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6/27 07:56:44
Name Bard3567
Subject [질문] (역사/경제)근세 스페인 제국의 부채에 대해서
16~17세기 스페인 제국은 신대륙 개척으로 많은 부를 얻었지만 최초로 거대한 인플레를 맞고 부채를 떠안으면서 제국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고 하던데요.

여러 칼럼을 찾아보니 1560년에 380만 두카트였던 국가채무가 1667년에는 900만 두카트로 차입금이 정부수입의 10년치 였다고 하고

그 이전에도 파산을 4번이나 연달아 했음을 보면

자본주의가 막 태동되어 엉성하게 빈틈이 많던 시대이며 거대한 체급으로 리스크를 버텨내던 나라라도

이자총액이 원금을 초월하는 재정상태에서 파산이 반복되도 부채가 탕감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변제가 요구되는 상황이면 부채가 시대를 넘어 계승될수도 있었는데 스페인은 이 고리를 어떻게 끊어냈을까요? 그리고 근대나 현대로 넘어오면서까지 이 부채가 나비효과로 영향을 준 역사적 사건들이 있나요?

역사들을 읽다보면 스페인 제국의 몰락이란 말은 나오는데, 그 몰락에 빚이 어떻게 영향을 줬는지, 후대에는 어떻게 해소가 되었는지는 자세히 나오지 않아서 타고 타고 찾아보다가 궁금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관련한 책이나 링크를 알려주실수 있는 분이 있을까요?

딱히 이런 진지한데 실용적이지 않은 질문을 할 사이트를 못 찾아서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27 09:45
수정 아이콘
부채 탕감은 당연히 자주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독일이나 제노바의 은행 가문 여럿이 골로 가기도 했고, 신대륙에서 오는 막대한 부는 결코 적은 규모는 아니었습니다만, 제국 전체 재정에 비하면 새발의 피 수준이라 스페인 세수의 대부분을 감당해야 했던 카스티야 지역의 민심 이반이 심각해지는 등 많은 부작용이 있었습니다. 스페인도 세금을 올리고, 빚 탕감을 위한 기금을 확보하고, 고리 단기채를 저리 장기채로 강제 전환하는 등 여러 수를 써봤지만 결국 스페인이 완전 골로 갈 때까지 채무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해서..
근데 이런 채무불이행은 딱히 스페인만의 문제는 아니었고, 유럽 국가에선 생각보다 자주 벌어지는 일이었습니다. 은행과 왕실은 단순한 채권자-채무자의 관계는 아니었고, 정치적 사업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파트너 관계였기 때문에(때로는 갑-을) 재정이 좀 어렵다 싶으면 일단 은행 이자 지급부터 미루는 건 생각보다 자주 있는 일이었습니다. 물론 스페인처럼 웅장한 규모로 배를 째는 건 아니었지만요.

펠리페2세 시절의 재정과 파산의 역사는 웬만한 스페인사 책에서는 대부분 다루고 있는 내용이니 스페인 역사책 아무거나 사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Bard3567
23/06/27 12:21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474 [질문] 수원 kt위즈파크 직관 하는데 끝나고 술 먹을만한곳 있을까요? [7] 비빔밥9015 23/07/05 9015
171473 [질문] 콘센트 수리 질문드립니다 [8] 더미짱6560 23/07/05 6560
171472 [삭제예정] 인생 노잼시기 or 우울 및 울적 시기 극복 관련 [16] 루체른10118 23/07/05 10118
171471 [질문] 타짜1에서 나왔던 빨찌산의 금니 [4] Siestar9669 23/07/05 9669
171470 [질문] srt 수서역이나 고터에서 오전에 살만한 거 [7] 콩순이7365 23/07/05 7365
171469 [질문] 8년된 22인치 모니터 -> 신형 24인치 모니터 체감될까요? [11] 푸끆이10386 23/07/04 10386
171468 [질문] 가성비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플래쉬8717 23/07/04 8717
171467 [질문] 인생 상담?? [24] 담비9801 23/07/04 9801
171466 [질문] 롤린이, 롤을 잘하고 싶어요! [8] 모나라벤더9974 23/07/04 9974
171465 [질문] 웃돈붙어 암표로 거래되는 공연자리의 가격을 올리지 않는 이유는... [7] 마르키아르9583 23/07/04 9583
171464 [질문] 로드용 자전거 타이즈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 옥동이6803 23/07/04 6803
171463 [질문] 프로게이머는 버티컬 마우스로 경기할 수 없을까요? [13] 수퍼카10808 23/07/04 10808
171462 [질문] 비행기 출국시 질문 [8] 깐딩7043 23/07/04 7043
171461 [질문] 게임 안 하는 게임 회사 직원은 문제라고 생각하세요? [44] 상록일기8697 23/07/04 8697
171460 [질문] 애플워치 익스프레스 모드에서 애플페이 사용시 니체6293 23/07/04 6293
171459 [질문] 엔화 온라인으로 환전하고 싶은데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6] 아리아8441 23/07/04 8441
171458 [질문] 피파 게임에서 심판 라이센스는 없나요? [5] 인생은아름다워8204 23/07/04 8204
171457 [질문] 야구표 중고로 팔아도 되나요? [5] 귀여운호랑이8254 23/07/04 8254
171456 [질문] 국내에서 중국술 사기 좋은곳이 어디일까요? [14] Sebastian Vettel9407 23/07/04 9407
171455 [질문] 전면 유리 썬팅만 바꾸면 티 날까요? [3] 슬숑7194 23/07/04 7194
171454 [질문] 스포) 사냥개들에서 소금... [5] 제니9903 23/07/04 9903
171453 [질문] 남자 피부관리 비용은 얼마나들까요? [13] 핸드레이크12400 23/07/04 12400
171452 [질문] 노트북 QHD FHD 차이가 클까요? [9] DOGPIG9953 23/07/04 99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