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6/23 18:41:25
Name
Subject [질문] 우발적 살인의 인정범위?를 알고 싶습니다.
친구와 뉴스를 보다가 우발적 살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됐는데요. 어느쪽 의견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케이스는 범죄자가 우발적으로 살인을 저지른 후 자신의 죄에 대한 두려움으로 시체를 은닉을 했을경우입니다.

1. 우발적 살인을 저지른 후 범죄사실을 감추기 위해 시신을 은닉하는 경우는 더이상 우발적 살인이라 볼 수 없다. 우발적 살인이라는 주장이 성립되려면 범죄자가 범죄 후 즉시 자백 행위를 해야한다.

2. 살인과 은닉은 각각 봐야한다. 우발적 살인에 은닉죄가 추가 되는 것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양현종
23/06/23 18:43
수정 아이콘
우발적이라는 것은 계획적과 반대되는 개념 아닌가요?
은닉하고는 무관한 것 같습니다.
리얼월드
23/06/23 18:45
수정 아이콘
우발적 살인 <-> 계획적 살인
시체은닉은 별개의 사건
인생을살아주세요
23/06/23 18:54
수정 아이콘
은닉했다 해도 애초에 살해 의도가 없었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전 2번이요
Lord Be Goja
23/06/23 18:56
수정 아이콘
은닉을 해서 계획적살인이 되려면 은식수단이나 은닉처준비/탐사를 살인전에 미리 해놓았다는 증거가 있어야할거같습니다
23/06/23 19:12
수정 아이콘
살인과 사체은닉(형법상 명칭은 시체은닉이 아니고 사체은닉입니다)은 당연히 별개의 범죄로 취급합니다.
그리고 사체를 은닉했다고 해서 무조건 계획적 살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사체은닉 행위는 살인행위의 은폐수단에 해당합니다. 다만, 살인행위가 있기 전에 미리 사체를 은닉할 준비를 갖춘 것으로 드러난다면 우발적 살인이라는 주장이 받아들여지기 어렵고 계획적 살인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며 양형에 반영될 것입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살인죄와 사체은닉죄는 별개의 범죄가 됩니다.
23/06/23 19:30
수정 아이콘
살인 이전에 미리 은닉할 장소를 방문했다던가, 은닉을 들키지 않기 위한 동선을 계획했다던가 하는게 아니라면 사체은닉은 해도 살인은 우발적일 수 있죠.
단비아빠
23/06/23 21: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과실치사가 아닌 우발적 살인이라.. 그냥 욱해서 죽였다는걸까요?
대개는 과실치사를 먼저 주장할 것 같습니다...
도들도들
23/06/24 05:07
수정 아이콘
살인에서 고의의 정도를 나누는 것은 영미법의 전통입니다. 영미법에서는 계획적 살인(모살)과 우발적 살인(고살)을 별도의 범죄로 보고 형도 다릅니다만, 한국에서는 둘을 구별하지 않고 그냥 하나의 살인죄로 보아 처벌합니다. 물론 양형에서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미국처럼 계획이냐 우발이냐로 인생이 갈리는 정도의 차이는 아닙니다.
23/06/25 04:00
수정 아이콘
글쓴이는 아니지만 덕분에 하나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전 영미법만 좀 공부해본 사람이라 한국법도 비슷할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달랐군요
abyssgem
23/06/24 22:13
수정 아이콘
은닉도 살인 이후 급조된 방법으로 했다면 우발적 살인이 깨지지는 않겠지요. 만약 은닉 준비도 미리 치밀하게 했다면 우발적 살인으로 인정받기 어려울 테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1373 [삭제예정] 치킨 먹고 항생제 알레르기 반응이 생길 수 있나요? [6] 삭제됨7524 23/06/28 7524
171372 [질문] 매운 치킨 추천 부탁드립니다. [28] legnatas10337 23/06/28 10337
171371 [질문] 램 방열판 하나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류 하야부사8235 23/06/28 8235
171370 [질문] 토론토 사시는 선생님 혹시 계실까요? 날씨 관련 문의 [10] 회색사과10847 23/06/28 10847
171369 [질문] 허리에서 뚜둑 소리가 나는데 병원 가보는 게 좋을까요? [2] 서울6619 23/06/28 6619
171368 [질문] 닌텐도 스위치 질문입니다. [9] 유지태.8530 23/06/28 8530
171367 [질문] 아이폰으로 imgur 움짤 자동재생 방법 없을까요? [6] 카즈하7046 23/06/28 7046
171366 [질문] 캐치티니핑 입문자 입니다. 구매 관련 질문 [19] MelOng7170 23/06/28 7170
171365 [삭제예정] 보행자 위협 운전자 경찰 고소/고발 과정에 대해 궁금합니다. [17] 삭제됨6862 23/06/28 6862
171364 [질문] 요즘 스타로 핫한 이시아님 손캠 영상 있나요? [32] 시너지9402 23/06/28 9402
171363 [질문] 수원역 로데오거리 cctv를 확인하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1] 무언가6699 23/06/28 6699
171362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륙해도 될까요? [9] circleoflife10950 23/06/28 10950
171361 [질문] 가족들 보험문의 [1] 빠르8325 23/06/27 8325
171360 [질문] 탄원서 작성 질문드립니다 [4] Unknown Verses9251 23/06/27 9251
171359 [질문] [lol] 스플릿 포인트는 어떻게 확인 가능한가요? [4] 더치커피16734 23/06/27 16734
171358 [질문] 아이패드 프로 12.9를 중고로 사려고 합니다. [15] 고요9332 23/06/27 9332
171357 [삭제예정] 알리에서 살만한 가성비 모니터 추천 부탁드려요 (알리 아니어도 됨) [2] 삭제됨7815 23/06/27 7815
171356 [질문] 미서부 패키지 문의 Endor7996 23/06/27 7996
171355 [질문] 애저(MS)를 공부하고 싶습니다. [3] 교자만두9391 23/06/27 9391
171354 [질문] 도서관 열람실에 사람이 많이 없어진 이유가 뭘까요? [18] 푸끆이10137 23/06/27 10137
171353 [질문] 네이버 검색에 상위노출 시켜준다는 업체 어떤가요 [8] 로스9402 23/06/27 9402
171352 [질문] BMW X7는 어디서 어떻게 하는게 제일 좋나요? [11] 깐부치킨10905 23/06/27 10905
171351 [삭제예정] 에어컨 설치 관련 문의 [15] 삭제됨10437 23/06/27 104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