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4/23 21:22:49
Name EY
Subject [질문] 독서 VS 유튜브 숏츠
안녕하세요?

문득 독서를 (논어) 하려고 생각하는 순간 과연 독서를 통해 얻는 지식 혹은 기억에 남는 것과 유튜브 숏츠 혹은 유튜브로 지식을 얻는것 어느쪽이 더 효율이 있나가 궁금해 지더군요.

물론 독서가 좋다는 것은 알지만 챗gpt등 여러 기술 및 빠르게 지식 슥듭이 가능한 시점에서 독서가 과연 시간대비 그만큼의 도움이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피지알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oi(아이오아이)
23/04/23 21:25
수정 아이콘
양자역학 같이 유튜브 숏츠에 못 올리는 내용이라면 모를까
유튜브 숏츠로 올라오는 내용의 책을 읽는 거면 유튜브 숏츠가 압도적으로 높다고 봅니다.
23/04/23 21:49
수정 아이콘
챗gpt로 지식을 얻는 건 전자책을 읽는 것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하고
독서에 숙달 되면 귀로 듣는 것보다 무조건 빠르게 지식 습득이 가능합니다.
다만 영상으로 접해야 이해가 더 잘되는 부분은 있다고 생각해요.
무한도전의삶
23/04/23 21:55
수정 아이콘
지식의 너비는 모르겠는데 깊이 사고하는 건 거의 한쪽이 0에 가까워서;;
23/04/23 21:58
수정 아이콘
깊이 사고 하여 얻는 도움이 있겠지요?
무한도전의삶
23/04/23 22:02
수정 아이콘
넵. 사실 인터넷에 검색하면 모든 걸 알 수 있는 시대에 깊이 사고하기야말로 인간의 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23/04/23 22:12
수정 아이콘
깊이 사고하기 가 인간의 조건이라는 말씀에 동의 합니다. 좋은 코멘트 감사드려요
수금지화목토천해
23/04/23 21:58
수정 아이콘
단위시간 대비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량으로 따져보면 일부 동영상으로 학습할때 특별히 효율이 좋은 경우를 제외하면 텍스트가 동영상보다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량이 많죠.
Winter_SkaDi
23/04/23 22:05
수정 아이콘
유튜브 숏츠에도 정확히 맞아 떨어지는 이야기인지는 모르겠는데 이동진 평론가가 하셨던 말이 생각나서 적어봅니다.
영화도 당연히 중요한 교양의 일부이지만 영화는 술 같은 것이라 좋은 의미로 우리를 뜨겁게 하고, 책은 물 같은 것이라 좋은 의미로 우리를 차갑게 하는데,
이성은 기본적으로 차가운 것이기 때문에 교양에 관해서는 영화는 영원히 책을 따라가지 못할 것이다.
라고 합니다.
나혼자만레벨업
23/04/23 22:16
수정 아이콘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영상이 도움이 되는 영역도 있다고 봅니다만, 텍스트로 전달이 가능한 정보라면 영상보다는 텍스트가 나을 것 같습니다.
jjohny=쿠마
23/04/23 22:33
수정 아이콘
숏츠든 뭐든, 대부분의 경우는 영상이 텍스트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숏츠 등의 컨텐츠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고, 보다 자극적이어서 기억에 잘 남는 것 같은 '착시'가 있다고 생각하고요.
23/04/23 22:38
수정 아이콘
케바케라고 봅니다 인상깊어서 몇번이나 읽어보고 평생 기억에 남는 책도있고
마찬가지로 인상깊어서 몇번이나 본 영상도 기억에 남죠
책이라서 기억에더 남고 영상이라고 덜남고 이런게 있을리가요 본인 마음가짐 차이죠
뭔가를 학습하려면 책이낫다고 봅니다 그냥 잔지식올리려면 영상의 편의성과 가독성을 따라올수없구요
23/04/23 22:53
수정 아이콘
둘 다를 잘 활용해야 하겠네요
DeglacerLesSucs
23/04/23 23:04
수정 아이콘
숏츠 수준으로 커버될 깊이면 겉운 내용의 책도 별거 없겠다 싶습니다

