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7/06 20:36:14
Name nexon
Subject [질문] 음식물이 소화기관에 머무는 시간은 일정한지요...?


안녕하세요..

보통 음식물을 섭취하면 치아의 저작활동과 침에 의한 분해가 시작되고,

그 이후 위에서 본격적인 소화작용 및 소장과 대장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본격적인 소화 및 영양소 흡수가 일어나는 위-소장에 음식물이 머무는 시간은 거의 일정한지요 아니면 입에서 넘어온 음식물의 분해상태에 따라 짧아지기도 하고 늘어나기도 하는지요...?


예컨대 음식물을 거의 씹지 않은 채로 삼키면 위가 그 분해활동을 맡게 될 텐데

만약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이 5시간 내외로 일정하다면

꼭꼭 씹어서 최대한 분해시킨 상태로 위로 넘겼을 때 보다 씹지 않은 상태로 넘기면 결국 5시간 동안 제대로 분해되지 않을 수 있고, 그러면 결국 영양분 흡수도 제대로 못한 채 배출되어버리고 마는 게 아닌가 해서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커티삭
23/07/07 01:42
수정 아이콘
음식마다 다릅니다
23/07/08 10:3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3/07/07 09:05
수정 아이콘
음식물 씹는 시간이 길수록 위에서 배출되는 시간이 짧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네요.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lifestyle&id=&board_seq=225854&page=309&board_code=
사나아
23/07/07 23:32
수정 아이콘
식사중에 물 많이 먹으면 위액이 묽어져서 소화가 잘 않된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자나요?
전 평소에 물을 많이 먹는 사람은 그만큼 위액이 많이 나와서
별로 차이가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씹는 시간이랑 상관관계가 있는거 보니 생각보다 위액이 분비 되는 양은 평소 습관? 이나 적응?에 관계가 없나봐요.
23/07/08 10:36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23/07/07 09:56
수정 아이콘
음식 종류에 따라 다르죠.
국수는 돌아서면 쑥 꺼지고 고기는 많이 먹으면 밤까지 더부룩하잖아요
23/07/08 10:3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담배피는씨
23/07/07 13:14
수정 아이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ecapyo&logNo=90011483532
위장에서 소장으로 음식물이 조금씩 넘어 갈 때 유문을 통과 하는뎅 소장의 소화 상태(소장의 PH농도)에 따라서 열리고 다치고 합니다.
분해가 덜 된 음식이 소장으로 넘어오면 소장의 소화가 느려지고 유문이 늦게 열리고 음식물이 위장에서 대기 하는 시간이 길어 집니다.
초식성육식동물
23/07/07 13:21
수정 아이콘
위장에서 오케이 사인이 아니라 소장에서 오케이 사인을 결정하는군요.
이렇게 오늘도 하나 배워갑니다.
23/07/08 10:35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그러면 결국 덜 씹고 넘겨도 소장이 어느 수준까지는 만들어놓고 진행시키므로 위에서 계속 대기하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613 [질문] 서천 쪽에 비 올 때 가볼만한 곳 없을까요? [7] 귀여운호랑이6023 23/07/12 6023
171611 [삭제예정] kt 쓰시는 분들 통신상태 확인 해주실수있을까요? [6] 삭제됨6260 23/07/12 6260
171610 [질문] 스마트폰 게임 중 플스 게임패드로 할 수 있는게 있을까요? [7] 안녕!곤5957 23/07/12 5957
171609 [질문] (완료) 화학질문 에탄올의 요오드포름 반응 [2] 스핔스핔6399 23/07/12 6399
171608 [질문] 영화에 나오는 쌍둥이폰 해킹 이거 흔한편인가요? [4] 던돌6122 23/07/12 6122
171607 [질문] 갤럭시 S23 VS 아이폰 15 선택 문의 드립니다. [33] 포커페쑤6972 23/07/12 6972
171606 [질문] 남매가 서로 친한게 가능한가요? [46] 황제의마린9448 23/07/12 9448
171605 [질문] 초등아이 둘과 부산여행 장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수리부엉이8618 23/07/12 8618
171604 [질문] 조깅할때 몸이 가렵습니다 [10] 꿀행성7002 23/07/12 7002
171603 [삭제예정] 이별 후 3개월 만에 재회,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32] 삭제됨7002 23/07/12 7002
171602 [질문] kbs 수신료 안내는법 아시는분? [5] 리얼월드6863 23/07/12 6863
171601 [질문] 태블릿을 오랫동안 거치대에 고정시켜놓으면 변형이 오거나 하진 않나요?? [8] OneCircleEast6983 23/07/12 6983
171600 [질문] 종각역 근처나 종로부근 무료주차 [3] 오하이오6359 23/07/12 6359
171599 [질문] 외장하드 질문드립니다. [7] 보아남편6175 23/07/12 6175
171598 [질문] 눈물쏟는 신파영화 부탁합니다. [59] 기술적트레이더7058 23/07/11 7058
171597 [질문] 디아블로4 렉이 이정도로 생기는게 원래 있는일인가요? [10] 카오루9466 23/07/11 9466
171596 [질문] 통풍약 복용 고민 [10] 퍼피별7174 23/07/11 7174
171595 [질문] 근육을 늘리기위해서 단백질을 얼마나 먹어야하나요 [13] 시무룩7670 23/07/11 7670
171594 [질문] [블루아카이브] 복귀 유저 질문드려요. [1] 하쿠쿠6217 23/07/11 6217
171593 [질문] 인천공항에 조용하게 화상회의할 장소가 있을까요? [7] 스토너8828 23/07/11 8828
171591 [질문] 맥주만 마셔도 살 찔까요? [22] 월터화이트7568 23/07/11 7568
171590 [질문] 꽃바구니 or 꽃다발 사려고 하는데 오프라인? 온라인? 추천부탁드립니다. [2] longtimenosee5805 23/07/11 5805
171589 [질문] "내 생각이니깐 반박 안받아요"의 심리는 뭘까요? [26] 상록일기7977 23/07/11 79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