12] nexon8367 23/08/29 8367
172354 [질문] 컴퓨터 부팅 오류 질문입니다. [1] 뢰디5981 23/08/29 5981
172353 [삭제예정] 소개팅 내용이 이런데 애프터 해야하나요? [35] 크랙9345 23/08/29 9345
172352 [질문] 노트북 vs 태블릿 뭘 구매하는 게 좋을까요 [17] skkp6241 23/08/29 6241
172351 [질문] 컴퓨터 구매하고 싶은데.... [7] 오크8320 23/08/29 8320
172350 [질문] 소송이 진행중인 땅 같은거만 일부 상속포기 할 순 없을까요? [4] 기다리다6699 23/08/29 6699
172349 [질문] 공공기관 계약직 하는게 나중에 도움이 될까요? [20] Lissac7751 23/08/29 7751
172348 [질문] 가장 저렴한 한약이 뭘까요? [15] Bellhorn6936 23/08/29 6936
172347 [질문] 소금물의 효능 [9] 만렙꿀벌8391 23/08/29 8391
172346 [질문] 데스크탑 견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이블베어10630 23/08/29 10630
172345 [질문] 블루투스 마우스를 하나 장만하려고 합니다 [3] Polkadot8294 23/08/29 8294
172344 [질문] 추석연휴에 영국여행을 갑니다. [4] 가이브러시8152 23/08/29 8152
172343 [질문] 캐나다 이민간 조카들 선물을 못고르고 있습니다. [18] 외쳐228306 23/08/29 8306
172342 [질문]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4] Flying-LeafV7784 23/08/29 7784
172341 [질문] 한강뷰나 빌딩뷰 보면서 쉴만한 곳 있을까요(서울) [35] SAS Tony Parker 9486 23/08/29 9486
172340 [질문] 화면이 정신없는 영화만 보면 졸리는 이유가 뭘까요? [7] 아리아8139 23/08/29 8139
172339 [질문] 에브리띵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의 평가? [11] Charli8743 23/08/29 87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