숏츠로 제한하지 않고 영상 vs 책이면 어차피 자기 걸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한 건 매한가지라고 생각하고요
海納百川
23/04/23 23:12
수정 아이콘
빅뱅이론에서 셀든이 레트로 텍스트 게임을 하면서 그게 그렇게 재밌냐는 레네드의 말에 it runs on the world’s most powerful graphics chip imagination 이라고 했죠. 이게 바로 고전 명작들을 읽는것과 영화화나 드라마화같은 영상물을 보는것 사이에 존재하는 그 뭔가 원작만 못한 그 차이점인거죠. 숏츠나 틱톡같은거는 글쎄요 책과 동일선상에 비교할만한 레벨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나저나 오늘 세계 독서일이였던거 같은데.
23/04/23 23:31
수정 아이콘
읽는 것과 보는 건 다른 활동입니다. 유산소 무산소 운동이 다르듯이요. 단순 지식 습득의 관점에서만 볼 게 아니죠.
고오스
23/04/23 23:32
수정 아이콘
단편적이고 빠르게 지식을 얻는건 유튜브가 좋을지 몰라도

그 정보를 생각하고 내 것으로 만드는건 유튜브는 할수 없는 일입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유튜브로 정리된 내용을 보는건 내가 생각을 한다고 [착각]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치 뉴스 계속보는 사람이 언론의 말을 자기 생각처럼 [착각]하는 것 처럼요

전 이런 현상이 매우 위험하다고 봅니다

어떤 분야에 대해 호기심이 생겨서 어떤건지 알고 싶을 때는 유튜브가 괜찮은데, 그 이상을 얻고 싶으면 유튜브를 벗어나서 책을 봐야 합니다
João de Deus
23/04/23 23:56
수정 아이콘
책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 싶네요

극단적인 예로 <괴델, 에셔, 바흐>, <사회의 사회>, <아케이드 프로젝트> 같은 책을 쇼츠로 정리하는건 불가능한..
23/04/24 00: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유튜브(유튜브라고 예시를 드셨지만 그냥 책을 제외한 영상매체라고 가정)가 착시라고 생각하는 생각 자체가 오히려 책이라는 명성(?) 에서 오는 착시라고 생각하네요

과거 순례자라든지 하는 식으로 여행(트레블)의 가치를 고평가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책의 가치가 고평가 되고 있다고 봅니다

총이 나왔는데 말타고 칼부림하는 사무라이 같은거죠 뭐

아직은 책이라는 매체가 쌓아온 몇 천년의 역사가 있기 때문에 깊은 지식이 책으로 나오는 이점(고등지식이 책으로 집필됨, 유튜브는 얕은 경향이 있음)이 있다고 봅니다만

몇 십년 내에 뒤집힐거라고 생각하네요.


게다가 핵심은 깊은 사유를 하는 것이고, 그건 책으로 보든 유튜브로 보든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유튜브 대충 드르륵 스크롤하나 책 눈으로 읽고 책장 넘기는거나 별 차이 없죠.

책으로 깊은 사유를 하시는 분들은 유튜브로도 깊은 사유를 할테구요
23/04/24 19:33
수정 아이콘
독서에 숙달 됐다는 게 속발음 극복을 의미한 건데
이 시점에서 영상매체를 2배속으로 돌려도 눈의 움직임을 못 따라 갑니다.
책에 오랫동안 익숙해서 단순히 더 빠르다라고 하는건 아니에요.
동일한 화면에 압축시키는 지식의 분량이 다릅니다.
23/04/24 19:47
수정 아이콘
저는 텍스트vs 영상으로 구분한것이 아닙니다
책 vs그 외 로 구분한거죠

