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14 17:51:45
Name 무한도전의삶
Subject [질문] 테넷이 인셉션보다 더 복잡한 영화인가요?
메멘토는 흑백 칼라로 분리를 해줘서 중간부터 이런 진행이구나 알았고 인셉션은 꿈이구나... 꿈의 꿈이구나... 림보... 설원... 마지막 즈음에 얼개를 잡았는데 혹시 테넷은 더 복잡한 영화인가요? 별개로 재미면에서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3/05/14 18:00
수정 아이콘
네... 복잡합니다.
완전히 이해하려면 부분부분 다시 보면서 연결해봐야 됩니다.
항정살
23/05/14 18:11
수정 아이콘
복잡합니다. 테넷은 놀란의 허세가 너무 들어닸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별로라고 생각하빈다.
스위치 메이커
23/05/14 18:20
수정 아이콘
인셉션은 그래도 설명 보면 대충 이해가 가게 짜여져 있거든요? 마지막 결말도 모호하게 내서 그렇지...

근데 테넷은 진짜... 아직도 뭔 영화인지 모르겠어요
23/05/14 18:25
수정 아이콘
시간의 순행과 역행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이게 관객의 입장에선 쉽사리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그냥 촬영이 매우 힘들었겠다라는 생각만 들고
23/05/14 18:35
수정 아이콘
한번보고 이해 할 사람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피셜
23/05/14 18:35
수정 아이콘
관련 분야에 이해가 깊은 사람은 쩌는 영화라고 하던데,
일반인 기준에서는 '뭐가 쩐다는 거야? 늘 보던 시간여행물이구만! 재미도 없고!' 가 정확한 평가입니다.
마인드머슬커넥션
23/05/14 19:06
수정 아이콘
비교가안됩니다.
비뢰신
23/05/14 19:27
수정 아이콘
테넷은 심지어 오류도 있습니다 ㅡㅡ 더 난해해요
걍 이거 영화야 좋게 좋게 넘어가 오키? 이렇게 보시면 될듯함다
23/05/14 19:39
수정 아이콘
이해를 해야 마지막에 눈물 왈칵나와서
근데 눈물이 왈칵 나와도 끝까지 이해는 못했습니다

테넷 재개봉까지 극장에서 한 5번 봤나
Stoncold
23/05/14 19:41
수정 아이콘
극단적으로 복잡하고, 영화 내적인 오류도 있습니다. 애초에 홍보할 때부터 '이해하려 하지말고 느껴라' 타령을 그렇게 하기도 했죠. 재미로 따지면 뛰어나긴 했습니다만 역시 인셉션보다는 아래로 놓고 싶네요. 영화 보고 나서 관련 설정을 찾아보고 이해하면서 더 재미가 붙는 타입의 영화입니다.
앵글로색슨족
23/05/14 20:02
수정 아이콘
놀란 필모그레피에 오점이라고 단연코 확신하는 작품
왕립해군
23/05/14 20:11
수정 아이콘
테넷은 직관성 진짜 안좋죠.. 흥미로운 이야기이긴하지만 이런 점 때문에 저도 좋은 영화라고 평가는 안주는 편입니다.
태연­
23/05/14 20:18
수정 아이콘
테넷은 그냥 눈으로 즐기면 그만입니다
???: 완벽히 이해했어 (이해 못함)
아이폰12PRO
23/05/14 20:39
수정 아이콘
전 놀란 정말 좋아하는데 정말 별로 같아요 테넷은
무한도전의삶
23/05/14 20:42
수정 아이콘
호오 엄청 난해한가 보네요 다들 평이 크크
기대 안 하고 그냥 느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혜리
23/05/14 21:04
수정 아이콘
테넷은 이해한 줄 알았는데, 이해한 줄 알았는데, 이해한 줄 알았는데,
아 진짜 이해한 것 같다.(이해 못함)
23/05/14 21:34
수정 아이콘
인셉션은 명작인데 테넷은 선 좀 넘었습니다 크크
무한도전의삶
23/05/14 23:21
수정 아이콘
제가 무슨 영화를 본 건지 모르겠네요.
23/05/15 00:29
수정 아이콘
주인공도 본인이 뭘 찍었는지 전혀 이해 못했다고 했는데 짧은 시간 안에 보는 관객은 더하죠. 보면서 욕했습니다. 크크
물리/시간 개념의 시각화 측면에서 뭐 쩔었는진 모르겠지만 대중 상업 영화로선 기획 자체부터 망 그 자체인 영화죠.
놀란이 그동안 필모로 재미 본 후 뽕 가득찬 뒤에 나온 허세라고 해야할까 현학적 연출의 절정이라고 할까... 좀 심했어요.
이쥴레이
23/05/15 09:16
수정 아이콘
이거 엑셀표까지 있던걸로 기억하는데... 엑셀표로 시간 정리하면서 영화를 정리 하였죠.
저도 그 엑셀표 보면서...

