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6/27 07:56:44
Name Bard3567
Subject [질문] (역사/경제)근세 스페인 제국의 부채에 대해서
16~17세기 스페인 제국은 신대륙 개척으로 많은 부를 얻었지만 최초로 거대한 인플레를 맞고 부채를 떠안으면서 제국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고 하던데요.

여러 칼럼을 찾아보니 1560년에 380만 두카트였던 국가채무가 1667년에는 900만 두카트로 차입금이 정부수입의 10년치 였다고 하고

그 이전에도 파산을 4번이나 연달아 했음을 보면

자본주의가 막 태동되어 엉성하게 빈틈이 많던 시대이며 거대한 체급으로 리스크를 버텨내던 나라라도

이자총액이 원금을 초월하는 재정상태에서 파산이 반복되도 부채가 탕감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변제가 요구되는 상황이면 부채가 시대를 넘어 계승될수도 있었는데 스페인은 이 고리를 어떻게 끊어냈을까요? 그리고 근대나 현대로 넘어오면서까지 이 부채가 나비효과로 영향을 준 역사적 사건들이 있나요?

역사들을 읽다보면 스페인 제국의 몰락이란 말은 나오는데, 그 몰락에 빚이 어떻게 영향을 줬는지, 후대에는 어떻게 해소가 되었는지는 자세히 나오지 않아서 타고 타고 찾아보다가 궁금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관련한 책이나 링크를 알려주실수 있는 분이 있을까요?

딱히 이런 진지한데 실용적이지 않은 질문을 할 사이트를 못 찾아서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27 09:45
수정 아이콘
부채 탕감은 당연히 자주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독일이나 제노바의 은행 가문 여럿이 골로 가기도 했고, 신대륙에서 오는 막대한 부는 결코 적은 규모는 아니었습니다만, 제국 전체 재정에 비하면 새발의 피 수준이라 스페인 세수의 대부분을 감당해야 했던 카스티야 지역의 민심 이반이 심각해지는 등 많은 부작용이 있었습니다. 스페인도 세금을 올리고, 빚 탕감을 위한 기금을 확보하고, 고리 단기채를 저리 장기채로 강제 전환하는 등 여러 수를 써봤지만 결국 스페인이 완전 골로 갈 때까지 채무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해서..
근데 이런 채무불이행은 딱히 스페인만의 문제는 아니었고, 유럽 국가에선 생각보다 자주 벌어지는 일이었습니다. 은행과 왕실은 단순한 채권자-채무자의 관계는 아니었고, 정치적 사업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파트너 관계였기 때문에(때로는 갑-을) 재정이 좀 어렵다 싶으면 일단 은행 이자 지급부터 미루는 건 생각보다 자주 있는 일이었습니다. 물론 스페인처럼 웅장한 규모로 배를 째는 건 아니었지만요.

펠리페2세 시절의 재정과 파산의 역사는 웬만한 스페인사 책에서는 대부분 다루고 있는 내용이니 스페인 역사책 아무거나 사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Bard3567
23/06/27 12:21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464 [질문] 로드용 자전거 타이즈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 옥동이6786 23/07/04 6786
171463 [질문] 프로게이머는 버티컬 마우스로 경기할 수 없을까요? [13] 수퍼카10780 23/07/04 10780
171462 [질문] 비행기 출국시 질문 [8] 깐딩7028 23/07/04 7028
171461 [질문] 게임 안 하는 게임 회사 직원은 문제라고 생각하세요? [44] 상록일기8683 23/07/04 8683
171460 [질문] 애플워치 익스프레스 모드에서 애플페이 사용시 니체6268 23/07/04 6268
171459 [질문] 엔화 온라인으로 환전하고 싶은데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6] 아리아8425 23/07/04 8425
171458 [질문] 피파 게임에서 심판 라이센스는 없나요? [5] 인생은아름다워8192 23/07/04 8192
171457 [질문] 야구표 중고로 팔아도 되나요? [5] 귀여운호랑이8239 23/07/04 8239
171456 [질문] 국내에서 중국술 사기 좋은곳이 어디일까요? [14] Sebastian Vettel9388 23/07/04 9388
171455 [질문] 전면 유리 썬팅만 바꾸면 티 날까요? [3] 슬숑7176 23/07/04 7176
171454 [질문] 스포) 사냥개들에서 소금... [5] 제니9878 23/07/04 9878
171453 [질문] 남자 피부관리 비용은 얼마나들까요? [13] 핸드레이크12378 23/07/04 12378
171452 [질문] 노트북 QHD FHD 차이가 클까요? [9] DOGPIG9933 23/07/04 9933
171451 [질문] 다수 의견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69] 학교를 계속 짓자9006 23/07/04 9006
171450 [질문] 부산 울산권역에서 인케이스 가방 좀 볼수있는곳 있을까요? 키토7746 23/07/03 7746
171449 [질문]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서 임차보증금 3억 기준이... [3] 안녕!곤9414 23/07/03 9414
171447 [질문] 알뜰폰 유심받는데 얼마나 걸릴까요? [12] 트라팔가 로우8388 23/07/03 8388
171446 [질문] 터치스크린 노트북 화면 줄 문제 스핔스핔8090 23/07/03 8090
171445 [삭제예정] SSF샵 가입 추천인 한분 모셔요 [2] No.107953 23/07/03 7953
171444 [질문] 양평/홍천 일대 키즈펜션 추천해주세요~~ Restar8013 23/07/03 8013
171443 [질문] 30대 후반 여성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kunkun9383 23/07/03 9383
171442 [질문] 은행계좌 입출금 내역 조회 대리인이 가능한가요? [6] luvsic10195 23/07/03 10195
171441 [질문] 배꼽 아래 경련 [1] 소꿉7754 23/07/03 77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