피지알 자유게시판, 나무위키도
텍스트지만 책은 아니죠
The)UnderTaker
23/04/24 00:58
수정 아이콘
책과 영상은 전혀 별개의 분야라고 봐야합니다.
책으로만, 영상으로만 습득가능한게 있어요
Primavera
23/04/24 01:57
수정 아이콘
강의만 듣고 이해했다는 사람들 태반이 기본예제 잘 못풀죠.
책은 그나마 자기 페이스대로 이해할 기회라도 있지, 강의는 그렇지 않고, 유튜브 쇼츠는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을 겁니다.
무적권 텍스트 입니다. 같은 말이라도 텍스트로 봤을때랑 음성으로 들었을때 이해할 가능성 차이 엄청나게 나요.
베요네타
23/04/24 02:51
수정 아이콘
텍스트가 유리한 분야가 있고, 동영상+음성이 유리한 분야가 있죠..
예를 들어 안무, 스포츠 동작 배우기 같은 건 텍스트로는 영상을 못 절대 따라가죠..
고오스
23/04/24 10:38
수정 아이콘
위에서 말하는 예시는 전자로 보이는데

두번째 문장 예시 파트는 백번 공감합니다
23/04/24 10:12
수정 아이콘
유튜브 보고 깊은 사유한다는 사람은 못 본 듯
고오스
23/04/24 10:39
수정 아이콘
못할껀 없다고 보는데 애초에 유튜브를 볼 때 사유를 하려고 보는 사람은 극히 드물죠

법률스님 영상 등을 보면 가능하겠는데 대부분의 유튜브 영상은 사유와는 거리가 머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456 [질문] 아주 납작한 USB 전원공급기가 있을까요? [12] 꽃비8427 23/05/04 8427
170455 [질문] 알뜰폰 쓰시는 분들 질문이 있습니다 [10] 이름짓기어렵쏘8726 23/05/04 8726
170454 [질문] 유튜버 추천 받고 싶습니다 [12] 상록일기8360 23/05/04 8360
170453 [질문] PGR LCK승부예측 상품 받으신분들 있나요? [3] 냥냥펀치6263 23/05/04 6263
170452 [질문] 사진 위치를 지도에 한꺼번에 표시하는 방법 [2] 김재규열사8137 23/05/04 8137
170451 [질문] don't starve together 게임 평 부탁드립니다. [8] 먼산바라기8076 23/05/04 8076
170450 [질문] 유한길이의 필름의 모양을 계산할 수 있나요? [3] 어센틱6809 23/05/04 6809
170449 [질문] 그래픽카드 가격이 앞으로도 오를까요? [7] Mikopap10496 23/05/04 10496
170448 [질문] 눈(흰자)에 실핏줄(충혈)이 많습니다. [10] 개미10655 23/05/04 10655
170447 [질문] 베트남 리조트인데 지네가 나왔어요 (조치완료) [16] 니플11282 23/05/04 11282
170446 [질문] 맥북에서 삼성외장ssd 보안프로그램 삭제방법... [2] 천도리7813 23/05/04 7813
170445 [질문] 전자제품을 미개봉 상태로 중고판매하는 이유가 뭘까요 [11] Jax9803 23/05/04 9803
170444 [질문] 혹시 신축인테리어 해보신분 계실까요? [12] 그림속동화8487 23/05/03 8487
170443 [질문] 아내가 횡단보도 앞에서 차에 발이 밟혔습니다 [6] 비올라10493 23/05/03 10493
170442 [질문] 김포공항 국제선 토요일 출국 수속 어떨까요 [11] About time10149 23/05/03 10149
170441 [질문] 숏걸고 반대매매유도가 왜 불법일까요? [12] 큐브큐브9812 23/05/03 9812
170440 [질문] 해외에서 수입을 하시는 분에게 여쭙니다. (1.1844 의미) [13] 난할수있다7931 23/05/03 7931
170438 [질문] 컴퓨터 본체 사양 문의드립니다. [11] 기세파10336 23/05/03 10336
170437 [질문] 4090 견적 문의합니다. [15] 펩시제로라임10498 23/05/03 10498
170436 [질문] 육아휴직 중 예비군 훈련 연기할 수 있나요? [8] 앙금빵11845 23/05/03 11845
170435 [질문] 이 시스템 현역인가요? [5] 월터화이트9395 23/05/03 9395
170434 [질문] 올버즈 신발도 스케쳐스만큼 편안한가요? [2] LG의심장박용택10040 23/05/03 10040
170433 [질문] 근력운동 나눠서 하면 효과가 덜할까요? [7] 오렌지망고8820 23/05/03 88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