영화가 처음과 끝에 서사가 정말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제 취향의 영화였습니다.
마지막에 영화를 이해하게 되면 정말 찡할수밖에 없는.. 영화입니다.

로버트 패틴슨 이라는 배우를 다시 보게 되었고 제 1순위 배우라고 봅니다. 흑흑..
23/05/15 10:29
수정 아이콘
보는 중간에 느꼈습니다. 야.. 이건 한번 봐서는 몬 소린지 모르겠구나 하고..
23/05/15 11:07
수정 아이콘
인셉션은 이해하기 어려운 영화는 아니라고봐서..
메멘토가 확실히 어렵고 메멘토보다 어렵다고들 하더군요.
린 슈바르처
23/05/15 14:24
수정 아이콘
별도 정리된 문서를 봐야되는 영화는 못만든 영화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687 [질문] 최고의 생일 보내는 방법? [18] 일신8583 23/05/19 8583
170686 [질문] 삼성전자 기본어플을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14] Equalright7827 23/05/18 7827
170685 [질문] (헬스) 양쪽 근육 균형 문제 [8] AquaMarine9683 23/05/18 9683
170684 [질문] 네이버 바뀐 메인화면 (PC) 말인데요.. [9] 인생은서른부터7535 23/05/18 7535
170683 [삭제예정] GTX 운정역, 파주 하저터널 공사현장 구경 가능 여부 [5] Tigris9746 23/05/18 9746
170682 [질문] 중국은 대졸자 사무직 기준 월급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되나요? [16] 보리야밥먹자10725 23/05/18 10725
170681 [질문] 안드로이드 tv 셋탑박스 추천부탁드립니다. [8] 이민들레8238 23/05/18 8238
170680 [질문] 29일 부터 캐나다에 갑니다. [3] 옥동이8639 23/05/18 8639
170679 [질문] 서울에 살다가 타지역으로 이사를 갑니다. [4] 난키군8170 23/05/18 8170
170678 [질문] 3자 사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누가 손해를 봐야하는가?) [8] 젤렌스키8148 23/05/18 8148
170677 [질문] 퇴직금이 일반 계좌로 들어왔는데 [5] 맥스훼인7594 23/05/18 7594
170676 [질문] 휴대폰 업무용, 개인용 나누려고 하는데요 [3] 나래를펼쳐라!!7725 23/05/18 7725
170675 [질문] 로이더 일까요 아닐까요? [23] 리얼월드12647 23/05/18 12647
170673 [질문] 일반 약 부작용으로 인한 탈모시 회복여부? [5] 세이밥누님7646 23/05/17 7646
170672 [질문] 갤럭시탭에 종이질감/저반사 필름을 붙이려고 합니다. [16] 나혼자만레벨업8532 23/05/17 8532
170671 [질문] 규모있는 회사도 퇴직금 빨리 안주나요? [13] 레너블9327 23/05/17 9327
170669 [질문] 확률문제 계산 부탁드립니다 [31] S.hermit8685 23/05/17 8685
170668 [질문] 롤 듀오한 아이디 조회할수있나요? [4] LeNTE8543 23/05/17 8543
170667 [질문] 5월 말 오사카 3박 4일 여행 유심 고민중이에요 [14] 콩순이7543 23/05/17 7543
170666 [질문] DSR관련 잘 아시는분 계실까요….? [5] 하나둘셋9109 23/05/17 9109
170665 [질문] 음식물 처리기 배수구 설치 문의 [5] 우정머8814 23/05/17 8814
170664 [질문] 모바일 게임 장르 질문입니다! [5] 골드쉽8664 23/05/17 8664
170663 [질문] 홈 네트워크 구성에 조언을 구하려고 합니다. [9] 클란심11586 23/05/17 1158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